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Wavelet Transform을 이용한 시청각 학습시의 전두부 뇌파 활성도에 관한 연구

        정소라(Sora Jung),지석준(Seokjun Ji),이오걸(Ogirl Lee),곽례혜(Ryuehye Kwak),이준탁(Joontark Lee) 대한전기학회 2006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6 No.7

        학습 행동에서의 뇌파 측정은 실시간으로 두뇌 기능 상태를 연구하는데 유용한 연구 방법이며 대뇌의 부위 중 전두엽은 새로움에 대한 지향 반응과 사고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 학생에게 새로운 시청각 학습 자료를 제시하고 5회의 반복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의 전두부(Fp₁,Fp₂)의 뇌파를 측정하고 Fourier, Wavelet 변환을 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의 집중, 정서 등 인지와 관련지어 특정파의 조절 능력 및 파의 특성을 이용한 여러 연구들을 종합해보면, 기억력, 주의지속과 연관되어 알파파, 베타파와 세타파가 발생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중 알파파는 기존의 뇌 상태를 동기화시키고 주의나 기억의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신호 처리에 높은 효율을 보이는 Wavelet 변환을 이용하여, 학습이 됨에 따라 변화하는 EEG 신호 가운데 알파파의 패턴과 활성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 KCI등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가정용 에너지 수요반응 프로그램 실증분석

        은아(Euna Jung),이경은(Kyungeun Lee),김화영(Hwayoung Kim),정소라(Sora Jeong),이효섭(Hyoseop Lee),서봉원(Bongwon Suh),이원종(Wonjong Rhee) 한국HCI학회 2017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2 No.4

        전력 수요가 증가하고 재생 가능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폭됨에 따라, 수요를 억제하여 필요한 공급량을 줄일 수 있는 ‘수요반응’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가정에 스마트미터를 구비한 국내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에너지 수요반응 실증사업에 대한 실증분석으로, 사전심층 인터뷰, 설문 및 기술수용모델 분석을 통하여 가정 전력 사용자들이 수요반응 프로그램을 받아들이는 데 중요한 요인들을 살펴본다. 수요반응의 목표는 피크시간대에 미션이 발령되면 전력사용량을 평소보다 줄이는 것이며, 실험대상은 스마트미터 구입 경로와 에너지를 절감했을 때 보상받는 방식에 따라 2개의 상이한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집단 A는 주로 IoT플랫폼 서비스에 가입하는 과정에서 마케터와의 대화를 통해 전체 서비스 중 하나인 스마트미터 서비스에 함께 가입하는 경로로 수요반응 프로그램에 유입되었고, 보상으로는 통신비 할인을 받았다. 반면 집단 B는 스마트미터를 자발적으로 구매하거나 에너지 자립 마을 지역주민으로서 지자체 지원을 통해 스마트미터를 지원 받아 프로그램에 유입되었고, 미션 성공에 대한 보상은 사회적 기부를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집단 A는 인지된 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 외에 인지된 유희성도 포함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고,집단 B는 모델의 적합도가 떨어지기는 하지만 집단 A에 비해 인지된 유용성에 대한 중요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집단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 설계방향을 제시하여 향후 수요반응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While electricity demand is generally increasing, stably controlling supply is becoming a serious challenge because renewable energies are becoming popular and often their productions are dependent on the weather. The ‘demand response’ programs can be used to complement the problems of renewable energies, and therefore their role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is study provides an analysis of a demand response pilot that was conducted in Korea. The study first focused on questionnair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and the data was used to perform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nalysis. The goal of the pilot was to have the residential users reduce their power consumptions when an energy reduction mission is issued during peak load hours. The experimental subjects consisted of two group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Subjects in group A obtained smart meters as an optional function of IoT platform service provided by a mobile service company, and received a charge deduction as their compensation. Subjects in group B either voluntarily purchased smart meters as individuals or received them by participating in an energy self-sufficient village program that was run by a local government, and were entitled to a donation as their compensation. With the analysis, group A was found to fit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at includes perceived playfulness in addition to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On the contrary, group B failed to fit the model well, but perceived usefulness was found to be relatively more important compared to group A.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sidential energy groups’ behavior changes are dependent on each group’s characteristics, and group-specific DR design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DR.

      • 장애대학생들이 경험한 온라인 학습에 대한 질적 분석

        김동일(Dongil Kim),손지영(Jiyoung Son),고혜(Koh, Hyejung),정소라(Sora Jung),이재호(Jaeho Lee),백서연(Seoyeon Baek)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들이 경험한 온라인 학습에 대해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장애로 인한 온라인 학습의 어려움, 온라인 학습의 필요성, 온라인 학습을 위해 필요한 정보통신 인프라, 교수·학습지원 제도, 온라인 학습 콘텐츠 개발에 대한 요구의 네 가지 항목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1명의 시각, 청각, 지체장애를 가진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실시한 면담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장애대학생들은 고등학교 입시과정에서부터 많은 온라인 교육을 받았던 것으로 나타났으나, 각 장애유형에 따라 온라인 학습에 대한 접근의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이를 통해 앞으로 온라인 학습이 장애학생을 포함하여 모든 사용자를 위한 온라인 교육이 되기 위한 제언점에 대해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online learning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terviews of eleven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mplemented, and then each individual case was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analytical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difficulties of online learning and specific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developing online learning environment were recomme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