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憲法上 行政腐敗에 관한 硏究

        정성범(Chung Sung-Beom),백윤철(Baek Yun-Chul) 한국헌법학회 2006 憲法學硏究 Vol.12 No.2

          본 논문은 행정부패의 원인을 개인적 접근방법, 제도적 접근방법, 구조적 접근방법, 환경적 접근방법을 통해서 분석하고 그 대책을 수립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었다.<BR>  행정부패방지의 연구방법과 방향은 이론과 실제적인 연구의 접목이 바람직하나 이 논문은 주로 이론적 기술적 접근방법 또는 규범적인 방법을 활용하였고, 경험적 실증적 연구는 본 논문과 관련한 기존의 자료를 활용하였다.<BR>  분석의 결과 행정부패의 대책으로는 자발적인 부패방지 노력, 내부공익신고제도(whistle-blowing)조성, 조직내의 부패풍토 혁신 등이었다.   This study aimed at establishing the measures after analysing administration corruptions through personal approaching method, institutional approaching method, structural approaching method and environmental approaching method.<BR>  Grafting actual theory and research is desirable for the methods and directions of administration corruption prevention. However, this study applied theoratical and technical approaching methods, or normative methods, and empirical research applied existing data related to this study.<BR>  The results were that the steps for administration corruption prevention included spontaneous corruption prevention efforts, promoting whistle-blowing, reforming corruption pattern and etc.

      • KCI등재

        일본에 있어서 스포츠의 문화성

        정성범(Chung Sung-Bum) 대한일어일문학회 2011 일어일문학 Vol.50 No.-

        It is never easy to explain the social background that sports have been recognized as one of culture areas. Because very complex factors have acted on the social background. Nevertheless, anyone has become undeniable that sports have firmly put down their root in a culture area in the point of view of everyday theory. However, the questions whether sports can be called culture or not and what binds up sports and culture as one if it can be called culture still have not got a clear answer. On the contrary, the views of scholars about such questions have been divided into an extreme form long since. Of course, such extreme differences of their views have been closed gradually. But, it is well known that the differences are still continuing.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ollowings. First is what sports means, second is what culturality of sports means and what is the details of the pros and cons about the culturality, and third is Japan recognizes the culturality and how Japan prescribes the concept of the culturality.

      • KCI등재

        프랑스에서의 권력분립

        정성범(Chung, Sung-Bum),백윤철(Baek, Yun-Chul) 한양법학회 2020 漢陽法學 Vol.31 No.4

        In Korea, separation of power is called separation of the three powers of legislation, justice and administration. This guarantees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And it is a basic constitutional principle that divides state power into legislation, administration and justice to prevent abuse of power and to balance it with each other. Generally, when discussing the separation of power in Korea, Locke’s theory of separation of power and Monteski’s theory of separation of power are basically introduced. In terms of institutions, the United States is the country that best institutionalized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 In general, the relaxed form of separation of powers can be called the U.S. presidential system, the British parliamentary cabinet system, and the French dual-governance system. Under the Korean Constitution, the National Assembly is the only legislative body, and the executive powers are the administration, the president, and the judicial powers are the Supreme Court and the lower courts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Article 40 of the Korean Constitution stipulates that legislative power belongs to the National Assembly. This is that the National Assembly is an institution that directly represents the people who are sovereigns, and that exercises legislative power, which is the most basic of the national action. And on the political front, the separation of power is the central value of state affairs. The court is curbing the power of two other powerful agencies by allowing the Constitutional Court to exercise its right to review unconstitutional law orders and all other state actions. In other words, our country is led by the presidential system. And it has a unique form of content that adopts the form of American judicial power. Formally, checks and balances work fairly among the three powers. How does France grasp and realize the separation of powers? And what is it if there is a constitutional basic ideology that can sum up or supplement the separation of powe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answers. Korea seems to be embodying an ideal separation of powers in terms of formality. In reality, however, voices of public opinion and minority claims are difficult to convey to the center of politics. If this is not improved even though we are well aware of it, there will be no politics based on the ideology of a constitution. At this point, I would like to review the form of power separation centered around France. When the French Constitution states that the final purpose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s to prevent absolute power from being overthrown against tyranny, can the guarantee of rights and separation of powers be practically separate? After all, in order to assess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s, one must think in relation to the idea of a law-governed state. France"s separation of power suggests two grounds. The former is linked to the idea that separation of power is the autonomy of power. And the latter derives the importance of guaranteeing rights in the Constitutional Court in the separation of powers. Therefore, the proper form of the Constitutional Court could be a problem. As such, France also points out that the June 3, 1958 law, which recognized the basis of the Fifth Republic Constitution, refers to the separation of powers, and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clearly favors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s in its ruling.

      • KCI등재
      • KCI등재

        프랑스 헌법상 중앙행정조직과 지방행정조직에 관한 연구

        정성범(Chung Sung Bum),백윤철(Baek Yun Chul) 한국토지공법학회 2017 土地公法硏究 Vol.79 No.-

        본 논문은 프랑스 헌법상 중앙행정조직과 지방행정조직을 논의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보는 것이다. 프랑스 중앙행정조직과 지방행정조직에 관하여 논의하기 전에 프랑스 정부행태에 대하여 논의하고, 프랑스 정부형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프랑스 이원집정부제는 행정부가 실질적으로 대통령과 수상으로 이원화되어 각각 실질적 권한을 가지는데, 평상시에는 내각수상이 행정권을 행사하나, 비상시에는 대통령이 행정권을 전적으로 행사하는 정부형태를 말한다. 그 운영의 구체적인 형태는 나라마다 조금씩 다르다. 프랑스는 아직도 헌법상 단일성의 원칙에 기초한 중앙집권의 단일국가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프랑스의 지방분권은 1982년에 시작하여 현재까지 이르렀는데, 지방분권이 실시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중앙정부가 아직도 너무 많은 권한을 행사해서 지방자치단체가 할 수 있는 업무가 많지 않다고 하는 비판도 제기되기도 하지만 프랑스의 지방분권화개혁은 세계의 지방제도개혁 중 가장 성공한 제도라는 것이다. 프랑스의 경우 지방분권법이 제정된 후 상급지방자치단체와 하급지방자치단체간의 계서적(階序的) 감독이 폐지되어 상급지방자치단체가 하급지방자치단체에 대하여 지시나 감독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급지방자치단체와 하급지방자치단체의 관계는 수직적 관계에서 수평적 관계로 전환이 된 것이다. 즉 상급기관과 하급기관은 협력관계만 남고 감독관계는 폐지가 된 것이다. 다만 지역계획과 국가계획은 레지옹이 그 입안을 하나 그 행사과정은 도와 시간의 계획계약(contrats de plan)에 의하여 각각 역할을 분담한다. 또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와의 관계는 종래와 같이 국가가 지방자치단체를 감독하는 것은 아니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또는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의 합의를 기초로 하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한국도 지방자치단체상호간의 관계와 지방자치단체와 중앙정부간의 관계를 단순한 수직적 관계에서 상호간 협력에 기초를 둔 수평적 관계로 개편하는 것이 원칙적으로 합당하다고 생각한다. 만약 이러한 전면적 수평적 관계를 설정하는 것이 어렵다면 우선적으로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의 관계라도 수평적 관계로 개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만약 이러한 수평적 관계로 개편되면 권한배분을 둘러싸고 다툼이 일어난 경우에 지방자치단체간의 관계를 계약의 해석 문제로서 사법기관의 개입에 의해 해결되어야 한다. 이러한 계약적 절차의 도입은 지방자치단체의 ‘기업화’를 추진하는 결과가 된다. 결론적으로 2010년 우리나라에서 지방선거를 치르면서 많은 시련이 있었다. 이러한 시련은 제도적 정비가 잘 안되어서 그런 측면도 많이 있으리라 생각된다. 이러한 시기에 본 논문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 선거를 보게 되면 지방선거후보자는 명목으로 경선이었지만 일반적으로 당의 총재 내지 파벌의 보스에 의하여 지명되고, 선거는 지역연고주의와 패권주의에 의하여 민주주의의 근본원리인 경쟁원리가 파벌정치와 지역연고주의에 의하여 지방민주주의를 후퇴시켰다. 이러한 시기에 프랑스 헌법상 행정체계는 기술한 바와 같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클 것으로 본다. This thesis is to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 French Constitution on the centr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n French. The thesis is to discuss French government movements before discussing the French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administrative bodies, let s take a look at the French government. A semi-presidential system is a system of government in which a president exists alongside a prime minister and a cabinet, with the latter two being responsible to the legislature of a state. It differs from a parliamentary republic in that it has a popularly elected head of state, who is more than a purely ceremonial figurehead, and from the presidential system in that the cabinet, although named by the president, is responsible to the legislature, which may force the cabinet to resign through a motion of no confidence. France is still a single centralized state based on the principle of unity in the Constitution. The decentralization of France began in 1982 and has reached the present. However, there are criticisms that the central government still exercises too much power and that there is not much work that local governments can do in spite of decentralization in France. However, the decentralization reform in France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successful reforms of the local system in the world. In France, after the decentralization law was enacted, the hierarchical supervision between the higher local governments and the lower local governments was abolished. That is, higher local governments can not give direction or supervision to lower local governments. Thus,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er local governments and lower local governments has shifted from vertical to horizontal relations. In other words, senior and subordinate organizations are only partners. And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was abolished. However, regional and national plans are made by Région. And the process of participation is divided by the contrats de plan between the département and the commune.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does not mean that the state oversees the municipalities as in the past. This relationship is based on mutual agreement between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or municipalities. In this respect, it is in principle reasonable for Korea to reorga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autonomous entit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autonomous entities and the central government into a horizontal relationship based on a simple vertical relationship and a cooperative spirit. If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such an overall horizontal relationship, I think it is desirable to reorganize the horizontal relationship only among local governments. If this horizontal relationship is reorganized, if there is a dispute over the distribution of author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governments should be resolved by the intervention of the judiciary as a matter of interpretation of the contract. The introduction of such a contractual procedure is a result of promoting the “enterpriseization” of local governments. If we look at the current Korean elections, local election candidates were elected by competition. In general, however, the candidates were nominated by the boss of the party s governing body or factions. And the election was abolished by the principle of territoriality and hegemony, which i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democracy. The local elections were carried out by factional politics and regional ostracism, and the result was a decline of local democracy. At this time, the French Local Autonomy Act seems to give us a lot of lessons.

      • KCI등재

        유비쿼터스 정부에서의 행정의 효율성과 법적 문제점 검토

        정극원(Jeong Kuk-Won),정성범(Chung Seong-Bum) 한국비교공법학회 2006 공법학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현재의 전자정부를 대체할 새로운 정부로서의 유비쿼터스 정부에서의 행정의 효율성과 이에 수반되는 법적 문제점에 대한 고찰이다. 인터넷과 웹기술을 통한 고도정보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정부가 수십 년 안에 우리들의 실생활에서 현실화하게 될 것이다. 유비쿼터스 정부는 현재의 전자정부와 비교하여 행정의 효율성, 고객지향적인 대응성 및 행정의 민주성이라는 측면에서 획기적인 새로운 정부이다. 이를 통하여 국가행정에서의 효율성의 향상과 행정비용의 감소, 대국민관계에서 최상의 행정서비스의 제공 및 행정업무의 격감을 실현하게 된다. 그러나 유비쿼터스 정부의 이러한 획기적인 장점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아직 법적시스템이 완전하게 구축되어 있지 않다는 점과 이를 실현하는 경우에 있어서 개인정보보호의 문제가 야기된다. 유비쿼터스 환경 하에서는 행정기관이 직무상 작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행정정보를 수요자인 국민에게 전자적 방법으로 공개하는 과정에서 법으로 보호받아 마땅한 개개인의 사생활보호에 위험한 상태를 야기하게 된다. 개인의 정보보호가 심각한 상태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행정은 국민생활의 편의성의 제공과 함께 효율성의 극대화를 추구하지만, 법은 국민이 예측가능 하도록 하여 국가공동체 내에서 국민생활을 안정시키고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최대한으로 보장하는 데에 있다. 행정의 효율성이라는 점에서 우리의 경우 2001년에 전자정부구현을위한행정업무등의전자화촉진에관한법률을 제정하여 그 기초를 구축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노력도 경주하고 있다. 그러나 유비쿼터스 정부를 구현하기에는 아직 법과 제도가 미비하며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장치도 강화하여야 한다. 이에 대한 완비된 법적 제도 및 시스템의 구축은 바로 우리가 준비하여야할 과제이다.

      • KCI등재후보

        프랑스에서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중앙정부의 통제에 관한 연구

        백윤철 ( Yun Chul Baek ),정성범 ( Sung Bum Chung ) 단국대학교법학연구소 2009 법학논총 Vol.33 No.2

        Avant l`etablissement de la loi loi du 2 mars 1982 a la France, c`est du a recevoir le controle de l`administration qui est la tutelle a priori mais apres 1982, on abolit la tutelle a priori qui est substantielle et recoit le controle a posteriori de la legalite. Le commissaire de la Republique avant 1982 a exerce le droit du controle et de l`executif avec la relation egale au conseil local. Mais apres l`etablissement de la loi loi du 2 mars 1982, son droit de l`executif est transfere au president du conseil local. La suppression de la tutelle, tant a l`egard des actes budgetaires que des autres decisions prises par les autorites locales, n`est pas reductible a un simple changement formal et terminologique qui signifierait simplement le remplacement du mot tutelle par celui de controle. Sans etre totale puisqu`elle maintient notamment des cas de substitution en de cas de carence en matiere de finances et de police, cette suppression correspond fondamentalement a la volonte deliberee de transformer la nature meme du controle pour traiter davantage les collectivites locales en adultes majeurs et responsables. Par ailleurs, elle s`accompagne de mesures moins spectaculaires de simplification au niveau du controle desormais unifie des organes, et se prolonques, denoncees jusque-la comme autant de tutelles paralleles exercees par l`etat.

      • KCI등재

        중국의 국가긴급권

        백윤철(Baek, Yun-Chul),정성범(Chung, Sung-Bum) 한국토지공법학회 2015 土地公法硏究 Vol.68 No.-

        2003년 원인불명의 폐렴으로서 SARS가 아시아를 중심으로 창궐하였다. 2002년 11월 광동성 부쓰잔시(仏山市)에서 발생한 병이 최초의 것이라고 하지만, 그 이후 2003년 7월 종식될 때까지 중국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 29개의 나라·지역으로 확대되었고, 감염자 수는 8,098명, 사망자는 774명에 이르렀다. 이러한 사태를 일으켰던 원인의 하나로 중국 정부의 초동조치 지연을 들 수 있다. 중국에서는 이것을 계기로 돌발사건이 발생한 경우에 대한 위기관리의 중요성이 인식되었고, 응급대처, 위기관리의 체제의 정비를 진행하는 것이 국가의 중요한 과제로 되었다. 2004년 3월 헌법 개정 시에는 긴급사태에 관한 규정을 헌법에 두었으며, 2005년부터 2006 년 1월 사이에는 국가돌발 공공사건 종합응급대책계획을 시작하여 몇 가지의 응급대책계획의 제정, 공포가 행해지는 등 정비가 시작되었다. 2006년 6월에는 응급대응의 전면적인 강화에 관한 국무원의 의견이 공포되어 제11차 5개년 계획기(2006년∼2010년)에 실시할 것을 목표로 하여 각 지역, 업계, 단체 등을 포함하는 응급대책계획의 체계를 구축할 것, 응급 대응체제의 구축, 돌발사건의 방지조치, 돌발사건에 대한 대처능력의 향상, 관련 법령의 정비 등을 행할 것 등 구체적인 24개 항목이 언급되었다. 그 후의 응급대책계획의 책정의 움직임에 눈부신 변화가 있었고, 2006년 말까지 책정된 응급대책계획의 총 건수는 135만건, 2010년에는 240 만건이 되었다. 한편 법제정비에 관해서는 헌법 개정과 동시에 긴급사태법의 제정이 제10기 전국 인민대표 대회 입법계획에 편입되어 이루어졌다. 그러나 긴급사태법의 제정준비는 진행되었지만 이 법률은 제정되지 않았고, 돌발사건에 대한 대처를 정한 돌발사건 대응법이 2007년 8월 30일 제10기 전국 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제29회 회의에서 채택, 같은 날 공포를 거쳐 같은 해 11월 1일 시행되었다. 중국에서는 자연재해에 관한 법률은 지진, 홍수 등 개별적 재해에 대한 방어와 대처를 주로 한 개별 법률이 정해져 있지만, 재해대책법, 재해구조법 등의 기본법은 정해져 있지 않다. 그러나 돌발사건대응법은 자연재해만을 대상으로 한 법률은 아니지만 자연재해를 포함한 돌발사건의 대응을 정한 기본법으로 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긴급사태에 관한 헌법의 규정, 돌발사건대응법의 제정경위 및 그 개요, 국가의 자연재해 구조 응급대책계획을 중심으로 응급대책계획에 관하여 논의를 전개했다. The SARS, an unexplained pneumonia, broke out in Asia in 2003. From the disease that occurred in Guangdong in November 2002, it was extended to 29 countries and regions in the world as well as in China until July 2003, reaching 8,098 infected and 774 dead toll. One of the causes of this was the delayed first response by the Chinese government. China became aware of the importance of risk management in the event of unforeseen events, and the maintenance of emergency response and risk management system became an important task of the state. The regulations regarding the emergency were added in the Constitution when there was constitutional amendment in March 2004. From the enactment of the state public emergency response plan, some of the emergency response plans were established and published from 2005 to January 2006. In June 2006, the opinion of the State Council on strengthening emergency response was announced for the goal of its implementation in the 11th five-year plan period (2006-2010), so that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covering each region, industry, and organization; protective measures; improvement of the emergency response; and maintenance of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were discussed mentioning 24 specific items. The movement of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emergency response plans was accelerated, amounting to 1.35 million by the end of 2006 and 2.4 million in 2010. In regard to the legal system maintenance, the establishment of the emergency law and the amendment of Constitution were incorporated to the 10th National People's Congress legislative plan. However, although the emergency law was prepared for the enactment, this law was not enacted. Then the emergency response law was adopted in the 29th annual meeting at the 10th National People's Congress Standing Committee in August 30, 2007, with its promulgation in November 1 of the same year. Although individual laws for the individual defense and measures such as earthquakes and floods were established in China, the fundamental law for disaster response and recovery was not determined yet. The emergency response law is not only for natural disasters, but is the basic law for the emergency including natural disasters. In this paper, the emergency measure planning is introduced around the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relating to emergency state, the overview of the enactment of emergency response law, and the state plan related to natural disaster relief emergency response.

      • KCI등재

        단일국가의 원리 : 프랑스 혁명기를 중심으로

        백윤철(Baek, Yun-Chul),정성범(Chung, Sung Bum) 유럽헌법학회 2021 유럽헌법연구 Vol.- No.35

        단일성의 원칙이란 국가의 행정조직이나 정치조직이 하나의 체계에 의하여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전권을 중앙정부에 의하여 행사되고, 지방정부는 다만 중앙정부에 의해서 위임하거나 법률에 의해서 인정되는 범위 내에서 사무를 처리하는 행정조직의 원칙을 단일성의 원칙이라고 한다. 따라서 단일성의 원칙이란 국가는 단지 하나의 국가로부터 구성되고, 국가 안에 제 국가가 있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단일성의 원칙을 헌법에 보장하고 있는 대표적인 국가는 프랑스이다. 그 연혁은 다음과 같다. 즉, 1792년 9월 25일에 국민공회가 발표했었던 유명한 선언, 즉 “프랑스 공화국은 단일ㆍ불가분의 국가이다.”라고 선언하고, 이러한 선언은 1848년 헌법과 1946년 헌법으로 계승되다가, 1958년 헌법에 프랑스 헌법 제2조 제1항 “프랑스는 불가분적 공화국이다.”라고 규정되었다. 프랑스 근현대헌법사에서 보편적인 지방자치의 헌법원리가 현대시민혁명기에 만들어 졌다. 그리고 프랑스 헌법상에서 헌법사의 원리인 국민주권주의를 기초로 한 헌법상 ‘단일국가’형의 지방자치원리가 프랑스 혁명기에 만들어 졌는데, 본 논문에서 헌법사적으로 프랑스 혁명기의 단일성의 원칙을 다루는 것도 의미있는 것이라 사료된다. 서유럽에서 지방분권은 국가에 따라서 다양한 특징을 나타난다. 서유럽 국가 중에 프랑스는 국가 전통이 강해서 이탈리아와 함께 중앙정부의 역할이 절대적인 국가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국가의 단일성을 유지하고자 하는 관념이 지방분권을 실현하고자 하는 관념보다는 우세하다. 이것이 프랑스에서 지방분권의 옹호론자와 반대론자가 생겨나게 한 근거이다. 지방분권은 투쟁의 정신이지 협력의 정신이 아니었던 것이다. 지방분권은 중앙집권에 대항하여 투쟁하는 방법으로 생각했던 것이다. 중앙권력은 국가의 단일성 내지 통일성을 침해하는 지방자치단체를 항상 경계해 왔던 것이다. 즉, 본문은 프랑스 자치권의 사상적 기초를 세운 프랑스 혁명기의 단일성의 원칙을 다룬다. The principle of unity means that a nation s administrative or political organization is driven by a single system. In other words, the principle of unity is the principle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n which full authority is exercis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re delega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or handled affairs within the scope recognized by law. Thus, the principle of unity means that a nation is composed of only one nation and that there should not be an empire within it. France is the representative country that guarantees this principle of unity in the Constitution is France. The chronology is as follows. In other words, the famous declaration issued by the National Assembly on 25 September 1792, The Republic of France is a single and inextricable state, was inherited by the 1848 and 1946 Constitution, and the 1958 Constitution stipulated that France is an indivisible republic .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constitutional history of France,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of universal local autonomy were created during the modern civil revolution. And the constitutional single state type of local autonomy based on the constitutional history of the French Constitution was created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which is also considered meaningful in this paper to addressing the principle of unity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In Western Europe, decentralization is characterized by a variety of national characteristics. Among Western European countries, France has a strong national tradition, so along with Italy, the role of central government is absolute. In this sense, the notion of maintaining national unity prevails over the notion of realizing decentralization. This is the basis for the creation of advocates and opponents of decentralization in France. Decentralization was a spirit of struggle, not a spirit of cooperation. Decentralization was thought to be a way of fighting against centralization. Central powers have always been wary of local governments that violate national unity or unity. In other words, the text deals with the principle of unity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which laid the ideological basis for French autono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