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로빈곤층 여성의 통합적 자립지원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정세미 ( Chung Se Mi ),홍진주 ( Hong Jin Joo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0 한국가족복지학 Vol.67 No.1

        본 연구는 근로빈곤층 여성들이 통합적 자립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의 본질이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통합적 자립지원프로그램은 진로설계, 훈련, 인턴십과 취업지원 등의 고용서비스와 상담, 사례관리 등의 사회복지서비스가 함께 제공되는 프로그램이다. 연구를 위해 사업에 참여한 131명 중 22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으며, 인터뷰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나를 둘러싼 벽’, ‘하나씩 허물어지는 벽’, ‘내일을 향한 도전’, ‘더 나은 도전을 위하여’의 구성요소 및 21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의 통합적 자립지원프로그램의 참여에 대한 본질적 의미는 ‘벽을 넘어 나를 찾아 함께 일어서는 새로운 도전’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토대로 근로빈곤층 여성의 통합적 자립지원을 위한 사회복지의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participatory experiences in support program for self-sufficiency of working poor women. The results were deducted from focus group interview with 22 working poor women. The process of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s set out in the phenomenological Giorgi’s method. The results of research showed that experiences of women could be classified in 21 sub-constituents and 4 constitu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s for the social work intervention and policy implications for working poor women.

      • KCI등재

        고령친화환경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및 다집단 분석

        정세미 ( Chung Se-mi ),임정숙 ( Lim Jeung-suk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保健社會硏究 Vol.41 No.1

        이 연구는 고령친화환경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이들 관계가 연령집단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역량강화지원사업에서 진행된 ‘2017 연령통합설문조사’자료의 청년집단(18-44세) 303명, 중년집단(45-64세) 357명, 노년집단(65세이상) 353명 등 1,013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의 다집단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고령친화환경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가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별 차이를 살펴보면, 고령친화 환경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청년집단은 공동체의식의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년집단은 부분매개를 통해 고령친화환경과 삶의 만족의 관계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집단에서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고령친화환경과 공동체의식이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반 하여 삶의 만족을 위해 공동체 의식 형성을 기반으로 하는 고령친화환경에 대해 정책적ㆍ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sense of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ge-friendly environment and life satisfaction. A total of 307 adolescences (age 18-44), middle-aged adults (age 45-64), and older adults (age over 65) were taken from the 2017 Survey On Age Integration, which was conducted as part of the Initiative for Humanities Research and Education with funding from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were analyzed using multiple-group analysis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significant age group differences. First, in the effect of age-friendly environment on life satisfaction, sense of community had a mediating role. Second, the model showed a significant age group differences. The adolescent group showed a full mediation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and the middle-aged group showed a partial mediation. The older group did not show any mediating effect, but age-friendly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Policy and practical intervention methods to enhance the life satisfaction in the aging society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 KCI등재

        부모참여형 다문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결혼이민자 가정을 중심으로

        김은정 ( Kim Eun Jeong ),정세미 ( Chung Se Mi ),정지영 ( Jeong Jee Young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가족복지학 Vol.57 No.-

        본 연구는 초등학생 저학년 자녀를 둔 다문화 부모가 부모교육의 개발과 진행과정에 참여함에 따른 부모교육의 개발 및 운영과정을 살펴보고, 프로그램의 성과 및 성과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과정에 대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여 심층면접, 문서자료 검토 등의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다문화 부모교육은 프로그램 기획, 진행, 종결의 3단계로 진행되었으며, 진행단계마다 부모들의 참여를 통해 의견을 반영하는 과정으로 운영되었다. 다문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성과로는 `부모로서의 성장`, `새로운 다문화 형성`, `지지체계 형성` 이라는 3개의 상위범주와 8개의 하위범주로 나타났다. 또한 성과 도출 요인으로 `당사자 주도형 프로그램 개발`, `부모 참여형 프로그램의 구성과 운영`, `유연한 집단운영구조의 활용`, `당사자 및 연구진, 운영진 간 긴밀한 상호교류와 소통`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실천현장에서 효과적인 다문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managing parent participation education programs, its performance, and its factor of deriving performance targeted on multi-cultural parents with children in early elementary school. Particularly, opinions of multi-cultural parents were considered and every process of developing and managing the program in this study was reflected. The analysed results we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upper categories, which were `growing as parents`, `forming new multi-culturalism`, `creating support system`, and eight sub-categories. In addition, the factors that led to the positive achievement of program were appeared as `development of active education program`,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parent inclusive program`, `utilization of flexible group structure`, `implementation of close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members of the development team and the management team`. Based on the following results, we propose development and management process for effective multi-cultural parent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지원을 위한 부모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김은정(Eun Jeong Kim),정지영(Jee Young Jeong),정세미(Se mi Chung) 한국가족학회 2017 가족과 문화 Vol.29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부모를 대상으로 이들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지원을 위한 부모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은 대인관계 역량강화, 자녀 학습지원 역량강화, 긍정적 문화정체성 형성을 포함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고, 주 1회 회기당 2시간씩, 총 12회기 프로그램으로 진행하였다.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누어 프로그램 전후를 비교하였으며 비모수 검증 및 참여자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다문화가정 부모들은 대인관계 역량, 자녀 학습지원역량, 긍정적 문화정체성 형성에 있어 부모로서의 역량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부모의 역량강화를 위한 실천개입 프로그램으로서 효과성이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령기 다문화가정 부모의 역량강화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e empowerment enhancing program for multi-cultural parents to support school adaptation of children in early elementary school and to validate it’s effectiveness. The developed program was consist of three subordinate elements-the ability to establish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ability to support school adaptation of children, and the formation of positive multi-cultural identity.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25 multi-cultural parents lived in Seodaemun-Gu, Seoul. They were separated 17 participants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8 participants to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design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osed of 12 sessions and practiced during two hours, once a week. For analysis, Non-paramatic tests, Mann-Whitney U Test, Wilcoxon-signed ranks test and interview of participants were used. And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under comparative analysi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enhancing the multi-cultural parents’ ability to support school adaptation of children and in the formation of positive multi-cultural ident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change in that of control group. In conclusion, it was verified that this program can be an important tool in enhancing the multi-cultural parents’ ability to support school adaptation of children in early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is research, suggestions for multi-cultural family practice are provided.

      • KCI등재

        가정폭력 피해 이주여성을 돕는 실천가는 어떠한 딜레마를 경험하는가

        박주혜(Ju Hye Park),김은정(Eun Jeong Kim),정세미(Se mi Chung),정삼영(Sam Yeong Jung)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23 한국사회복지교육 Vol.6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kind of dilemmas practitioners experience, who support migrant women who ar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nd what kind of efforts are being made to respond to these dilemmas. To examine these objectives, FGI was conducted on six practitioners from counseling centers and shelters supporting migrant women affected by domestic violence.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practitioners to experience three categories of dilemmas: dilemmas related to the target and the scope of intervention, dilemmas related to clients’ self-determination and safety issues, and dilemmas due to cultural differences. To respond to these dilemmas, practitioners were making efforts to expand the scope and target of intervention, to consider self-determination and safety as the first priority, and to have respect towards cultural diversity.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practical and institutional support measures were proposed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practitioners who support migrant women affected by domestic violence.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Women’s Human Rights Institute of Korea.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 이주여성을 돕는 실천가들이 실천 과정에서 경험하는 딜레마의 양상과 이에 대한 실천가의 대응과 노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가정폭력 피해 이주여성 지원기관의 실천가 6명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실천가들은 개입의 대상 및 개입의 범위와 관련한 딜레마,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 및 안전 문제와 관련한 딜레마, 문화적 차이로 인한 딜레마 등 3가지 범주의 딜레마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딜레마에 대해 대응하기 위해 실천가들은 개입 대상과 범위의 확장, 자기결정 및 안전에 대한 최우선 고려,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존중 노력을 시도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폭력 피해 이주여성을 돕는 실천가들을 지원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