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veloping a Project-based Learning Curriculum for Undergraduate English Majors: A Needs Analysis

        정선주(Chung, Sun Joo),김정인(Kim, Jungy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 연구는 영어영문학 전공생을 위한 프로젝트 학습 교육과정개발을 목적으로 영어영문학을 전공하는 학부생이 지각하는 프로젝트 학습의 필요성과 영어영문학 학생들에게 적합한 프로젝트 학습 주제를 알고자 요구분석을 하였다. 영어영문학을 전공하는 82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요구분석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학생들이 지각하는 프로젝트 학습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취업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영어영문학 관련 분야로 영어 의사소통능력을 뽑았다. 또한 프로젝트 수업을 영어영문학 교육과정에 적용하는데 대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는 학생들이 프로젝트 학습이 취업과 현장에 대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고 프로젝트 학습이 수업시간에 영어사용을 장려하고 학습자 주도성을 높일 수 있다고 때문이다. 영어영문학과에 적합한 프로젝트학습의 주제에 대해서는 관광, 영어교육, 경영학 분야 등의 분야를 선정하였고 이 분야들은 학생들이 선택한 복수전공/부전공 영역과 일치한다. 더 나아가서 학생들은 수업시간에 영어를 사용하는데 적극성을 보였고 영어영문학 전공 교육과정 개발 시 실용성과 융합을 고려해야한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프로젝트 학습을 영어영문학에 적용을 위한 시사점과 제안을 논의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ived needs for a project-based learning (PBL) course among students majoring in English and their opinions on what they perceive to be potential project topics for students majoring in English. Data were collected from a needs analysis questionnaire distributed to 82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English linguistics and literature at a university in Korea. Findings showed that participants perceived English oral communication ability to be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employment following graduation. When asked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PBL in their courses, they showed highly positive reactions as they felt that PBL could offer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prepare for employment and the workplace. Other responses showed that they felt PBL could promote the use of English in the classroom as well as learner autonomy. In terms of areas for PBL, topics related to tourism, English education, and business were propsed and these areas correspond to minors that these students chose to pursue. Findings also show that students have a strong desire to use English in the classroom and felt that practicality and integra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curriculum for undergraduate English major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using PBL for English majors are discussed.

      • KCI등재

        Peer Assessment in Project-based Learning: Analysis of Students’ Feedback

        Sun Joo Chung(정선주),Jungyin Kim(김정인)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1

        본 연구는 프로젝트 수업 중 동료평가의 내용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학생들이 주는 피드백의 종류와 피드백 패턴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고자 한다. 4주간 진행된 프로젝트 수업을 수강하는 23명의 대학생들이 동료평가에 참여하였다. 동료평가를 통해 작성된 피드백은 온라인 동료평가에서의 학생들의 행동 패턴을 이해하고자 개발된 코딩스킴 (coding scheme)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코딩스킴은 정의적, 인지적, 메타인지적 범주와 이를 구성하는 하위 범주로 구성되어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긍정적인 정의적 피드백과 본인의 의견이 반영된 인지적 피드백을 사용하였지만 메타인지적 피드백을 사용하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동료평가 중 교사의 중재가 필요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교사의 중재를 통해 학습자는 다양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고 동료평가 과정에서 자신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content of peer assessment in a project-based learning (PBL) course to find out the type of feedback students offered and how their feedback pattern changed over time. Twenty-thre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a 4-week PBL class and provided peer assessment feedback. The content of students’ peer assessment feedback was examined using a coding scheme that was developed to analyze students’ online feedback patterns. The coding scheme included three dimensions, which are affective, cognitive, and metacognitive, and their subcategories. The findings showed that students offered positive affective feedback and cognitive feedback by providing personal opinions, but did not provide metacognitive-oriented peer feedback.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instructor intervention may be necessary to encourage students to use a variety of feedback and become more confident in the peer assessment process.

      • KCI등재

        Students’ Perception of Self-Regulated Learning in a Project-Based Learning Curriculum

        Sun Joo Chung(정선주)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4

        프로젝트 수업(PBL)은 학생들의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유도하고 배움이 실제 경험과 분리되지 않는 교육을 가능하게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수업에서 학생들의 생활기술과 자가조절학습 전략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며 선행연구를 통해 알려진 PBL의 장점들이 학생들의 학습 과정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한국의 한 대학교에서 3학점인 프로젝트 수업이 4주간 이뤄졌고, 본 수업은 23명의 영어전공자들을 위해 개설되었다. 프로젝트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학생들은 시간조절, 협동심, 업무기준평가와 참여도에 대해 자가평가를 프로젝트 수업동안 3회 진행하였다. 자가평가 이외에도 학생들은 그들의 전략과 진행사항을 기록한 자기성찰지를 3회 작성하였다. 자가평가와 자기성찰지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협동심에 대한 인식이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증진되었다는 점을 알아냈다. 또한, 학생들은 자가조절학습의 3단계를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모두 거쳤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PBL은 학생들의 협동심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고, 자기조절전략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생활기술 및 자기조절 학습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적 제안을 한다. Project-based learning (PBL) encourages self-autonomy and connects learning and real-life skills in the learning proces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students life skills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in a PBL curriculum in order to examine how the proposed benefits of PBL are manifested in students’ self-awareness of their learning process. Twenty-three students in a university in Korea participated in a 3-credit, 4-week, intensive PBL course for English majors. During the PBL course, students were asked to self-assess their life skills related to time management, cooperation, standard of work, and participation three times. In addition to the self-assessment, students kept reflection journals to keep track of their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progress which were also submitted three times. Based on the analysis of self-assessment and self-refle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perception of cooperation improved significantly during PBL.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students also progressed through the three phases of self-regulated learning. Implications on suggesting on the use of PBL to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life skills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re provided.

      • KCI등재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ESP Needs: A Case of X University

        정선주(Chung Sun 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9

        목적 본 연구는 X대학의 간호전공 대학생들의 특수목적영어 교과목 개발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간호 전공 학생들의 영어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X대학 선택 교양 영어 교과목에 간호 전공 학생들의 저조한 등록률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간호 전공 학생들을 위한 특수목적영어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X대학의 233명의 간호전공학생들을 대상으로 요구분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현 교양영어에 대한 만족도와 특수목적영어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았다. 요구분석 설문조사는 특수목적영어에 대한 요구 이외에도 학생들이 선호하는 교수언어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은 현재 교양영어에 대해 다소 긍정적인 만족도를 보였다. 간호 전공 학생들을 위한 특수목적영어 교과목에 대한 요구와 그러한 교과목이 열렸을 때 수강할 의향에 대해서 물었을 때, 학생들은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학생 특성 중 영어에 대한 관심이 특수목적영어에 대한 필요성, 특수목적영어 수업의 수강의지, 원어민 강사필요성과 수업에서 영어의 사용 비율과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결론 학생들은 특수목적영어 교과목을 통해 그들의 구두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켜 다각적인 업무 현장의 요구에 충족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학생들을 위한 특수목적영어 교과목 개발을 위한 교육적 활용 방안을 제안한다. Objectives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the English instructional needs of nursing students at X University to guide the potential development of nursing English for Special Purposes (ESP) course. Methods Due to the low enrollment of elective general English courses among nursing students at X University,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d the needs for a more specialized nursing ESP curriculum. A needs analysis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233 nursing students at X university in order to find out their satisfaction level of the current general English curriculum and the students’ perceived needs for nursing ESP. The questionnaire also asked students to identify their preferred medium of instruction for a potential nursing ESP course. Results The findings from the showed that students had a moderately positive satisfactory level toward the current general English course. With regard to their perceptions on the need for nursing ESP and their willingness to enroll in such courses, students showed a high level of need for nursing ESP as well as a high willingness to take nursing ESP courses if offered. Students’ interest in Englis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ir perceived need for ESP, intent to take ESP, need for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and the amount of English used in instruction. Conclusions The students wanted to enhance their oral communication abilities from nursing ESP in order to meet the diversified needs of the current workplace.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mplications for developing nursing ESP courses are offered.

      • KCI등재

        Use of Rubric-referenced Self-assessment in EFL Instruction:

        Chung, Sun Joo(정선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0

        본 연구에서는 교육 목적의 채점기준표를 이용하여 이뤄지는 자가평가가 자기조절학습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국의 한 대학교에서 16주 간의 실용영어 수업을 수강한 45명의 참가 학생들은 교육목적의 채점기준표를 사용하여 자신의 주장문을 자가 평가하고, 그 주장문에 대하여 자기가 준 점수의 근거와 해설을 제출하도록 하였다. 또한 참가 학생들은 그 채점기준표에 대한 자신의 이해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교육 목적의 채점 기준표에 대한 자신들의 생각을 공유하도록 하였다. 참가 학생들은 학기 말에 채점기준표를 자가평가 목적으로 사용하여 본 경험에 대하여 최종 감상문을 작성하였다. 참가 학생들 의 해설, 채점기준표의 이해도, 그리고 최종 감상문을 통해 얻은 자료에 의하면, 교육 목적의 채점 기준표는 참가 학생들이 Zimmerman (2002)이 설명한 자기조절학습의 3단계를 모두 거치는데 도움이 되었다. 또한 준거항목과 성취기준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는 채점기준표는 학생들이 과제에 대한 기대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사실도 밝혀 주었다.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the formative use of instructional rubric-referenced self-assessment and its influence on developing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Forty-five participants at a university in Korea in a 16-week practical English course self-assessed their response essays to course readings using an instructional rubric and provided rationale and commentary on their evaluations of their work. The students also shared their perceptions of the instructional rubric in an attempt to investigate participants’ comprehension of the rubric. At the end of the semester, they wrote final reflective essays on their experience using rubrics for self-assessment purposes. Data from student commentaries on self-assessment, rubric comprehension questions, and final reflective essays showed that the instructional rubric guided participants through the three phases of self-regulated learning as propsed by Zimmerman (2002). It was also found that rubrics with detailed performance descriptors wer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expectations of the assign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even in an integrated-skills practical English class, use of instructional rubrics can help students become more aware of their writing progress and evaluate their learning.

      • KCI등재

        통합형 독해-작문 과업에서의 L2 독해전략에 대한 연구

        정선주(Chung Sun 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8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integrated reading-writing tasks on students’ perceived use of reading strategies. In a 16-week practical English course that implemented an integrated skills approach at a Korean university, the Survey of Reading Strategies (SORS) was administered to 32 students prior to and after instruction to compare differences in perceived use of reading strategies as an influence of reading-writing tasks. Then, at the end of instruction, students wrote on their perceived use of reading strategie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students’ perceived use of reading strategies in all three categories of SORS. Data from students’ written statements support the findings from SORS analysis in that students were able to adjust their reading strategies to meet the demands of reading-writing task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connecting reading and writing can enhance students’ engagement with text and encourage students to use varying reading strategies. Implications for teaching are provided to offer instructors ideas on how to incorporate reading-writing tasks in their classrooms. 본 연구에서는 통합형 독해-작문 과업이 학생들이 인지하는 독해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한국의 한 대학에서 통합형 과업 수업방법을 활용하여 16주간 진행된 실용영어 수업에 참여한 32명의 학생들에게 수업실행 전과 후에 Survey of Reading Strategies (SORS)를 실행하여 독해-작문 과업에 따라 학생들이 인지하는 독해 전략을 비교해 보았다. 그리고 수업실행 후에 참가학생들에게 그들이 인지하는 독해 전략에 대해 감상문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독해 전략 분석 결과에 의하면 학생들은 SORS에서 제시한 3가지 독해 전략 분류 모두에서 유의미한 통계학적 차이를 보였다. 학생들의 감상문 분석 결과, 학생들이 통합형 독해-작문 과업의 요구사항들에 맞추기 위해 자신들의 독해전략을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SORS의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본 연구는 독해와 작문을 연결하는 과제를 통해 학생들이 텍스트와 상호작용하고 다양한 독해 전략의 사용을 독려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또한 본 연구는 교수자들에게 통합형 독해-작문 과업을 어떻게 수업에 적용할 것인지에 대하여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교육적 함의를 내포하고 있다.

      • KCI등재

        EFL Learning and Making Meaning of Literacy in the Korean Context

        정선주(Chung, Sun 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대학의 EFL (외국어로서의 영어) 읽기와 쓰기 수업에 있어서 한국 학생들이 영어 학습과 관련하여 비판적 문해력 (critical literacy)과 전통적 문해력 (traditional literacy)의 통합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하는 문제와, 강사가 학생들로 하여금 위 두 가지 문해력의 통합의 중요성을 살펴보도록 어떻게 권장할 수 있는지 하는 문제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a) 비판적 문해력을 통해 읽기와 쓰기 능력을 지원하는 방법, b) 비판적 문해력 의미와 문해력에 대한 학생들의 관점 이해, 그리고 c) 수업을 통해 EFL 비판적 문해력 향상 방안을 고찰한다. EFL 수업에서 있어서 비판적 문해력에 대한 학생들의 관점 연구와 EFL 수업에 있어서 비판적 문해력 적용 문제의 연구를 위해 교사 연구 방법론을 적용했다. 주된 데이터에는 강사의 교육 일지와 학생의 글쓰기 과제가 포함된다. 연구 결과의 분류를 위해 읽기의 4 가지 패러다임에 의존하여 코드 체계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은 비판적 문해력을 주의 깊은 독서로 이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는바, 비판적 문해력은 학생들이 글에 숨겨진 의미를 발견하고 다양한 관점을 심사숙고해 보도록 하며, 나아가 학생들의 독해력을 개발하고, 자신의 생각을 글로 표현해 보도록 유도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문해력 증진 방법에 대한 교육학적 제안도 논의한다. The current study explores how Korean students in an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reading and writing elective course in a South Korean university perceive the integration of critical literacy with traditional literacy with regards to learning the English language. The study also considers how the instructor may encourage students to see the value of integrating the two. In doing so, the study specifically examines a) how to support reading and writing skills through critical literacy, b)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critical literacy and students’ perspectives towards critical literacy, and c) ways EFL critical literacy develops through the course. A teacher research method was used to explore students’ standpoint on and the application of critical literacy in the EFL course. Primary data includes the instructor’s teaching logbook and students’ written assignments. Relying on the four paradigms of reading, a code scheme was used to categorize the findings. The findings revealed that students recognize critical literacy as mindful reading, which allowed them to discover embedded meanings in the text and reflect on various points of view. It also assisted in building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and encouraging them to voice their ideas in writing. Pedagogical suggestions on how to promote critical literacy are discussed.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로봇활용교육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애경,선주,Chung, Ae-Kyung,Byun, Sun-Joo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8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8 No.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로봇활용교육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3년제 전문대학 재학생 2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배경변인별 수용의도와 각 예측요인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test와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고,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혁신의지, 사회적 영향력이 예비유아교사의 로봇활용교육 수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중다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배경변인에 따라 수용의도와 각 예측요인은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여러 예측요인 중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만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각된 용이성에는 혁신의지와 사회적 영향력이, 지각된 유용성에는 지각된 용이성과 사회적 영향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doption intention of Robot-based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59 college student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3.0.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adoption intention and predictive factors according t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In additio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influence of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efficacy, innovative will, and social effect on adoption intention. The results were found that adoption intention and predictive factor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and that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efficacy influenced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doption intention. Moreover, innovative will and social effect had an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ease of use and social effect had an effect on perceived efficacy.

      • KCI등재

        초등 영어교사의 교수전문성과 언어평가 문해력 인식에 대한 연구

        양현영 ( Yang Hyun Young ),정선주 ( Chung Sun Joo ) 글로벌영어교육학회(구 호남영어교육학회) 2020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fessional awareness and language assessment literacy of elementary EFL teachers and whether their perceptions and awareness may differ based on their background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174 elementary EFL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to investigate their experiences and perceptions regarding professional awareness and language assessment literacy. Elementary EFL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was measured based on the perception scale of professionalism in English education. Their assessment literacy was measured through a survey that was developed based on the language assessment literacy construct. The finding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FL element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in professionalism awareness based on their gender, teaching career, how they became EFL teachers, and their specialization in English education. In terms of language assessment literacy, there were differences based on teachers’ age and training experiences. Based on the findings, the authors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elementary EFL teacher training.

      • KCI등재

        Professional Teacher Identity and Innovational Instructional Approaches

        Kim, Jungyin(김정인),Chung, Sun Joo(정선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1

        본 연구는 한국 초급 영어 교사 그룹이 EFL (외국어로서의 영어)을 가르치는 데 있어서, 혁신적인 교수법의 적용 방안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질적 다중 사례 연구 접근 방식을 취한 본 연구는 다양한 중등학교 상황에서 혁신적인 언어 교수법 및 학습 접근법을 사용하는 교사의 정체성을 탐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한 일 년간의 인터뷰를 문서화하기 위해서 교사 정체성 프레임 워크를 사용하였습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혁신적인 언어 교수법 및 학습 접근법 적용 하는 것은 주요 교사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 지는 것과 특정유형의 교사 자신에게 보여 지는 것에 영향을 준다. 게다가 연구 결과는 교사들을 위해 서 자신의 정체성을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새로운 교수법 및 학습 방법을 성공적으로 적용하는 데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특히, 데이터는 교사 자신의 정체성을 탐색할 수 있는 기회의 제한이 새로운 교수법 및 학습실천 방법의 성공적인 적용을 방해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기회의 제한은 결국 특정 유형의 정체성 가진 교사가 타인으로 부터 소외되게 이끌게 될 수도 있습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혁신적인 교수법을 성공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교사와 혁신적 인 교사 같은 이분법적인 구분을 하지 말 것을 제안합니다. 추가적으로, 새롭고 혁신적인 교수법 및 학습 실천방법의 적용을 위한 대한 시사점과 제안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The study examined the appropriation of innovational instructional approaches in teaching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by a group of novice English teachers in South Korea. Taking on a qualitative multiple case study approach, the study used a teacher-identity framework to document interviews over one year to explore ways the focal teachers navigated their teacher identity with innovational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es within various secondary school contexts. Findings showed that the appropriation of innovational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es informed ways the focal teachers’ were positioned by others as well as positioned the self as a specific type of teacher. Findings also showed that providing space for teachers to explore their desired teacher identity was important in the appropriation of new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In particular, data revealed that limited space for teachers to explore their desired teacher identity obstructed the appropriation of new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This, in turn, may lead to specific types of teacher identities to become marginalized by others. The study’s results suggest deconstructing the dichotomous labels such as ‘traditional’ and ‘innovational’ teacher.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appropriation of new and innovational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