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흑보석' 포도의 GA<sub>3</sub>와 Thidiazuron(TDZ) 처리에 따른 과육 연화 지연 및 과실특성

        정명희,이별하나,박요섭,오진표,김희섭,박희승,Jung, MyungHee,Lee, ByulHaNa,Park, YoSup,Oh, Jin Pyo,Kim, HeeSeob,Park, Hee-Seung 한국원예학회 2015 원예과학기술지 Vol.33 No.2

        본 연구는 $GA_3$와 TDZ 처리에 따른 '흑보석' 포도의 품질 특성변화와 과실 연화 지연을 위한 생장조절제의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최종생산량은 저농도 $GA_3$ 단용처리에서 목표생산량 대비 88.3%로 낮았으나 TDZ를 2차에 혼용함으로써 최종생산량은 회복되었다. 착색을 기준으로 수확하였을 때 만개 후 100일까지의 수확률은 $GA_3$ 단용처리시 낮은 수확률을 보였으며 TDZ를 혼용할 경우 상쇄되었고 특히 2차에 혼용할 경우 효과적이었다. 반면에 생장조절제 처리시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만개 후 90일 이후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산 함량은 만개 후 90일부터 급격히 감소되어 당도와 산도를 기준으로 할 경우 오히려 무처리구에 비해 일찍 성숙기에 도달하였다. 경도는 $GA_3$와 TDZ 처리에 의해 활발한 세포비대와 세포분열로 과피가 두꺼워지고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무처리구에 비해 만개 후 최종 수확시까지 높게 유지되었으며 특히 1, 2차 $GA_3$ $2.5mg{\cdot}L^{-1}$ + TDZ $2.5mg{\cdot}L^{-1}$ 처리구에서 연화가 지연되어 과실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무핵과실은 TDZ를 혼용시에도 가장 높은 무핵률이 65.5%에 불과하여 무핵유기가 어려웠으며 열과발생은 모든 처리구에서 0.0-0.9%로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흑보석' 포도는 1, 2차 $GA_3$ $2.5mg{\cdot}L^{-1}$ + TDZ $2.5mg{\cdot}L^{-1}$로 처리하여 경도가 급격히 낮아지기 전인 만개 후 100일 이전에 수확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 the plant growth regulators (PGRs) on the characteristics of fruit and flesh softening, using GA3 and thidiazuron (TDZ) treatments in 'Heukboseok' grapes. The total yield obtained under PGR treatment was 88.3% lower than the target production when a single treatment with $GA_3$ of low concentrations was used, but the expected yield was recovered by combined treatment with TDZ and $GA_3$. When harvested on the basis of color, the harvest rate up to 100 days after full bloom (DAFB) was low with the $GA_3$ single treatment, but was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TDZ, with the second TDZ mixed treatment being particularly effective. The soluble solids content in the PGR-treated samples demonstrated no significant changes after 90 DAFB, while the acidity content decreased rapidly starting from 90 DAFB. Measured on the basis of sugar and acidity content, maturity was reached much earlier in treated fruit than in the non-treated fruit. Firmness was maintained at a higher level until the final harvest time after PGR treatment compared to untreated grapes according to epidermis thickness and flesh density increase to activity cell division and expansion by $GA_3$ and TDZ. In particular, the fruit quality was improved based on the delay of softening in primary and secondary treatments of $25mg{\cdot}L^{-1}\;GA_3+2.5mg{\cdot}L^{-1}$ TDZ. The production of seedless fruit was difficult, even with the inclusion of TDZ, reaching the highest seedless rate of only 65.5%. Fruit cracking was rare, occurring at a rate of about 0.0~0.9% in all treatments. Accordingly, 'Heukboseok' grapes should be harvested within 100 days after full bloom (DBFB) before a rapid decrease of firmness, conferred by primary and secondary treatments with $25mg{\cdot}L^{-1}\;GA_3+2.5mg{\cdot}L^{-1}$ TDZ.

      • KCI등재

        신약개발에서의 AI 기술 활용 현황과 미래

        정명희,권원현,Jung, Myunghee,Kwon, Wonhy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5 No.12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기술 중 가장 핵심적인 기술로 꼽히고 있는 인공지능은 다양한 분야에 접목되면서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패러다임의 전환을 가져오고 있다. 바이오 분야 역시 예외는 아니어서 컴퓨터, 전기·전자, 기계 등 타 학문과 융합되면서 방대한 데이터 기반의 AI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신약개발에서 AI 기술 도입은 신약개발의 효율성을 개선하고 효능 및 품질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신약개발은 다학제 분야가 접목된 융합 분야이고 개발 과정 단계별로 결과의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어 실용적 수준의 신약 개발을 위해서는 화학, 생물학, 독성학, 약동학 등 전문지식의 융합을 기반으로 하는 AI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신약개발은 크게 주어진 질병에 대한 타겟 물질 발굴 및 검증, 히트 및 선도물질 발굴, 도출된 화합물에 대한 합성 가능성 및 효능 등에 대한 평가(Scoring)를 거쳐 최적의 신약 후보 물질을 발굴하고 마지막으로 전임상과 임상 과정의 단계를 거친다. 이때 AI 기술은 모든 단계에서 적용될 수 있고 단계마다 특화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신약개발을 위해 적용되고 있는 AI 기술 현황과 현재 기술의 한계를 살펴보고 향후 신약개발에서 AI 기술의 발전 방향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Artificial intelligence is considered one of the core technologies lead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adopted in various fields bringing about a huge paradigm shift throughout our society. The field of biotechnology is no exception. It is undergoing innovative development by converging with other disciplines such as computers, electricity, electronics, and so on. In drug discovery and development, big data-based AI technology has a great potential of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quality of drug development, rapidly advancing to overcome the limitations in the existing drug development process. AI technology is to be specialized and developed for the purpose including clinical efficacy and safety-related end points based on the multidisciplinary knowledge such as biology, chemistry, toxicology, pharmacokinetics, etc. In this paper, we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AI technology applied for drug discovery and consider its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

      • SCIESCOPUSKCI등재

        착과량에 따른 ‘흑보석’ 포도의 과실 품질 및 수확기

        정명희(MyungHee Jung),권용희(YongHee Kwon),이별하나(ByulHaNa Lee),박요섭(YoSup Park),박희승(Hee-Seung Park) 한국원예학회 2014 원예과학기술지 Vol.32 No.3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 difference in quality according to control of fruit load and cluster weight when seeded ‘Heukboseok’ grape was grown in a conventional cultivation system. Clusters per vine were set to harvest 1,500 ㎏, 1,800 ㎏, and 2,200 ㎏ grapes per 990 ㎡. In plots treated to produce 1,800 ㎏ grapes, clusters were set to 3 grades produce grapes with 350 g, 500 g, and 700 g in cluster weight. Based on color chart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nistration) which show maturation stage for ‘Kyoho’ grape, grapes with higher than grade 9 were harvested at 80 and 90 days after full bloom, and the rest of them were harvested at 100 days after full bloom. The final yield of ‘Heukboseok’ grape was the lowest in target yield of 1,800 ㎏ with 700 g clusters with 75.5% of target yield, but 92.1%-100.1% of target yield were harvested in other treatments. Among treatments with several fruit setting, 83.3% of grapes harvested in treatment to produce 1,500 ㎏ grapes as a target yield at 90 days after full bloom. Among the treatments with different cluster weights, 93.5% grapes were harvested in the treatment with 350 g in cluster weight. ‘Heukboseok’ grape showed rapid maturation pattern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ither soluble solids content or acidity between 90 days from 80 days after full bloom. Therefore, to prevent flesh softening, it is appropriate to harvest fruit at 90 days after full blooms, and both yield and cluster weight wer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the fruits in ‘Heukboseok’ grape. It is confirmed that coloring and firmness was influenced by the final yield and weight per cluster, respectively. Therefore, the yield should be set as grape of 1,500 ㎏ per 990 ㎡ in target yield, and cluster weight should be adjusted to 350 g to produce grape of 1,800 ㎏ with the fruits of high quality. It is considered to be hard to produce grape of high quality with 700 g in cluster weight in ‘Heukboseok’ grape.

      • 웨이블렛 기반 변화탐지 기법에 관한 연구

        정명희 ( Myunghee Ju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3 No.1

        현재 인공위성 영상은 지구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탐지하기 위한 매우 효율적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지표에 대한 변화탐지는 원격탐사영상으로부터 지표변화를 찾아내 정량화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러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웨이블렛을 이용한 텍스쳐 분석의 효율성이 연구되었다. 분석된 영상은 0.6m급 고해상도 위성영상으로 지진 전후로 하여 지진피해 지역을 탐지하기 위해 영상에서 관찰되는 풍부한 텍스쳐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 졌다. 텍스쳐 특징을 추출하기 위해 GLCM이 이용되었는데 직접적인 GLCM의 적용보다는 웨이블렛변환 후 GLCM의 적용이 텍스쳐 특징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방법임이 검사되었다. 이러한 웨이블렛 텍스쳐 특징 추출 후 상관관계에 기반한 변화탐지 기법을 적용하면 피해지역을 매핑할 수 있다.

      • KCI등재

        신경망을 이용한 MODIS NDVI의 자동화 변화탐지 기법

        정명희(Myunghee Jung) 大韓電子工學會 2012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9 No.2

        지구의 중요한 천연자원인 산림을 포함한 자연 식생환경은 지난 1세기 동안 많은 변화를 겪으며 기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현재 지구적 차원의 관심 속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원격탐사는 분광적 특성을 이용하여 식생의 특성을 탐지할 수 있어 식생자원을 모니터링하는데 매우 효율적인 수단이다. 이러한 연구에서는 보통 원격탐사 측정을 분석하여 관찰된 화소가 식생을 포함하고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식생지수가 사용되고 있는데 NDVI가 이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식생지수이다. 본 논문에서는 MODIS NDVI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식생의 변화를 탐지해 가는 방법론이 제안되어 있다. 변화탐지를 위해 비모수 방법의 신경망 모형이 사용되었고 특성벡터로는 한 화소에서 다중 시기의 NDVI 차이와 더불어 NDVI 시계열 자료의 시간상의 관계가 함께 고려될 수 있도록 제안되었다. 사용된 모형의 테스트를 위해 2006년부터 2011년까지 한반도 지역에 대한 MODIS MYD13Q1 자료가 사용되었다. Natural Vegetation cover, which is very important earth resource, has been significantly altered by humans in some manner. Since this has currently resulted in a significant effect on global climate, various studies on vegetation environment including forest have been performed and the results are utilized in policy decision making. Remotely sensed data can detect, identify and map vegetation cover change based on the analysis of spectral characteristics and thus are vigorously utilized for monitoring vegetation resources. Among various vegetation indices extracted from spectral reponses of remotely sensed data, NDVI is the most popular index which provides a measure of how much photosynthetically active vegetation is present in the scene. In this study, for change detection in vegetation cover, a Multi-layer Perceptron Network (MLPN) as a nonparametric approach has been designed and applied to MODIS/Aqua vegetation indices 16-day L3 global 250m SIN Grid(v005) (MYD13Q1) data. The feature vector for change detection is constructed with the direct NDVI diffenrence at a pixel as well as the differences in some subset of NDVI series data. The research covered 5 years (2006-20110) over Korean peninsular.

      • AI 기반 신약개발 기술 현황과 미래

        정명희(Myunghee Jung),권원현(Wonhyun Kw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 여성 ICT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8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기술 중 가장 핵심적인 기술로 꼽히고 있는 인공지능은 다양한 분야에 걸쳐 활용되면서 우리 사회 전반에 패러다임의 전환을 가져오고 있다. 바이오 분야는 컴퓨터, 전기 · 전자, 기계 등 타 학문과 융합되면서 보건의료 및 헬스케어에 적용이 확대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신약개발 분야에서도 방대한 데이터 기반의 AI 기술을 도입하여 새로운 신약개발 패러다임을 만들어 가고 있다. 신약개발은 다학제 분야가 접목된 대표적인 융합분야로 분야별 전문성이 크게 요구된다. 개발 단계별로도 결과의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어 산출된 결과물을 활용하여 실용적 수준으로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일반적인 AI 기술을 접목하는 수준 이상의 특화되고 전문지능화된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신약개발은 타겟 물질 발굴 및 검증, 히트 및 선도물질 발굴, 화합물에 대한 합성 가능성 및 효능 등에 대한 평가(Scoring)를 거쳐 최적의 신약후보 물질을 발굴하고 전임상과 임상 과정의 단계를 거친다. 이때 AI 기술은 모든 단계에서 적용될 수 있고 단계마다 특화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신약개발을 위해 적용되고 있는 AI 기술 현황과 현기술의 한계를 살펴보고 향후 신약개발에서 AI 기술의 발전 방향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Currently, artificial intelligence is considered one of the core technologies lead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ield of biotechnology is undergoing innovative development by converging with other disciplines such as computers, electricity, electronics, and so on. Such convergence technology is not only expanding its application to health care, but also creating a new drug development paradigm by introducing AI technology. AI technique is rapidly advancing to overcome the limitations in the existing drug development process. Instead of applying general AI technology, it is to be specialized for the customized drug development including the consideration of clinical efficacy and safety-related end points. There are still uncertainties in each stage and the current proxy measures and available data cannot fully utilize the potential of AI. AI can be applied at each stage in drug discovery and require the qualitative and specialized data to advance better candidates into the clinic.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AI technology being applied for drug discovery and its limitations and consider its future direction.

      • KCI등재

        원격탐사 영상의 3D 시각화와 데이터베이스의 활용

        정명희(Myunghee Jung),윤의중(Eui-jung Yun) 대한전자공학회 2008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5 No.3

        원격탐사 영상과 고도자료를 사용하여 지구환경을 3차원으로 시각화할 수 있는데, 이것은 지구과학분야에서 정보를 3차원공간에서 탐색하고 분석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해준다. 지구환경을 보다 현실감 있게 시각화하고 이를 통해 공간적 특징이나 객체 지형들 간의 관계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려면 3D 공간 표현의 지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2D, 3D 공간자료와 관련 벡터 자료가 통합되어야 하고, 또한 지질이나 지표 객체들 간의 상대적 위치와 위상학적 관계가 통합되어 함께 다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지구과학 및 지구환경 문제의 3차원 시각화에서는 3차원 모델링과 위상 분석, 데이터베이스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구과학 및 지구환경 분야에서 3차원적 특성을 포함한 동적모형 개발과 시뮬레이션 환경 기반을 제공하도록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하여 시각화하는 방법과 자료추출 및 관리, 3차원 가상공간에서 동적 모형화를 활용하는 방법론에 관하여 연구되었다. 3D visualization of geological environments using remotely sensed data and the various sources of data provides new methodology to interpret geological observation data and analyze geo-information in earth science applications. It enables to understand spatio-temporal relationships and causal processes in the three-dimension, which would be difficult to identify without 3D representation. To build more realistic geological environments, which are useful to recogniz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s of geological objects, 3D modeling, topological analysis, and database should be coupled and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an integrated configuration of the system. In this study, a method for 3D visualization, extraction of geological data, storage and data management using remotely sensed data is proposed with the goal of providing a methodology to utilize dynamic spatio-temporal modeling and simulation in the three-dimension for geoscience and earth science applications.

      • 특허 데이터에 기반한 디지털 휴먼 기술 기반의 안전교육 발전 방향

        정명희(Myunghee Jung) 대한전자공학회 2024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6

        Occupational safety education is a crucial aspect of modern workplaces, aimed at mitigating occupational hazards and ensuring employee welfare. The advancement of digital human technology offers revolutionary methods for safety education by providing immersive, interactive, and realistic learning environments.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utility of digital human technology in safety education methods and its diverse applications across various industries. Through an analysis of patent trends, this study also seeks to contemplat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 SCIESCOPUSKCI등재

        ‘흑보석’ 포도의 GA₃와 Thidiazuron(TDZ) 처리에 따른 과육 연화 지연 및 과실특성

        정명희(MyungHee Jung),이별하나(ByulHaNa Lee),박요섭(YoSup Park),오진표(Jin Pyo Oh),김희섭(HeeSeob Kim),박희승(Hee-Seung Park) 한국원예학회 2015 원예과학기술지 Vol.33 No.2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 the plant growth regulators (PGRs) on the characteristics of fruit and flesh softening, using GA₃ and thidiazuron (TDZ) treatments in ‘Heukboseok’ grapes. The total yield obtained under PGR treatment was 88.3% lower than the target production when a single treatment with GA₃ of low concentrations was used, but the expected yield was recovered by combined treatment with TDZ and GA₃. When harvested on the basis of color, the harvest rate up to 100 days after full bloom (DAFB) was low with t he GA₃ single treatment, but was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TDZ, with the second TDZ mixed treatment being particularly effective. The soluble solids content in the PGR-treated samples demonstrated no significant changes after 90 DAFB, while the acidity content decreased rapidly starting from 90 DAFB. Measured on the basis of sugar and acidity content, maturity was reached much earlier in treated fruit than in the non-treated fruit. Firmness was maintained at a higher level until the final harvest time after PGR treatment compared to untreated grapes according to epidermis thickness and flesh density increase to activity cell division and expansion by GA₃ and TDZ. In particular, the fruit quality was improved based on the delay of softening in primary and secondary treatments of 25 ㎎·L<SUP>-1</SUP> GA₃ + 2 .5 ㎎·L<SUP>-1</SUP> TDZ. The production of seedless fruit was difficult, even with the inclusion of TDZ, reaching the highest seedless rate of only 65.5%. Fruit cracking was rare, occurring at a rate of about 0.0~0.9% in all treatments. Accordingly, ‘Heukboseok’ grapes should be harvested within 100 days after full bloom (DBFB) before a rapid decrease of firmness, conferred by primary and secondary treatments with 25 ㎎·L<SUP>-1</SUP> GA₃ + 2.5 ㎎·L<SUP>-1</SUP> TDZ.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