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 그림책을 활용한 감상 활동이 유아의 공감 능력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정미애(Jeong, Mi-Ae),김보림(Kim, Bo-Rim),권정윤(Kwon, Jeong-Yoo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학논집 Vol.24 No.1

        본 연구는 서사 그림책과 달리 짧은 글과 문장, 시화로 구성된 시 그림책을 활용한 감상 활동이 만 5세 유아의 공감 능력과 언어 표현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S시 만 5세 M어린이집의 실험집단(20명)과 N어린이집의 비교집단(20명)이며, 시 그림책을 활용한 감상 활동은 주 2회 7주 동안 총 14회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시 그림책을 활용한 감상 활동을 경험한 유아들이 일반적인 문학 활동을 경험한 유아들에 비해 공감 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 그림책을 활용한 감상 활동을 경험한 유아들이 일반적인 문학 활동을 경험한 유아들에 비해 언어표현력의 하위요인 단어 수와 문장 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시 그림책의 특성을 중심으로 유아 문학교육에서 감상 활동의 중요성과 통합적 활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poetic picture books, which are composed of short sentences, a piece of writing, and poetry, on the empathy and linguistic-expression abilities of 5-year-old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the experimental group (20 people) of M daycare Center aged 5 years old and the comparison group (20 people) of N daycare Center in S city. The appreciation activity using the poetic picture book was conducted twice a week, 14 times over seven week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pathetic ability among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poetic picture books compared to those who have experienced general literary activities. Seco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words and sentences that are sub-factors of linguistic-expression ability among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poetic picture books compared to those who have experienced solely general literary activ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ortance of appreciation activities and the possibility of integrated use in children’s literary education was discussed,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ic picture books.

      • KCI등재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 대상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

        정미애(Mi-Ae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6

        북한이탈주민의 구강건강 수준을 향상시키려면 구강병 치료와 함께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 정착한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으로 Dick&Carey 모형을 선정하였다. 학습자 및 환경 분석을 위해 전문가 면담을 한 결과,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구강보건교육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크게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이해 선행 필요, 북한의 일상 언어 숙지 필요, 북한이탈주민에게 적합한 동기화전략 개발 필요, 전신건강과 연계된 교육내용 수립, 지역사회의 특성을 반영한 현실적인 교육방법 모색필요 등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개발 결과, 45개의 학습목표가 개발되었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10차시의 교육이 계획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북한이탈주민 대상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은 향후 북한이탈주민 대상 구강보건교육을 계획하는 치과위생사와 북한이탈주민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To improve the oral health level of North Korean defectors, it is necessary to improve awareness of oral health care along with treatment of oral dis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applied to North Korean defectors who have settled in local communities. To develop the program, three steps were taken: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 with experts, and program development applying the Dick&Carey model. As a result of in-depth expert interviews, what should be considered in oral health educ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is the need to understand North Korean defectors in advance,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the daily language of North Korea, to develop a synchronization strategy suitable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to connect with whole body healt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need to establish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to seek realistic education method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ies. As a result of developing the program, fifty learning goals were developed, and ten sessions were planned. Th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North Korean defectors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be of practical help to dental hygienists planning oral health educ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future and North Korean defectors.

      • KCI등재

        보육교사의 정서조절능력이 교사효능감 및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정미애(Mi-Ae Jeong),유경훈(Kyoung-Hoon Lew)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9

        본 연구 보육교사의 정서조절능력이 교사효능감 및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의 보육교사 193명을 대상으로 정서조절능력, 교사효능감,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spss22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적률 상관계수, 선형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서조절능력, 교사효능감, 영아-교사 상호작용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정서 조절능력이 교사효능감과 영아-교사 상호작용을 회귀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보육현장에서 교사의 정서조절능력의 중요성과 함께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정서조절능력의 중요성을 밝힘으로써 보육현장에서 영아들에게 긴밀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보육교사의 정서조절능력을 위한 지원과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자료를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n teacher efficacy and infant-teacher interaction. To this end, 193 infant teach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surveyed on emotional control, teacher effectiveness, and infant-teacher interaction, and the SPSS22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using proper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linear regression. First, the study found that emotional control ability, teacher effectiveness, and infant-teacher interaction were statically correlated. Second, infant teachers’ emotional control skill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after regression analysis of teacher efficacy and infant-teacher interac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pport is needed along with the importance of teachers’ emotional control skills at the childcare site. This study reveals the importance of infant teacher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evidence on the need for support and programs for infant teacher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at can closely affect infants at the childcare site.

      • KCI등재

        지역별 장애인 학교 구강보건사업 평가 비교

        정미애(Mi-Ae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7

        장애인 특수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학교구강보건사업 항목과 내용이 우리나라 각 지역별의 특색에 따라 다르므로 전국 142개 장애인 학교 담당 보건교사들을 대상으로 학교 구강보건사업에 대한 자체 평가를 실시하여 지역별로 잘못된 점을 보완하여 향후 장애인 학교 구강보건사업 기획 시 참고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종합평가 결과 경상도 지역 특수학교 구강보건사업이 가장 높은 평점을 받았으며 서울특별시가 장애인 특수학교 구강보건사업 항목이 가장 적어서 낮은 평점을 받았던 것으로 조사되었고 장애 아동에 대한 별도의 구강보건교육목표 설정과 학교불소용액양치, 치면열구전색사업과 학교구강보건실 운영 사업을 확대함이 권장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al health plans of 142 special schools for disabled youth in different regions across the nation based on the self-evaluation of their school nurses in an attempt to help improve school oral health plans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planning of oral health plans for schools for disabled youth, as the oral health plans of special schools for disabled youth depended on loc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make a synthetic evaluation, the oral health plans of special schools located in Gyeongsang Province ranked first, and those of special schools in Seoul scored low due to the smallest number of items included. And it's recommended to select separate objectives of oral health education geared toward physically disadvantaged children, to extend school fluoride mouth rinse and pit & fissure sealing projects, and to enhance the management of school dental clin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