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COVID 19에 따른 프레이트 포워더의 재택근무에 대한 인식 차이 : 영업직과 비영업직을 대상으로

        정광호(Kwang-Ho Jung),오예은(Ye-Eun Oh),박근식(Keun-Sik Park) 한국국제상학회 2021 國際商學 Vol.36 No.3

        본 연구는 COVID 19 상황에 따른 프레이트 포워더 직원들의 재택근무에 대한 인식차이를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국내외 프레이트 포워더 기업의 대응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둘째, 프레이트 포워더에 대한 선정요인 및 직무만족도와 재택근무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설문문항을 제작하였다. 셋째, 현업에 종사하는 국내 프레이트 포워더를 대상으로 리커트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131개의 표본을 사용되었다. 또한, 직원들을 영업직과 비영업직으로 구분하여 이들이 심리적, 내부적 및 외부적 요인, 그리고 만족도 측면에서 어떠한 인식 차이를 보이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회사의 내부적 요인을 제외한, 심리적, 외부적, 만족도 요인에서 인식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of freight forwarder employees on telecommuting according to the COVID 19 situ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We studied previous review about the selection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telecommuting of freight forwarder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Likert 5-point scale targeting domestic freight forwarders, and a total of 131 samples were used. our study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using t-test metho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mong employees in terms of psychological,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nd satisfaction by dividing freight forwarder employees into sales and non-sales positions. Results :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was significant in psychological, external, and satisfaction factors, excluding internal factors of the company. Conclusions : This study examined the empirical analysis of freight forwarder’s perceptions after COVID 19, and presented the theoretical conclusions,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 KCI등재

        문화격차 분석과 문화바우처 정책설계

        정광호(Jung Kwang-Ho),최병구(Choi Byung-Goo) 한국지방정부학회 2006 지방정부연구 Vol.10 No.4

        최근 문화격차 현상이 심화됨에 따라 정책수단으로 문화바우처에 대한 관심이 높다. 그러나 문화바우처 추진 근거로서 문화격차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더불어 실제 바우처 설계와 운영에 대한 학계의 연구는 드물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화바우처 도입의 근거로서 문화격차에 대한 선행이론 검토와 실증분석을 하였다. 지난 2000년, 2003년, 2006년에 조사된 전국 문화향수실태 자료와 2002년 국민문화지수 자료를 근거로 문화격차와 관련된 변인을 탐색했다. 본 연구결과 가구소득, 문화교육 경험, 문화교육시간, 문화교육네트워크, 도시지역, 여성의 경우 문화비 지출이나 지출규모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문화활동영역에서 소외되는 현상은 월평균 100만원 이하의 저소득 계층이나 문화교육 경험이 없는 집단에서 더 욱 심각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향후 저소득층에 대한 문화지원 확대 그리고 문화리터러시 향상에 초점을 둔 문화바우처 운영을 역설하고 있다. 나아가 문화바우처의 고객반응성을 높이고 지역사회의 다양한 문화활동과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해 지역사회 복지서비스와 함께 가는 문화바우처를 제안하고 있다. A recent widening of the cultural divide in South Korea arouses scholars" interest in the cultural voucher as a policy instrument. There are, however, only a few comprehensive analyses of the scientific basis of the cultural voucher since there is also little interest in its design and management in the policy-making community.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theoretical discussion and empirical analyses of the cultural voucher. This study examines variables related to the cultural divide relying on both the 2000, 2003 and 2006 Survey Reports on Cultural Enjoyment, and the 2002 Survey of Cultural Activities. This study shows that household income, experience in cultural education, hours of cultural education, cultural network, region, and gender has significant effects on cultural activities and spending. Cultural exclusion is a more serious problem for those with typically less than one million won per month of household income and those lacking the experience of cultural education. Finally, this stud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including an expansion of cultural support for the disadvantaged, an increase of cultural literacy, and the voucher package to integrate cultural activities and citizens" needs into viable social services in communities.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장관리더십의 유형과 효과성의 탐색: 노무현 정부 부처관료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정광호 ( Kwang Ho Jung ),문명재 ( M Jae Moon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3 조사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노무현 정부 시절의 장관을 대상으로 리더십의 유형을 탐색해 보고, 장관의 직무성과와의 연관성을 실증분석하였다. 먼저 부처 장관의 리더십 유형을 탐색하기 위해서, 관료가 평가한 장관리더십에 대한 설문자료를 만든 후 탐색적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적용하여 장관리더십의 유형을 추출했다. 또한 장관리더십 유형과 장관리더십의 효과성 점수(7점 척도)를 회귀분석을 통해 그 연관성을 분석했다. 본 연구의 요인분석에 따르면 노무현 정부의 장관리더십은 ①대통령 자산기반 리더십, ②협업리더십, ③소통형 공정리더십, ④비전리더십, ⑤변화지향적 리더십으로 유형화 된다. 장관리더십 성과와의 연관성을 파악한 결과, 비전리더십>소통형 공정리더십>협업리더십>대통령 자산기반 리더십>변화지향적 리더십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가 주는 시사점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주화 이후 부처정책을 둘러싼 정치사회적 갈등이 일상화되고 정책의 불확실성이 높아 부처의 새 비전과 방향을 제시하는 리더십의 수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민주화 이후 다양한 정치행정의 주체 간 협력과 소통에 대한 수요증가로, 소통형 공정리더십과 협업리더십이 중요한 것으로 부각되었다. 앞으로 제왕적 대통령제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장관의 리더십에 있어 대통령의 신임과 지원이 주요 요인으로 고려되겠지만, 한편으로 국회, 언론, 시민사회와의 소통과 협력을 위한 효과적인 장관의 리더십에 대한 기대도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노무현 정부뿐만 아니라 다른역대 정부에서 중시된 장관리더십 유형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비교하는 추가연구가 필요하며, 관료뿐만 아니라 부처의 전문가-국회-고객집단을 대상으로 장관리더십의 다양한 측면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various types of ministerial leadership in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and an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type and its effectiveness. First, this study, relying 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xtracts ministerial leadership factors with the Korean ministerial survey by government officials. This study also examines a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type and the scores of leadership effectiveness with a seven Likert scale. This study illustrates the five factors composing of ministerial leadership elements: presidential capital based leadership, collaborative leadership, communication & fairness leadership, vision leadership and change oriented leadership. The degree of the effectiveness of ministerial leadership varies from leadership types(vision leadership> communication & fairness leadership > collaborative leadership>presidential capital based leadership>change oriented leadership). The implications from our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democratization involving the higher levels of socio-political conflicts and policy uncertainty appears to increasingly demand vision leadership. Second, as democratization facilitates a more demand for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mong various political actors, communication & fairness leadership would be more important than before democratization. Despite a criticism of imperial presidency, both presidential trust and support for ministerial leadership are still important, but the ministerial leadership for effective communications among National Assembly, media, and civil society is expected to be increasingly important. Further study needs to compare what ministerial leadership is important (or preferred) across previous administrations including Roh Moo- Hyun Administration and to explore multiple aspects of ministerial leadership from policy analysts, National Assembly members, and various clients groups of department.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