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WSN에서 에너지 효율적인 클러스터링 기법

        정길수,이원석,송창영,Chung, Kil-Soo,Lee, Won-Seok,Song, ChangYoung 대한전자공학회 2013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0 No.6

        WSN (Wireless sensor network)은 에너지 제한적인 네트워크이기에 노드의 에너지 효율성이 중요한 문제이다. 라운드 단위로 동작하는 클러스터링은 노드의 먼 거리 통신을 피할 수 있기에 네트워크 수명을 증가시키는 효율적인 방법이며 그 성능은 라운드 시간에 좌우된다. 짧은 라운드 시간은 잦은 클러스터 재구성을 발생시키고 반면 긴 라운드 시간은 클러스터 헤드의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킨다. 그래서 현존하는 클러스터링 기법들은 네트워크 초기 변수들을 기반으로 적절한 라운드 시간을 결정한다. 하지만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운용 특성 상 노드가 추가될 수도 혹은 사라질 수도 있는 동적인 네트워크이기에 네트워크 전체 수명에 대해 네트워크 구성 초기 파라미터를 계속 적용하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필드에 살아있는 노드의 수를 기반으로 라운드 시간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하여 노드 수가 변화할 수 있는 동적인 네트워크에 적응하도록 하였다. 성능 분석 결과 기존에 비해 노드의 에너지 소비량이 감소하였으며 수신되는 데이터 손실도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As WSN is energy constraint so energy efficiency of nodes is important. Because avoiding long distance communication, clustering operating in rounds is an efficient algorithm for prolonging the lifetime of WSN and its performance depends on duration of a round. A short round time leads to frequent re-clustering while a long round time increases energy consume of cluster heads more. So existing clustering schemes determine proper round time, based on the parameters of initial WSN. But it is not appropriate to apply the round time according to initial value throughout the whole network time because WSN is very dynamic networks nodes can be added or vanish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algorithm which calculates the round time relying on the alive node number to adapt the dynamic WSN. Simulation results validate the proposed algorithm has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energy consumption of nodes and loss rate of data.

      • KCI등재
      • KCI등재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한국 한문소설의 ‘돈’에 대한 인식 - 조선 후기 한문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정길수 ( Chung Kil Soo ) 한국고소설학회 2021 古小說 硏究 Vol.52 No.-

        한국 한문소설에 나타난 ‘돈’, 혹은 ‘치부’(治富)에 대한 인식을 시간순으로 추적하고, 조선 후기 한문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돈’에 대한 인식과 시각 변화를 탐색해 보았다. 신라·고려시대의 초기 소설에서는 가난이 현실의 고통으로 주목되었으나 부를 향한 욕망은 드러나지 않았다. 조선 초에 재산 다툼이 소설의 소재가 되어 17세기 초 <유연전>에서 구체적 서사가 이루어졌다. <유연전>에서는 돈이 재앙의 근원이라는 인식이 강조되었다. 조선 후기 들어 돈과 치부를 제재로 삼은 한문소설이 다수 창작되었는데, 이는 다음 네 유형으로 나뉜다. 첫째, 뜻밖의 행운으로 단숨에 부를 얻는 유형. 둘째, 근면한 노동으로 부를 얻는 유형. 셋째, 가난한 선비가 도적 두목이 되어 부를 얻는 유형. 넷째, 국내외 무역을 통해 큰 부를 이루는 유형. 첫째 유형이 부에 관한 운명론적 생각을 담았다면 나머지 세 유형은 부가 남다른 능력이나 노력으로 획득되는 것이라는 공통된 인식을 지녔다. 둘째 유형에서 부는 목숨을 걸고 이루어야 할 대상으로 긍정되어 근검과 성실이 필수 덕목으로 강조되었고, 셋째 유형에서는 선비의 반사회적 일탈에 주목하여 현실을 고발했으며, 넷째 유형에서는 치부의 원리를 이해한 선비가 중계무역으로 재산을 증식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넷째 유형의 대표작인 박지원의 <허생전>은 치부의 구체적 과정과 조선 경제에 대한 예리한 통찰을 담았다. 주인공 허생은 조선의 취약한 경제구조를 비판하며 그 약점을 이용하는 한편 중계무역의 방법을 더해 막대한 이익을 얻었으나 ‘사대부의 도’라는 관점에서 돈과 자본의 부정적 측면을 강조한 결과 ‘상인의 도’를 낮춰보고 돈을 재앙이라 여기는 <유연전>의 인식으로 회귀했다. 반면 이현기의 <채생기우>는 부와 교양을 겸비한 ‘상인의 도’ 앞에 가난한 선비가 사대부의 지조를 내려놓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부에 관한 인식이 개인의 안락 차원에 머문 것이 약점이지만, 그 자신 사대부인 작가가 시대 변화에 따라 ‘사대부의 도’보다 우위에 설 수 있는 ‘상인 역관의 도’에 주목한 점은 평가할 만하다. I tracked the perceptions of "money" or "wealth" reflected in Korean novels in classical Chinese, and explored various perspectives toward money focusing on short stor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early novels of the Silla and Goryeo periods, the pain of poverty was noted, but the desire for wealth was not revealed. Property disputes became the subject of novels in the early Joseon, and specific narratives were made in Yu Yeon-jeon柳淵傳 in the 17th century. Yu Yeon-jeon revealed the perception that money is the source of disaster. A number of Korean novels were created that used money and wealth as sanctions in the late Joseon. This novels a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our types: First, the type of gaining wealth at once through unexpected luck. Second, the type of earning wealth through hard work. Third, the type in which a poor scholar become bandit and gain wealth. Fourth, the type of achieving great wealth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trade. Heo Saeng-jeon許生傳, a representative work of the fourth type, contained a detailed process of making wealth and a sharp insight about the Joseon economy. Heo Saeng criticized Joseon's weak economic structure and used the method of brokerage trade to increased his capital by 100 times, but as a result of emphasizing the negative aspects of mone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ay of a scholar", he returned to the perception of "money is the source of disaster." On the other hand, Lee Hyeon-gi's Chae Saeng gi-u蔡生奇遇 showed the process of a poor scholar putting down principles of a scholar in front of a rich and cultured merchant's province. The weakness of Chae Saeng gi-u is that its perception of wealth stay at an individual's level of comfort, but it is worth noting that the author, who is a schola himself, paid attention to "the way of a merchant", and it can take an advantage over "the way of a scholar" as the times change.

      • KCI등재

        17세기 동아시아 소설의 여성 서사 비교 - <운영전>,<원원전(圓圓傳)>,<호색일대녀(好色一代女)>의 경우-

        정길수 ( Kil Soo Chung ) 한국고전문학회 2013 古典文學硏究 Vol.43 No.-

        17세기 한국 고전소설 <운영전(雲英傳)>은 ‘자유연애’라는 애정전기(愛情傳奇)의 오랜 테마를 다루되 궁녀(宮女)를 여주인공으로 내세워 ‘자유와 억압’이라는 의미심장한 문제를 제기했다. 17세기 중국의 육차운(陸次雲)이 창작한 <원원전(圓圓傳)>과 일본의 이하라 사이카쿠가 창작한 <호색일대녀(好色一代女)> 역시 여주인공을 내세운 각국의 대표적인 소설이다. 본고에서는 세 작품의 여주인공이 처한 현실과 그들의 원망(願望), 이들 여 주인공을 보는 작가의 시각을 비교 고찰했다. <원원전>은 전통적인 3인칭 시점을 취했다. 작품의 문제의식과 그에 따른 기본 설정이 여주인공의 운명을 여주인공의 시각에서 바라보지 못하게 했기에 <원원전>은 진원원(陳圓圓)의 전(傳)을 표방했지만, 여주인공의 삶과 운명을 섬세하게 조망하는 데에는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반면 <운영전>과 <호색일대녀>의 작가는 1인칭 고백 형식을 택하여 여주인공의 삶을 여주인공의 목소리로 전달했다. <운영전>은 운영의 시선을 따라 그 욕망의 실현과 좌절 과정을 섬세하게 살핀 결과 ‘금지된 사랑’이라는 전통적인 애정 모티프를 ‘가장 자유롭지 못한 존재의 자유’라는 의미심장한 사회적 주제로 탈바꿈시켰다. <호색일대녀> 역시 一代女의 시점에서 남성 편력을 회고하고 반성했기에 그 참회의 대상인 어리석은 욕망이 인간 본능, 인간 숙명의 문제로 확대될 수 있게 했다. 17세기 동아시아 여성 서사는 <운영전>과 <호색일대녀>에 이르러 여주인공을 중장편소설의 서술자로 내세우는 새로운 형식을 시도함으로써 여성의 운명을 여성 자신의 목소리로 말할 수 있게 되었다. Woonyoung-jeon, a Korean classic novel in the 17th century, dealing with the theme of ‘free love’, raised a significant issue of ‘freedom and oppression’ by assigning the leading role to a court lady. Yuanyuan-zhuan圓圓傳 written by Lu Ciyun陸次雲 and Koshoku Ichidai Onna好色一代女 written by Ihara Saikaku井原西鶴, Chinease and Japanese representative contemporary novels, also layed the heroine in the center of the work. I compared the reality and desire of the heroine of these three works and the vision of three authors. Yuanyuan-zhuan chose the traditional third person point of view. But it failed to grasp the woman`s life and fate delicately in spite of claiming to be a biography of the heroine, because the author could not view the probl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eroine. Woonyoung-jeon and Koshoku Ichidai Onna, on the other hand, told the woman`s life with a voice of the heroine. In case of Woonyoung-jeon, it showed the process of realization and frustration of desi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eroine, and transformed an old motif of ``forbidden love`` to a meaningful social subject of ``the freedom of the being that was far from free``. In case of Koshoku Ichidai Onna, it also looked back and reflected on a woman`s various sexual experiences from a viewpoint of the heroine, by which ``human foolish lust`` could be extended to the subject of ``the fate of human``. Thanks to confessional narrative from the first person point of view of Woonyoung-jeon and Koshoku Ichidai Onna, the woman`s narrative in East Asian novels was able to have a format of telling woman`s life and fate in a woman`s own voice

      • KCI등재
      • KCI등재

        17세기 소설의 사랑과 운명 - "적강 모티프" 활용의 맥락

        정길수 ( Kil Soo Chung ) 한국고소설학회 2016 古小說 硏究 Vol.41 No.-

        17세기 고전소설의 대표작 < 운영전 > < 숙향전 > < 구운몽 >< 소씨삼대록 > < 창선감의록 > 을 대상으로 삼아 적강 모티프가 활용되는 맥락의 변화를 탐색했다운영전 에서는 작품의 비극성을 완화하고 주제의 심각성을 은폐하는 장치로 적강 모티프를 활용했다 숙향전 은 적강 모티프와 예언 구도를 결합하여 숙명론을 강조했는데 표면적으로는 지배 체제를공고하게 한 것처럼 보이나 그 이면에서는 중세적 속박을 뛰어넘은자유연애를 긍정했다구운몽 의 적강 모티프 역시 양면성을 지녔다 남성 중심의 자유연애와 일부다처를 긍정한 점이 지배이념에 잘 부합하는 반면 상층여성이 하층 여성을 동등한 관계로 인정한 점은 평등 지향의 진보적발상이다 소현성록 의 별전 소씨삼대록 에서는 일부다처를 정당화하고 여성의 투기를 절대악으로 보는 남성 중심의 시각을더욱 확고하게 만드는 장치로 적강 모티프를 활용했다창선감의록 은 적강 모티프의 혁신적 측면을 의식적으로 제거하고 보수적 측면만 극대화했다 적강 모티프에서 자유연애의 요소가사라진 대신 역사는 유가 지배이념의 체현자인 선민 이 승리하도록 예정되어 있다는 사필귀정 의 논리가 더해졌다 숙명론은 이제유가적 가치에 입각한 지배 질서를 정당화하는 논리로 탈바꿈했다 I researched the context of applying the ‘banishment from heaven’ motif in Unyeong-jeon, Sukhyang-jeon, Guunmong, Sossi-samdae-rok and Changseongamui-rok, masterpieces of Korean classical novels in 17th century. Unyeong-jeon took advantage of the ‘banishment from heaven’ motif as a device to alleviate tragic nature of the work and to conceal the seriousness of theme. Sukhyang-jeon emphasized fatalism by combining the ‘banishment from heaven’ motif and the plot of prophecy. The fatalism of Sukhyang-jeon seemed to consolidate the ruling system on the surface, but it meaned a support for free love against the medieval bondage on the hidden side. The ‘banishment from heaven’ motif of Guunmong also had a double face. It corresponded with the ruling ideology to support the male-dominated free love and polygamy, while it had a equality-oriented liberal idea that upper women accept the lower women as equal beings. Sossi-samdae-rok, a sequal to So-Hyeonseong-rok, took advantage of the ‘banishment from heaven’ motif as a device to reinforce the male-dominated view of justifying polygamy and regarding discord of wife and concubine as the absolute evil. Changseongamui-rok removed the innovative side of ‘banishment from heaven’ motif consciously and maximized only its conservative side. Instead of eliminating the elements of free love from the ‘banishment from heaven’ motif, it added a logic that God``s chosen people, as the embodiment of ruling ideology, were expected to win in history. Now fatalism turned into a logic to justify a ruling order.

      • KCI등재

        <도강고가부사(道康고家婦詞)>의 형식과 목소리 -한문 단편서사시 분석 시론(試論)

        정길수 ( Kil Soo Chung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0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6

        茶山丁若鏞(1762~1836)의 <道康고家婦詞>(소경에게 시집간 여자)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敍事漢詩이다. 본고에서는 <道康고家婦詞>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한문 단편서사시의 형식과 서술 방식의 분석을 위한 밑그림을 그려 보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먼저 한문 단편서사시 일반이 ``도입부``·``중심서사부``·``결말부``의 3단 구성을 취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道康고家婦詞>와 그에 앞선 서사한시의 도입부를 비교 검토하는 과정에서 단편서사시의 몇 가지 특징, 즉 짧은 서사 형식안에서 생동감 넘치는 재현을 이루기 위해 전형적 인물 형상의 창조와 압축적 장면 제시의 방법을 이용한 점, 인물의 행적이나 연속된 사건을 재현하되 ``모방적 재현``이 아닌 ``특징적 재현``을 목표로 하고 있는 점이 드러났다. 결말부의 고찰에서는, 서술자의 시각 변동, 서술자와 작중 인물인 하층민의 시각 차이에 주목하였다. <道康고家婦詞> 이전 작품의 결말부를 비교 분석한 결과 ``최종적인 목소리``의 상이한 지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서사의 ``시간``과 ``목소리``라는 새로운 문제가 제기되었다. ``시간`` 분석을 통해 <道康고家婦詞>과 같은 단편서사시에서도 ``시간의 균열``이 존재하는 점을 확인하고, 동일 시공간의 장면이 분산 배치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효과를 추론해 보았다. <道康고家婦詞> 주요 단락을 대상으로 한 ``목소리`` 분석에서는 목소리의 상호 침투, 서술자-장면서술자-등장인물의 역할 이동 양상을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道康고家婦詞>는 목소리의 중첩을 통한 효과적인 장면 축조라는 측면에서 고도의 창작 기량을 보여준 작품임을 알 수 있었다. 분석의 마지막에 이르러서는 ``시각 차이``와 관련하여 제기되었던 서사 양식의 특징적 효과, 곧 ``최종적인 목소리 비워두기``에 대한 해석을 가하였다. Jung Yak-yong(丁若鏞, 1762~1836)`s Dogang-Gogabu-sa(道康고家婦詞, A Woman married to a blind man) is a representative short narrative poem in Sino-Korean in the late Chosun. I tried to analyze the form and the descriptive method of short narrative poetry in Sino-Korean focusing on this masterpiece. First, I confirmed that short narrative poetry in Sino-Korean had the three parts, which are the beginning part, the middle narrative part, and the last part. In the course of comparing the beginning part of Dogang-Gogabu-sa and other narrative poetry created before it, I extracted some features of narrative poetry: the creation of typical characters, the pithy description of a scene, and the characteristic reproduction of characters`` activities and incidents, which is not mimetic reproduction. Comparing the last parts of those, I discovered the different directions of ``final voice``. Analyzing the voice of Dogang-Gogabu-sa, I searched the interpenetration of voices and the role change of narrator/scene-narrator/ character. As a result, I concluded that Dogang-Gogabu-sa was the magnum opus in that constructing scenes through the overlapping of voice showed a high level of creative skill.

      • KCI등재

        춘향전 인간학 -<남원고사>의 춘향과 주변 캐릭터-

        정길수 ( Chung Kil-soo ) 한국고소설학회 2023 古小說 硏究 Vol.56 No.-

        <남원고사>(南原古詞)는 <춘향전>의 초기 버전에 가까운 면모를 계승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춘향전>의 대표 이본이다. 본고는 <남원고사>의 세부 장면에 초점을 두어 이 작품이 보여주는 독특한 시각, 인간관의 일단을 드러내 보고자 했다. <남원고사>의 기생 김춘향은 <춘향전>의 여러 버전 중 가장 생기발랄한 야성을 보존하고 있다. 춘향은 매몰차고 교만한 데다 위기를 맞으면 거짓말도 서슴지 않으며 능수능란한 임기응변으로 상대를 제압할 줄 아는, 영악한 여성이다. 이몽룡은 경박한 호색한이다. 월매, 패두, 허판수 등의 수많은 조역들은 대개 눈앞의 이익에 따라 움직이는 ‘이진정소’(利盡情疎)의 세태를 보여주는 캐릭터에 해당한다. 이처럼 <남원고사」에 등장하는 거의 모든 인물은 규범적 시각에서 볼 때 나름의 결함을 지닌 존재여서 언제든 타인의 시선 앞에 희화화의 대상이 된다. 그러나 이들 모두는 <남원고사>의 세계 안에서 비난의 대상이 아니다. <남원고사」의 세계에는 ‘규범적 당위에 충실한 인간형’이 존재하지 않으며, 전형적인 선인이나 악인도 존재하지 않는다. 현실 어디에나 존재하는 보통의 인간은 이기적인 마음과 이타적인 마음, 잘난 마음과 못난 마음을 동시에 가진 존재다. 작자는 유머러스한 필치로 평범한 인간 군상의 이중적 면모와 함께 그들의 인생 단면을 보여주며 때로는 거룩함의 편에, 때로는 비속함의 편에 서서 인간 존재의 양면을 드러냈다. <남원고사>는 춘향과 이몽룡의 사랑 이야기이다. 춘향과 이몽룡은 ‘이진정소’의 세태 속에서 달콤한 유혹과 모진 시련을 넘어 사랑의 약속을 지켰다. <남원고사>는 그 사랑의 성취 과정을 그리는 가운데 성스럽기도 속되기도 한 인간 존재의 양면에 대한 냉정하고 따뜻한 시선, 실리에 따라 표변하는 세태까지 그대로 포용하는 시선 아래 인간의 어떤 마음과 태도가 존중받을 가치가 있는가 묻고 답하는 소설이 되었다. Namwon-gosa is an early version of Chunhyangjeon which is the representative work of Korean classical novels. I tried to reveal a unique perspective and apart of view of human beings shown by the author of Namwon-gosa by focusing on detailed scenes. Kim Chunhyang preserves the most lively wildness among the various versions of Chunhyang-jeon. Chunhyang is an astute gisaeng who is unsympathetic and arrogant and knows how to overpower her opponent with a skillful ad-hoc response without hesitating to lie when faced with a crisis. Yi Mongryong is a frivolous lecher. Wolmae, paedu(soldiers who flog a sinner), Heo pansu(a blind fortune teller), and many other supporting roles are characters that show the social trend of ‘blowing hot and cold by interests’. Almost all the characters in Namwon-gosa have their own defects from a normative perspective, so they are always subject to ridicule. However, none of them are targets of condemnation in Namwon-gosa. In the world of Namwon-gosa, there is no ‘human type faithful to normative justifiability’, and there is no typical good or bad person. Ordinary humans who exist everywhere in reality are beings who have selfish and altruistic hearts, good and bad hearts at the same time. The author showed one aspect of the lives of ordinary humans as well as their dual sides with a humorous touch, sometimes on the side of holiness and sometimes on the side of vulgarness, re- vealing both sides of human existence. Namwon-gosa is the love story of Chunhyang and Yi. Chunhyang and Yi kept their promise of love, overcoming sweet temptations and harsh trials in the trend of ‘blowing hot and cold by interests’. Namwon-gosa became a novel that asks what kind of human feelings and attitudes deserve respect under the cold and warm gaze(that embraces even the social trend of moving according to the interests) on both sides of human exis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