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남북한 교류에서 스포츠의 도구적 유용성에 대한 검토

        정기웅(Giwoong Jung)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0 OUGHTOPIA Vol.25 No.3

        남북교류에 있어 스포츠는 긍정적 효용성을 갖는다고 일반적으로 평가되어진다. 그러나 스포츠가 갖는 도구성은 정치적 상황에 종속되어 있으며, 남북한 관계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본 연구는 남북한 교류에서 스포츠가 갖는 도구적 유용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1953년부터 2007년까지의 남북한 교류를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다. 지금까지 남북교류에서 스포츠의 역할을 분석한 연구들은 대부분 스포츠의 상징성과 도구성에 집중하고 그 역할을 과도하게 강조함으로써 이면에 숨겨져 있는 남과 북의 정치적 의도와 시기적 상황, 맥락적 연결성 등을 상대적으로 미미하게 취급한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스포츠를 통한 남북교류를 분석함에 있어 스포츠가 도구적 유용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스포츠를 도구로서 작동시키고자 하는 남과 북의 전략적 선택이 우선되어져야 함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성을 갖는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의 설명을 위해서 합리적 선택이론의 틀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남북이 양자간 대화에 대해 갖고 있던 정치적 의도와 시기적 상황, 맥락적 관계성 등을 고찰함으로써 남과 북의 전략적 사고를 검토하고, 이에 근거한 결과에 대한 선호의 분석과 게임구조의 결정, 지배전략들을 고찰함으로써, 결정된 전략목표의 달성을 위해 스포츠가 어떠한 식으로 활용되었는지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 It is generally regarded that sport has a positive utility relating to the negotiat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But the role of sport as a politico-diplomatic tool is totally dependent upon political situations. It really is regarding the relations between two Koreas.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role of sport as an instrument for the negotiations between two Koreas from 1953 to 2007. Existing studies on the role of sport in the relations between two Koreas have focused on symbolic and instrumental aspects of sport and overemphasized those traits, which made them be relatively negligent in examining and tracing the hidden political intentions, situations of the time and contextual connectivity between two Koreas. This article emphasizes that strategic choices made by the governments of two Koreas play an important role when casting sport as an instrument to develop relations between two Koreas, which makes this articl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studies. This article adopts the framework of rational choice theories and explores the strategic thoughts of two Koreas through reviewing the political intentions, situations of the time and contextual relations. Based on this, preferential order, matrix of the game and dominant strategies are explored. In this vein, the role of sport in pursuing such strategic aims is also examined.

      • KCI등재

        사이버정치

        정기웅(Giwoong Jung) 21세기정치학회 2005 21세기 정치학회보 Vol.15 No.3

        The article aims to examine following two points with regard to the political activities in the cyberspace. First, it names the all the activities in the cyberspace 'cyberpolitics' and examines the state of the art of the subject to search for the direction of the study. Second, it tries to find the right status of the study in the stream of the political science education through the questionnaire answered by various political scientists. As to the first point, the political scientists, who are concentrating on cyberpolitics, address themselves to the various fields such as information society, democracy, political parties and parliament, cyber-government, electoral system, international politics and security. But the study is mainly concentrated on general aspects of cyberpolitics, and on the process of being diversified into its specific characteristics. The study of cyberpolitcs has not succeeded in building a theoretical frame yet, and this is mainly because of failing to acquire the conceptual agreement on the terms used to proceed the study. So it gives rise to the need of study on the subjects such as the role of citizens in the political process as active participants,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it also calls for the need to accumulate data for preparing further studies in the field of electoral study. With regard to the second point, the article finds that the cyberpolitics classes are not widely opened in Korean universities. But the need to open the class is actively recognized, and the possibility of opening the cyberpolitics class becomes larger and larger. When it comes to the subjects which are to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democracy and political process were the two major responses from the answers.

      • KCI등재

        노태우 정부 이후 역대 정부의 북방정책: 통일정책에서 국가전략으로

        정기웅 ( Jung Giwoong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1 국제지역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노태우 정부 이후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문재인으로 이어지는 대한민국 정부의 북방정책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87년 민주화 이후 출범한 역대 대한민국 정부들은 그 외교정책에 있어 특정한 방향성을 특별한 어휘로 천명하여왔다. 각자의 독특성 속에서도 한 가지 변하지 않는 것은 어떠한 형태로든 북방에 대한 지향성이 포함되어 있었다는 것이다. 북방정책의 등장은 휴전 이후 한 세대에 이르는 기간 동안 냉전적 양극구조에 종속되어 피동적 위치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던 한국외교가 일대 전환점을 맞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탈냉전으로 상징되는 신국제질서의 도래는 한국외교의 피동성과 체계종속성이라는 한계를 벗어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고, 한국외교는 이 기회를 적극 활용하고자 하였다. 북방정책은 특히 한미동맹으로 상징되는 한국외교 중심축의 변화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북방정책 연구에서 의미하는 북방에 대해 논하고, 북방정책의 탄생과 정체성을 고찰한다. 이후 역대정부의 북방정책과 남북한 관계를 살펴보고, 세 가지 분석수준의 시각에서 북방정책을 검토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북방정책의 변화를 평가하고, 결론으로서 향후 북방에 대한 우리 외교정책의 지향점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Northern Policy of the Korean Government from Roh Tae-woo to Moon Jae-in. The advent of the Northern Policy of Korea means that Korean foreign policy encountered a turning point from a passive status owing to the bi-polar system of the Cold War after a generation’s restraint since the end of the Armistice in 1953. After 1987 democratization process, every Korean government declared specific orientation in its foreign policy with special words. Each showed its peculiarity, but in common it all includes the directivity of the North in any form. The New World Order, which is represented by the Collapse of Cold War, provides a chance for Korea to escape the passiveness and dependency on the global system. Korea took advantage of the chance to open a new foreign policy. The Northern policy especially shows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he central axis of Korean foreign policy which has been represented by the Korea-US alliance. The organizat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tries to find the meaning of the North in Northern Policy researches and reviews the birth and identity of the Northern Policy. Then, it examines the Northern Policy of Korean Government and South-North relationships and reviews the Northern Policy by applying the three levels of analysis. Based on this, the study evaluates the changes of Northern Policy purposes and suggests the future directivity of Korean foreign policy as a conclusion.

      • KCI등재

        불법행위 성립요건으로서 과실의 개념과 불법행위 책임체계에서의 지위

        정기웅(Jung, Ki-Wung) 한국비교사법학회 2011 비교사법 Vol.18 No.3

        In § 750 des koreanischen bürgerlichen Gesetzbuchs steht das Prinzip der Verschuldenhaftung: “Wer vorsätzlich oder fahrlässig einem anderen widerrechtlich einen Schaden zufügt, ist diesem zum Ersatz des daraus entstehenden Schadens verpflichtet.” Dies beruht sich auf dem Naturrechtsgedanken für die Gewährleistung der privaten Autonomie im neuzeitlichen Zivilrecht. Unter diesem Prinzip wird die Fahrlässigkeit auf der Stufe des Schuldurteils überprüft und dabei zugleich handelt es sich um die subjektive Fahrlässigkeit, in der nach dem Perspektive des Täters die Verletzung der Sorgfaltspflicht bewertet wird. Aber mit den sozialen Entwicklungen wird dies nicht mehr gültig und daraus ergibt sich die Notwendigkeit, gegen die bestimmten Gefahren die rechtlichen Haftungen zu ermöglichen. Somit wird die Fahrlässigkeit zwar auf der Stufe des Schuldurteils überprüft, aber sie wird in der Tat nach der objektiven Kriterien bewertet. Dem folgt die herrschende Meinung und die Rechtsprechung. Dagegen gibt es natürlich verschiedene kritische Meinungen. Die subjektive Theorie behauptet, dass die Fahrlässigkeit nach dem Perspektive des Täters bewertet und zugleich nur auf der Stufe der Schuld überprüft werden muss. Die teleologische Handlungstheorie behauptet, dass die Fahrlässigkeit objektiv nach dem Perspektive der Allgemeinen bewertet und damit auf der Stufe des Unrechts und Tatbestandes überprüft werden muss. Aber in der sogenannten doppelten Theorie, die hier vom Autor vertreten wird, gilt die Fahrlässigkeit als Element des Tatbestandes auf der Stufe des Unrechtsurteils und zugleich als Element der Schuld auf der Stufe des Schuldurteils. Dies bedeutet also, dass die Fahrlässigkeit die doppelte Stellung als Element des Tatbestandes und zugleich als Element der Schuld hat. Danach ist die Fahrlässigkeit als Element des Tatbestandes auf der Stufe des Unrechtsurteils die nach dem Perspektive der Allgemeinen zu bewertende objektive Fahrlässigkeit, die Fahrlässigkeit als Element der Schuld auf der Stufe des Schuldurteils die nach dem Perspektive des Täters zu bewertende subjektive Fahrlässigkeit. Da § 750 als Generalklausel für die unerlaubte Handulung gilt, könnten damit auch die neuen Typen der unerlaubten Handlungen durch die sozialen Wandlungen geregelt werden. Deshalb könnte die Fahrlässigkeit als Element des Tatbestandes nach den Kriterien der objektiven Fahrlässigkeit überprüft werden, nach der mit der Tatbestandsmässigkeit die Rechtswidrigkeit vermutet wird und ohne Rechtfertigungsgründe das Unrecht bejaht wird. Die Fahrlässigkeit als Element der Schuld könnte nach den Kriterien der subjektiven Fahrlässigkeit überprüft werden, in der die Verletzung der Sorgfaltspflicht nach dem Perspektive des Täters bewertet wird, weil die gesetzliche Bestimmung für die unerlaubte Handlung die Schuldfähigkeit des Täters fordert.

      • KCI등재

        S확산에 의한 n+-p+ InP 태양전지의 제작

        정기웅(Ki Ung Jung),김선태(Seon Tai Kim),문동찬(Dong Chan Moon) 한국태양에너지학회 1990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10 No.3

        p+형의 InP 기판(p=4×l0^(18)cm-³)에 일정 온도에서 S를 열 확산시켜 n+-p+ 접합을 형성하고, n+형 측에 사진식각법으로 폭 20㎛의 표면 격자상 전극을 300㎛ 간격으로 형성한 후, 반사방지 (AR) 막으로 600A˚ 두께의 SiO 박막을 증착시켜 크기 5×5×0.3㎣의 n+-p+ InP 동종접합 태양전지를 제작하였다.<br/> S의 접합깊이는 약 0.4㎛이었으며, 제작된 태양전지는 확산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단락전류 (J_(sc))가 증가하였고, 충진율(F.F)이 감소하였으며, 직렬저항 (R_s)과 에너지 변환효율 (Π)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br/> 5,000-9,000A˚의 파장 영역에서 양호한 분광감도 특성을 나타냈으며, 단락전류, 개방전압 (V_(oc)), 충진율, 에너지 변환효율이 각각 13.16mA/㎠, 0.38V, 53.74%, 10.1%인 태양전지를 제작하였다. n+-p+ InP homojunction solar cells were fabricated by thermal diffusion of sulphur into a p+-InP wafer(p=4×10^(18)㎝-³), and a SiO film(600A˚ thick) was coated on the n+ layer as an antireflection(AR) coating by an e-beam evaporator. The volume of the cells were 5×5×0.3㎣. The front contact grids of the cells with 16 finger pattern of which width and space were 20㎛ and 300㎛ respectively, were formed by photolithography technique.<br/> The junction depth of sulphur were as shallow as about 0.4㎛. We found out the fabricated solar cells that, with increasing the diffusion time, short circuit current densities(J_(sc)), series resistances(R_s) and energy conversion efficiencies(Π) were increased.<br/> The cells show good spectral responses in the region of 5,000-9,000A˚. The short circuit current density, the open circuit voltage(V_(oc)), the fill factor(F.F) and the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cell were 13.16mA/㎤, 0.38V, 53.74% and 10.1% respectively.

      • KCI등재

        스포츠와 공공외교 수렴 가능성의 모색: 한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정기웅(Jung, Giwoong)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09 동서연구 Vol.21 No.2

        21세기의 외교는 여론의 영향력을 제한하기 보다는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공공외교의 강화로 귀결될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는 공공외교와 스포츠의 수렴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스포츠는 오래도록 탈정치성을 표방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정치적·외교적 도구로서 사용되어 왔음을 부인할 수 없으며, 세계화된 세상에서 타국의 국민들에게 국가이미지를 개선시키고, 호의 적인 반응을 끌어내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는 공공외교에 있어 매우 효과적인 도구로서 작동할 수 있다. 스포츠의 정치·외교적 사용이 피할 수 없는 현실이라면, 스포츠의 도구적 사용에 있어 개입의 적정 수준과 합리적 개입 방식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며, 상호간 개입의 수준은 전체 공동체의 공동선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조절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공공외교에 대한 정의, 스포츠의 정치·외교적 도구성에 대한 검토, 한국의 경우에 있어서의 스포츠외교와 공공외교의 현황 파악 및 양자의 수렴 가능성에 대한 모색의 순서로 논의를 진전시키고 있다. 그리고 결론으로서 한국에서 스포츠외교와 공공외교의 수렴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정부차원의 전담부서 및 통합적 조정기구의 설립이 시급하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재원의 확보와 민간의 노력과의 결합이 추구되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It is expected that the public diplomacy will be highlighted in the 21st century, as it is aggressively taking advantage of the influence of public opinion. This article seeks to find the possibility of the convergence of sports and public diplomacy. Sports, though it has long carried the banner of political neutrality, has been surely used as a politico-diplomatic tool. And sports can act as a very effective tool of public diplomacy which aims to improve the national image of a state by increasing the favorable attitude of other people in this globalized world. If the politico-diplomatic use of sports is inevitable, the optimum level and rational way of intervention of sports should be sought, which is to be pursued in line with the increase of common good. In this vein, this article tries to define the concept of public diplomacy, examines the sports as a politico-diplomatic tool, explores the present situation of sports and public diplomacy of Korea, and seeks to find the possibility of the convergence of sports and public diplomacy. As a conclusion,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n organization which is full in charge of sports and public diplomacy, and this organization should be supported financially and have close contact with the civil movement of public diplomacy.

      • KCI등재

        평화·통일교육과 평화·통일외교에 대한 소고 : 평화와 통일의 구성적 관계를 중심으로

        정기웅(JUNG, Giwoong)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21 글로벌교육연구 Vol.13 No.4

        한반도의 통일은 남과 북의 구성원들, 그리고 국제사회의 동의와 협조를 필요로 한다는의미에서 국내적이면서 동시에 국제적이다. 따라서 통일을 이루어 내기 위해서는 대내외적역량 배양이 필수적이었고, 이는 통일교육과 통일외교라는 이름으로 존재해 왔다. 초기에는대한민국의 체제적 우월성과 대한민국이 주도하는 민족문화의 회복을 통일의 정당성과 명분으로 제시하였고, 이후에는 민족모순의 극복 혹은 분단된 민족의 복원이야말로 식민지배체제의 진정한 극복이라는 민족과제로서의 통일이 강조되었다. 최근에는 통일이 남과 북의갈등과 대립을 해결하는 것을 넘어서 동북아와 세계적인 평화체계의 구축에 기여한다는 명분이 강조되고 있다. 2018년 이후 통일교육은 평화·통일교육으로, 통일외교는 평화·통일외교로 전환되었다. 명칭의 변경은 단지 표현의 변화에 그치지 않고 함축된 의미와 목적성의변화를 동반한다. 그렇다면 통일에서 평화·통일로의 전환은 어떤 변화를 동반하였는가? 본고는 이러한 문제인식 하에 “왜 통일은 평화·통일로 전환되었으며 ‘평화통일’이 아닌 ‘평화· 통일’은 무엇을 의미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화·통일을 평화와 통일의 구성적 관계에 중점을 두고 논하고 있으며, 우리가 도달하고자 하는 평화·통일이란 평화적 수단에 의한 통일이자 통일의 결과로서의 평화의 성취 둘 모두를 포괄하는것이라고 답하고 있다. 그리고 평화·통일외교의 방향성은 이러한 평화·통일에 대한 우리의의지를 대외적으로 전파하는 것이어야 함을 지적하고 있다.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has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aspects in that it needs the agreement and cooperation of the inhabitants of the two Koreas and international society. In this vein, cultivating the capabilities for Unification at home and abroad was a must, which has been existed under the name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Unification Diplomacy. In the beginning, the superiority of the democratic system of the ROK and the recovery of the national culture driven by it were suggested as the legitimacy and cause for the Unification. Then, the Unification as a means of overcoming the colonial regime through restoring the divided nation was emphasized. Recently, the Unification not only for solving the conflicts and confrontation of the two Koreas but also for the construction of the peace system in north-east Asia and the world is emphasized. In 2018, the Unification Education turned into Peace-Unification Education and the Unification Diplomacy turned into Peace-Unification Diplomacy. The change of the appellation accompanies the change of the implied meaning and finality. Then, what did the change from the ‘Unification’ to ‘Peace-Unification’ bring about? Against this backdrop, this article tries to answer the question “Why did the Unification turn into the Peace-Unification and what does it mean?” For answering this, this article reviews the Peace-Unification focusing on the constructive relationship between peace and unification and argues that the Peace-Unification as our destination means both the Unification through peaceful means and the achievement of peace as the result of the Unification. And the article also points out that the orientation of the Peace-Unification Diplomacy should pursue to send our understanding and will of Peace-Unification clearly to foreign actors.

      • KCI등재후보

        북방정책에 대한 소고 : ‘북방’과 ‘정책’의 지속과 변화

        정기웅 ( Jung Giwoong ),윤익중 ( Youn Ik Joong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21 글로벌정치연구 Vol.14 No.1

        북방정책은 대한민국 외교정책의 역사 속에서 대중에게 가장 널리 알려졌을 뿐만 아니라 그 지속 기간 또한 가장 오래된 것이다. 그렇다면 2021년 현재 대한민국의 북방정책은 어디에 와 있는가? 오랜 지속성과 대중성에도 불구하고 북방정책에 대한 이해는 깊지 않다. 대중의 이해는 물론이요, 전문가 집단에서조차 북방정책에 대한 어떤 공통된 이해의 틀, 혹은 정체성이 형성되지 못하고 있음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특히 북방정책의 가장 주된 기둥이라고 할 수 있는 ‘북방’이 무엇을 뜻하는가에 대해서조차 논자에 따라 매우 다양한 입장이 표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정책의 목적성이라는 측면에서도 광범위한 합의라기보다는 최소한의 공감대 형성 정도에 그치고 있는 것이 현실임을 부인할 수 없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 인식하에 ‘북방’의 의미를 명확히 하고 ‘정책’의 지속과 변화를 고찰함으로써 북방정책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것을 연구의 목표로 삼는다. 특히 북방정책이라는 용어가 대중화되고 적극 실행되었던 노태우 정부 시기 북방정책의 등장 이후, 행정부의 변화를 거치면서 제시되었던 북방정책의 변화된 모습들을 추적하고 비교ㆍ검토함으로써 정책이 추구했던 목표와 향후 추구해야 할 방향성을 검토하고 제시할 것이다. 이를 통해 미ㆍ중의 충돌과 갈등으로 인한 강대국의 강압 외교가 전개될 가능성이 어느 때 보다 커진 상황에서 그와 같은 미래를 대비해야 할 대한민국 외교정책의 현황을 검토하고 비판하며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정책 결정에 있어 하나의 길잡이로서 작동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Northern Policy’ is the most widely known to the public and has maintained for a long time in the history of Korean foreign policy. In 2021, now, where is it standing? Despite the long-standing durability and popular appeal,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Northern Policy is not so deep. Both the public and the experts do not share the common framework of understanding and peculiar identity. Further, the meaning of the ‘North’ itself, the most important pillar of the Northern Policy, is not clear and has shown a lot of variations depending on the advocates. Also, in terms of its aims, social and academic consensus has not been formed only to reach a minimum shared understanding. Against this backdrop,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e identity of the ‘Northern Policy’ by identifying the meaning of the ‘North’ and by reviewing and tracing the continuity and changes of the ‘Policy’. The article will focus on the comparison of different aspects of the Northern Policy of each different governments, review the aims and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By doing this, the article will try to evaluate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s foreign policy and show the future policy directions in midst of the power states’ coercive diplomacy and conflicts between the USA and China. The authors hope that this will be worked as a guidance for the future decision-making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