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해 천수만 중앙부의 하계 조류/비조류 특성

        정광영,노영재,김백진,Jung, Kwang Young,Ro, Young Jae,Kim, Baek Jin 한국해양학회 2013 바다 Vol.18 No.2

        이 연구는 서해 천수만에서 2010년 7월 29일부터 8월 30일까지 33일동안 관측한 ADCP 자료와 바람(기상청), 서산AB지구의 방류량(한국농어촌공사 천수만사업단)자료를 분석하였다. 기술통계, 조류의 조화분석을 통해 조류의 특성을 파악했고, 스펙트럼(spectrum)과 코히런시(coherency) 분석, 콤플렉스 코릴레이션(complex correlation)과 진행 벡터(progressive vector) 등을 통해 비조류 특성을 파악하여 바람과 담수 유입이 잔차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관측 유속의 범위는 -30~41 cm/sec였고, 표준편차는 저층에서 1.7 cm/sec, 표층에서 18.7 cm/sec로 계산되었다. 조화분석 결과 유향은 북북서-남남서 방향으로 주된 흐름을 보였다. M2의 조류타원 장축과 단축은 각각 9.4~14.8, 0.1~0.5 cm/sec의 범위를 보였고, S2의 경우 각각 4.4~7.0, 0.4~1.4 cm/sec의 범위를 보였다. 잔차류 전 수층의 대한 스펙트럼 분석 결과 3~6개의 유의한 주기가 2~8일 주기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바람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바람과 전 수층 잔차류의 코히런시 분석 결과 3~5개의 유의한 주기가 2.8일 이내의 위상차로 나타났고, 담수 유입량과 표층 잔차류의 코히런시 분석 결과 4.6일 주기가 가장 유의했으며, 위상차는 1.2일이었다. 잔차류의 진행 벡터는 전 층에서 북향했고, 표층보다 중층에서 북향하는 거리가 컸다. 잔차류의 북향은 바람의 계절적 요인에 기인했다고 볼 수 있으나, 만 북부에서 남하하는 담수의 영향(밀도류)에 의해 표층 잔차류 일부가 남향하는 흐름을 보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ADCP records along with wind by KMA and discharge records at Seosan A-, B-district tide embankment by KRC for 33 days obtained in the Chunsu Bay, Yellow Sea, Korea spanning from July 29 to August 30, 2010. Various analyses include descriptive statistics, harmonic analysis of tidal constituents, spectra and coherence, complex correlation, progressive vector diagram and cumulative curves to understand the tidal and sub-tidal current characteristics caused by local wind and discharge effect. Observed current speed ranges from -30 to 40 (cm/sec), with standard deviation from 1.7 (cm/sec) at bottom to 18.7 (cm/sec) at surface. According to the harmonic analysis results, the tidal current direction show NNW-SSE. The magnitudes of semi-major axes range from 9.4 to 14.8 (cm/sec) for M2 harmonic constituent and from 4.4 to 7.0 (cm/sec) for S2, respectively. And the magnitudes of semi-minor axes range from 0.1 to 0.5 (cm/sec) for M2 and from 0.4 to 1.4 (cm/sec) for S2, respectively. In the spectral analysis results in the frequency domain, we found 3~6 significant spectral peaks for band-passed wind and residual current of all depth. These peak periods represent various periodicities ranging from 2 to 8 (days). In the coherency analysis results between band-passed wind and residual current of all depth, several significant coherencies could be resolved in 3~5 periodicities within 2.8 (days). Highest coherency peak occurred at 4.6 (day) with 1.2-day phase lag of discharge to band-passed residual current. The progressive vector of wind and residual current travelled to northward at all layers, and the travel distance at middle layer was greater than surface layer distance. The Northward residual current was caused by a seasonal southern wind, and the density-driven current formed by fresh water input effected southward residual current. The sub-tidal current characteristics is determined by seasonal wind force and fresh water inflow in the Chunsu Bay, Yellow Sea, Korea.

      • KCI등재

        남해 강진만에서 성층 형성과 성층 파괴 과정

        정광영,노영재,Jung, Kwagn-Young,Ro, Young-Jae 한국해양학회 2010 바다 Vol.15 No.3

        This study analyzed stratification and destratification processes in the Kangjin Bay (KB), South Sea, Korea, driven by the Nam Gang Dam water discharge based on numerical modeling experiments. Model performances were evaluated in terms of skill scores for elevation, velocity, temperature and salinity, with scores mostly exceeding 90%. The models reproduced the tidal current, density-driven and wind-driven current. The stratification by fresh water input and destratification by the wind mixing was assesse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 Richardson number (Ri) in that Ri increased from 0 to 7~20 during the Dam water discharge period, while vertical mixing and destratification followed by the typhoon passage showed Ri, 0 to 2. 하계 남강댐 방류수 유입에 의해 강하게 성층화된 남해 강진만에서 3차원 수치모델링 실험을 통해 태풍 통과시 염분장에 미치는 취송류의 영향과 성층 파괴에 대해 연구하였다. 조위와 유속장, 수온장, 염분장에 대해 각각 스킬 분석(skill analysis)을 이용하여 모델을 검증 하였고, 그 결과 대부분 90%가 넘는 재현율을 보였다. 모델은 조류, 담수유입에 의한 밀도류와 바람에 의한 취송류를 잘 재현했다. 대량 담수 유입이 있을 경우 바람의 영향은 강한 밀도류에 의해 상대적으로 큰 효과가 없으나, 담수유입이 감소하는 시기에는 바람이 수직 혼합작용을 촉진하여 바람을 부과하지 않은 모의 실험보다 2~3일 빠르게 성층을 파괴하였다. 담수 유입에 의한 성층과 바람에 의한 성층 파괴는 성층지수(Richardson 수(數), Ri)를 통하여 판단하였으며, 대량 방류시 성층지수는 급속도로 증가하여 Ri 수(數)가 7~20을 보였고, 방류가 중단된 이후에는 바람에 의한 혼합으로, 성층지수는 급격하게 감소하고 Ri 수(數)는 0~2까지 보였으며, 이 때 상하층간 염분은 일정하게 분포하였다.

      • KCI등재

        Characteristics of Tidal Current and Tidal Residual Current in the Chunsu Bay, Yellow Sea, Korea based on Numerical Modeling Experiments

        Jung, Kwang Young(정광영),Ro, Young Jae(노영재),Kim, Baek Jin(김백진)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3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5 No.4

        수치 모델링 실험을 활용하여 서해 천수만의 해수 유동과 그 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했다. 모델링 실험 결과에 대한 검증을 위해 관측 자료의 조위와 조류 각각 4대 분조의 진폭과 위상을 이용하여 스킬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스킬 점수는 대부분 90%가 넘는 것으로 보아 수치 모델링 실험 결과는 관측된 조위와 조류가 양호하게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수만의 조석파는 만 입구에서 안쪽으로 진행되며 북부로 갈수록 조차는 점차 증가했다. 조석파가 북부까지 도달하는데 약 10~30분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남부에서 조석파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특성을 보였다. 조류는 해저 지형을 따라 남-북 방향으로 흘렀으며, 장축의 각도는 등수심선과 나란히 나타났다. 조류타원의 단축이 장축의 10% 이하로 왕복성 조류의 특성을 보였다. 수심과 해안선 등 지형적 요인에 의해 좌우되는 조석잔차류의 크기는 1~30 cm/sec의 범위를 보였고, 남쪽 수로에서 컸으며 만의 북부에서는 작았다. 조석잔차류로부터 유도된 상대와도를 통해 수 백 m에서 수 km 크기로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와류를 확인했고, 죽도 주변에서 2쌍, 남부에서 형성된 3~4쌍의 강한 와류 특성을 파악했다. This study is based on a series of numerical modeling experiments to understand the circulation and its change in the Chunsu Bay (CSB), Yellow Sea of Korea. A skill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tidal height and tidal current of the observation data using the amplitude and phase of the 4 major tidal constituents respectively for verification of modeling experimental results. As a result, most of the skill score was seen to be over 90%, so numerical model experiment results can be said to be in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tidal height and tidal current. Tidal wave proceeded from the entrance of the CSB towards inside, and the tidal range gradually increased to the north. It took about 10 to 30 minutes for the tidal wave to reach to northern end. The tidal wave showed a characteristic to rotate counter-clockwise in the southern part. The tidal current flowed to the north-south direction along the bottom topography; the angle of the major axis appeared alongside the isobath. It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reversing tidal current with the minor axis less than 10% of the major axis. The strength of the tidal residual current that is influenced by geographical factors including bathymetry and coastline showed the range of 1~30 cm/sec, greater in the south channel and smaller in northern Bay. Two pairs of cyclonic/anti-cyclonic eddies around Jukdo and 3~4 pairs of strong eddies at the southern part of CSB in hundreds of m to a few km size by relative vorticity derived from the tidal residual current.

      • KCI등재

        남해 강진만에서 남강댐 방류수의 거동 특성 및 체류시간 추정

        정광영(Jung, Kwang-Young),노영재(Ro, Young-Jae),김백진(Kim, Baek-Jin),박광순(Park, Kwang-Soon)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2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4 No.2

        하계 남강댐 방류수 유입에 의해 강하게 성층화된 남해 강진만에서 3차원 수치모델과 결합된 라그랑지안 입자추적모델링 실험을 통해 방류수의 거동 특성과 만내 평균 체류시간을 추정했다. 조위와 유속장, 수온장, 염분장에 대해 각각 스킬 분석(skill analysis)을 이용해 검증했고, 그 결과 대부분 85%가 넘는 재현율을 보였다. 방류 초기 투하한 입자는 노량수도와 대방수도를 통해 외해로 유출되었으나, 최대 방류시기에 투하한 입자는 남향하는 강한 밀도류에 의해 사천만, 진주만, 강진만으로 유입되었으며, 지형적 요인과 해수유동 특성상 외해로 유출되지 못하여 체류시간이 증가했다. 투하한 입자 전체의 평균 체류시간은 약 65.9 시간(약 2.75일)이며, 초기 방류시 투하한 입자의 평균 체류시간은 약 55~65 시간, 방류 종료시 투하한 입자는 약 60~70 시간이다. 방류량 최대시 투하한 입자는 약 70~80 시간으로 방류량이 증가하면서 체류시간이 약 10~20 시간 증가하는 양의 상관성(R = 0.81)으로 나타났고, 이는 강진만 생태계가 장기간 지속적으로 저염수에 의한 염분 충격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A Lagrangian particle tracking model coupled with the ECOM3D were used to study on the behavior of fresh water released from the Namgang Dam in terms of residence time in Kangjin Bay, South Sea, Korea. Model was calibrated until skill cores for elevation, velocity, temperature and salinity are satisfied over 85%. In the numerical simulation, particles were released in 1 hour time interval from the northern boundary. The different patterns of particle trajectory are identified under the varying dynamics from tidal to density-driven current. The average residence time of total particles are approximately 65.9 hours in the entire Kangjin Bay. The average residence time were increased from 55~65 to 70~80 hours during maximum discharge period. Discharge rate of fresh water and average residence time in the Kangjin Bay is high correlated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over 0.81.

      • 전치부 임플란트 영역 치은 함몰 회복을 위한 결체조직 이식술에서 상악결절 수여부의 선택

        이동운,정광영,방주혁,이근우,Lee, Dong-Woon,Jung, Gwang-Young,Bang, Joo-Hyuk,Lee, Keun-Woo 대한심미치과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Esthetic Dentistr Vol.30 No.2

        전치부 영역에서 임플란트는 경, 연조직 조화가 필요하며 다양한 단계를 필요로 한다. 이 중 순측의 함몰은 연조직 이식을 통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치은퇴축을 위한 피개가 아닌 함몰을 위한 연조직 이식은 공여부의 선택에 있어서 구개측에 비해 상악결절부위에서의 채득으로 연조직의 볼륨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으며 출혈이나 술후 통증을 줄이고, 공여부의 치유를 빠르게 하는 장점이 있어 좋은 치료 선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mplant placement in the anterior region is performed in several stages, and harmonization of both hard and soft tissues is essential. In addition, adequate esthetic and functional evaluations are necessary in the process of transitioning from the provisional to the final prosthesis to attain patient satisfaction. Although gingiva can be molded in the anterior region, depression in the occlusal view can yield good results through the augmentation procedure. However, the harvesting of connective tissue from the palate is not suitable for various reasons, such as postoperative discomfort and intraoperative bleeding. Compared to the palatal area, the harvesting of connective tissue from the maxillary tuberosity can easily result in relatively thick tissue and quick healing of the donor site, thus proving to be a good modality for graft procedures.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examine the relevant evidence from previous studies and evaluate the process of soft tissue augmentation through a case presentation.

      • Clear Cell Chondrosarcoma of the Tibia Diaphysis: A Case Report

        강창민,한정수,정광영,정호연,김영준,Kang, Chang Min,Han, Chung Soo,Jung, Gwang Young,Jeong, Ho Yeon,Kim, Young Jun The Korean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2014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20 No.2

        투명세포연골육종은 매우 드문 골종양으로 장골의 골단이나 골간단에 발생한다. 많은 연구에서 대퇴골의 근위부를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부위로 보고하였고, 상완골의 근위부가 그 다음으로많이 보고되었다. 조직학적으로 이 종류의 종양 세포들은 투명한 세포질과 뚜렷한 세포질막과 함께 중심성으로 위치하는 둥근 핵소체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투명세포연골육종은 고식적인 연골육종과 혼동되지 않는다. 하지만, 방사선학적으로 장골의 간부에 발생한 경우 진단이 어려우며, 이전 문헌을 통하여 단 3례만이 보고된 바 있다. 저자들은 이전에 보고된 바 없는 42세 남자 환자의 경골 간부에서 발생된 투명세포연골육종을 보고하고자 한다. Clear cell chondrosarcoma is a very rare malignant bone tumor that shows a strong predilection for the epiphysis or metaphysis of long bones.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e proximal end of the femur is the most commonly affected site, followed by the proximal end of the humerus. Histopathologically, tumor cells of this type have centrally located round nucleoli with clear cytoplasm and a distinct cytoplasmic membrane. Generally, clear cell chondrosarcomas is not confused with conventional chondrosarcomas. However, when it involves the diaphysis in long bones, diagnosis can be hindered, as only three reports of this exist in the literature. We report herein an unusual case of clear cell chondrosarcoma of the tibial diaphysis in a 42-year-old male.

      • 지속적인 프로그래밍 환경을 위한 객체저장계층

        이강옥(Kang-ok Lee),정광영(Kwang-young Jung),이정태(Jung-tae Lee),최경희(Kyung-hee Choi) 한국정보과학회 199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B

        효율적인 persistent 프로그래밍을 위한 개발 환경에 대한 연구가 최근 Atkinson에 의해 제안되었다. 이는 개발 환경에 Scalable Persistent Foundation 계층을 둠으로써 각 시스템 프로그램들이 갖는 기능의 중복 구현과 그에 따른 비효율성을 방지하고 상위 프로그램에는 통일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자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PF 계층 중 physical object storage 계층의 persistent 프로그래밍 환경을 지원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기능과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연구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능의 상위 계층의 대하여 저장 구조가 제공하여야 할 적응성에 대하여 주로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객체의 크기에 따른 파티션의 분할, 가변적인 클러스터 크기를 지원하는 저장 모형을 설계, 이를 구현하였다.

      • 무인정찰기 카메라의 진동 해석에 대한 연구

        곽재혁(Kwak, Jae-Hyuck),정광영(Cheon, Seong-Sik),전성식(Jung, Kwang-Yo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본 논문에서는 무인정찰기 카메라의 진동에 대한 해석을 동역학 해석 프로그램 ADAMS를 통하여 수행하였다. 정찰시 카메라에 진동이 발생할 경우 시선 불안정화에 의해 정확한 촬영이 불가하다. 이에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진구의 최적화를 위하여 정적 처짐량 및 비행기의 운행에 따른 진동에 대한 해석으로 sine sweep, RMS white noise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 KCI등재

        광양만 권역의 해수순환 수치모델 실험

        김백진(Kim, Baek Jin),노영재(Ro, Young Jae),정광영(Jung, Kwang Young),박광순(Park, Kwang Soon)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4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6 No.4

        광양만 권역의 해수 순환 양상과 섬진강 하천수 유입으로 발생하는 밀도류 이동 양상을 3차원 수치모델링 실험을 통해 연구하였다. 120m³/s의 섬진강 연평균 유량을 부과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조위와 유속장, 염분장에 대해 각각 스킬분석(skill analysis)을 이용하여 모델을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대부분 90%가 넘는 재현율을 보였다. 모델은 조류, 담수유입에 의한 염분장의 변화를 잘 재현하였다. 창낙조시의 유속장의 분포는 1~2.5 m/s의 범위를 보였다. 특히 노량과 대방, 그리고 창선수로에서 2.0 m/s 이상의 강한 흐름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형적 요인에 의해 좌우되는 조석잔차류의 크기는 1~21 cm/s의 범위를 보였고, 섬진강 담수 유입으로 인해 형성된 표층의 밀도류는 여수해만으로 진행하는 12 cm/s의 이하의 남향류와 노량수로로 진행하는 4 cm/s 이하의 동향류가 발생한다. 특히 여수해만에서의 밀도류 흐름은 서쪽 해안에 편향되어 남하하는 양상을 보였다. 모델 내 경계면에서의 체적 수송량과 밀도류 분포를 분석한 결과, 평수기시 섬진강으로부터 광양만 권역에 유입된 담수는 97.4m³/s (81.5%)가 여수해만으로 유입되며 22.1m³/s (18.5%)가 진주만으로 유입되는 양상을 보였다. The ECOM3D is used to study the circulation characteristics and density current from the Sumjin River runoff in the Kwangyang Estuarine System, South Sea, Korea. Annual mean value of 120m³/s was imposed from the Sumjin River. The numerical model results in terms of tidal height, current and salinity field show satisfactory with skill scores over 90%. The current velocity showed the range of 1~2.5 m/s during flood and ebb phases. In particular, very strong flow occur in the narrow Channels of Noryang, Daebang and Changson exceeding over 2.0 m/s. The tidal residual currents in the various locations in the Kwangyang Estuary showed the range of 1~21 cm/s, The density-driven current through the Yeosu and Noryang Channels are about 12 cm/s and 4 cm/s, respectively. The current path through the Yeosu Channel is deflected toward west Bank. Based on budget analysis of the volume flux, the volume flux through the Yeosu Channel and the Noryang Channel were estimated to be 97.4 and 22.1m³/s accounting for the 81.5% and 18.5% of total flux, respectively.

      • KCI등재

        마음수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학교생활에 미치는 효과

        유양경 ( Yang Gyeong Yoo ),이은진 ( Eun Jin Lee ),정광영 ( Kwang Young J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3 아동교육 Vol.22 No.2

        본 연구는 마음수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학교생활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된 것이다. 연구방법은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실험설계로서 마음수련 프로그램에 참가한 24명을 실험군으로, 참가하지 않은 26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마음수련 프로그램 전·후에 대상자에게 적용한 도구는 동적학교생활화 검사(Andrews & Janzen, 1988)이다. 마음수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학교생활의 하위변인인 우울·고립/거절·불안/갈등·부정적인 자기상 점수가 감소하였고, 지지/수용 점수는 증가하였다. 연구결과 마음수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학교생활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마음수련이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부터 아동들에게 학교생활에 만족을 느끼면서 즐거운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전인적 발달을 돕는 방법으로써 제안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the maum meditation program on their school life in the lower grades in primary school children.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24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6 in the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form the questionnaires using the Kinetic School Drawing (KSD) test (Andrews & Janzen, 1988). The data were analyzed as X2-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using SPSS 12.0. The score of depression, isolation/rejection, anxiety/confilict and negative self-concept was decreased and the score of support/acceptance was increased among the 14 subcategories of school life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s that maum meditation program was effective for changing in the lower grades in primary school children`s School Life. Therefore maum meditation program could be proposed to an alternative plan for holistic human development so that they`re satisfied with their school life and enjoy their time at school, form the lower grades in primary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