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기록관리학회지의 오픈액세스 출판 전환 과정 기록

        정경희(Kyoung Hee Joung) 한국기록관리학회 2020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20 No.4

        이 논문은 한국기록관리학회지를 오픈액세스 학술지로 전환하는 과정을 기록한 것이다. 이 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상용DB업체와 학회, 공공DB운영기관 사이에서 벌어진 저작권을 중심으로 한 갈등과 업체와 도서관 사이의 학술DB 가격에 대한 갈등문제를 설명하였다. 또한 최근 국내의 문헌정보학 분야와 인문사회분야 학회들의 오픈액세스 선언의 의미를 설명하였다. 한국기록관리학회지를 오픈액세스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부딪힌 출판비 문제, 논문 유통의 문제, 학술지 출판과 관련한 제도의 변경 등 학술지 출판사로서 실무적인 사안들을 처리한 방법과 과정을 기록하고 문제점들도 드러내고자 했다. 또한 이 논문은 기록관리학회지의 오픈액세스 전환을 학술논문의 지식커먼즈를 실현하려는 과정으로 설명하였다. This paper is a record of the transitioning of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to open access. To understand this process, this paper explains the meaning of the conflict over the copyright among commercial journal aggregators, scholarly societies and public sector aggregators. In addition, this paper explains the declarations for open access transition in scholarly societies in the field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other humanities & social sciences in Korea. This paper records the practices and problems that the scholarly society as a publisher has faced in related to securing the journal publication cost, expanding the channels of distribution, and reforming the regulation of the journal. This paper also attempts to understand this transition process as making a knowledge commons.

      • KCI등재

        국내 오픈액세스 학술지 특성에 관한 연구 - KCI 등재지를 중심으로 -

        정경희,Joung, Kyoung-Hee 한국비블리아학회 2011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는 KCI 등재지 1,438종을 대상으로 오픈액세스 학술지를 식별해내고, 이들 학술지의 원문공개 채널, 분야별 차이, 발행기관별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등재지의 21%는 상용DB를 통한 서비스를 하지 않는 오픈액세스 학술지였으며, 34%는 무료공개와 상용DB를 통한 원문서비스를 동시에 하고 있었으며, 나머지 34%는 오직 상용DB에서만 원문서비스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오픈액세스 학술지의 48%는 무료원문 DB를 통하여, 52%는 발행기관 홈페이지를 통하여 원문을 공개하고 있었다. 원문공개 채널은 분야별로 차이가 있었다. 즉, 인문, 사회과학 분야 학술지는 주로 발행기관 홈페이지, 과학기술 및 의학 분야 학술지는 주로 무료DB에 원문을 공개하고 있었다. 전체 오픈액세스 학술지 중 약 30%는 의학 분야 학술지였으며, 사회과학 분야 학술지도 25%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분야별 분포로 볼 때 사회과학과 인문학 분야 학술지의 오픈액세스 비율은 약 15%정도에 불과하였다. 이에 비해 의학 분야의 경우 약 60%가 오픈액세스 학술지였으며, 자연과학과 공학 분야도 각각 33%, 24%가 오픈액세스 학술지였다.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open access journals in Korea, this research examined the 1,438 KCI journals in the fields of humanities, social sciences, natural sciences, engineering, medicine, agriculture & oceanography, art & sports, and interdisciplinary. 21% of the KCI journals are freely available at the publisher's websites or open access DBs(OA). 34% are available only in the commercial fulltext DBs(TA) and 34% combined TA and OA. 48% of the OA journals can be found on the free fulltext DBs and 52% are accessed on the publisher's websites. OA journal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are available mainly on the publisher's websites. As compare with this, OA journals of STM fields are available via the free fulltext DBs. Medicine(30%) and social sciences(25%) have the highest overall share of OA. There are field differences in the rate of OA journals. In the fields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15% of the journal are open access. In case of medicine field, 60% are open access journals. OA journals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are each 33% and 24%.

      • KCI등재

        오픈액세스 학술지 출판에서 대학도서관의 역할에 대한 고찰 - COPE 참가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

        정경희,Joung, Kyoung-Hee 한국비블리아학회 201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는 오픈액세스 출판에서 대학도서관이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출판비용 지원과 그 외 서비스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학도서관은 COPE와 $SCOAP^3$라는 협력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또는 개별적인 도서관차원에서 오픈액세스 학술지 출판비용을 지원하고 있었다. COPE 참여 대학도서관의 경우 하이브리드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투고하는 논문에는 APC 지원을 거의 하지 않고 있었다. 이에 비해 개별적으로 기금을 지원하는 대학도서관은 하이브리드 학술지 투고논문에 대한 APC 지원에 조금 더 관대하였다. 또한 기금지원이외의 오픈액세스 학술지 출판과 관련하여 대학도서관은 저자의 논문투고 과정에서의 저작권 협상 지원, 발행과정의 기술적인 측면, 배포를 확산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This paper examined the roles of academic libraries in open access journal publishing in terms of monetary supports for publication. As a result, many academic libraries have participated in the cooperative programs such as COPE(Compact for Open-Access Publishing Equity) and $SCOAP^3$(The Sponsoring Consortium for Open Access Publishing in Particle Physics) for authors to publish their research in open access journals. Also, 13 academic libraries in North America have set up the campus-based open access author funds individually. Most of academic libraries in participating COPE did not fund for research that have been published in the hybrid open access journals. In addition to publication funds, academic libraries provided authors or scholarly societies with such services as copyright negotiation, technological supports of the publication process, and the dissemination of open access publications.

      • KCI등재

        공공도서관의 영상저작물 공연에 대한 저작권료 징수 규정의 타당성 고찰

        정경희,Joung, Kyoung Hee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4 No.4

        This study analyzed the legitimacy issues of the current regulation for the copyright-using charge and the plans to revise the regulation for the performing the cinematographic works in the public libraries.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performing the cinematographic works and the size of auditoriums in the 84 public libraries in Gyeonggi province with information on the library websites from February 2012 to January 2013.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ed that yearly charging for the performing the cinematographic works to the less than 6 months after publishing will be suitable than the current monthly charging. Also,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opyright agency for cinematographic works should increase the number of copyright works received in trust.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영상자료 공연에 대한 저작권료를 징수하기 위한 한국영상산업협회의 사용료 징수규정 및 그 개정(안)들이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현실에 타당한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행 징수규정과 4개의 개정안의 내용을 비교검토하였다. 또한 경기지역 84개 공공도서관에서 2012.2~2013.1 사이 영상저작물 공연현황과 공연장 규모를 각 도서관 웹사이트 정보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서관에서 발행 후 6개월이 지나지 않은 영상저작물 공연에 대한 과금이 월정액제가 아니라 년단위 혹은 개별 이용허락제가 더 적절하며, 사용료 징수단체는 신탁관리하는 영상저작물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영상저작물의 발행 년 월 일이 명확히 목록에 기술될 필요성에 대해서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고등학교 역사교사의 기록물 이용행태 사례 연구 - 지역 역사교사모임을 중심으로 -

        정경희,Joung, Kyoung-Hee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는 국내 고등학교 역사교사의 기록물 이용행태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역사교사를 대상으로 3번의 사전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2개 지역 역사교사 모임 회원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기록물과 기록관에 대한 인식, 기록물 이용현황, 기록물 탐색경로, 기록물 이용시 장애요인 및 서비스 방안 등 크게 4개 분야에 걸쳐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설문에 참여한 역사교사들은 주로 학생들의 역사적 이해력이나 자료에 대한 해석 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수업에서 기록물을 어느 정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업일정이나 교사의 시간 부족 등은 기록물 이용에 장애가 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설문참여자들은 향후 수업에서 기록물이 활발히 이용되기 위해서는 기록물을 통합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DB가 구축되어야 하며, 기록물에 대한 해석 등이 부여된 가공된 형태의 자료집 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rchival use behavior of history teachers in high schools. The study conducted 3 times interviews with high school history teachers and carried out a survey on recognition of archives, archival use, archival seeking behavior, and harrier factors for archival use to 30 teachers from the 2 local communities of history teachers. According to the survey, history teachers have used archives for raising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by students in their classes. But the tight curriculums of history and the lack of time to search archives were barrier factors for teachers to use archives in their classes.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urvey suggested that integrated DBs of archives in Korea and source books with commentaries need to promote use of archives in history classes.

      • KCI등재

        대학의 오픈액세스 정책 수립시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정경희,Joung, Kyoung-Hee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1 No.2

        오픈액세스 정책은 각 기관의 오픈액세스 프로젝트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대학의 오픈액세스 정책수립시 규정되어야 할 요소들을 제안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국내 세 개 대학의 기관리포지토리 운영 정책과 ROARMAP에 등록된 대학의 오픈액세스 정책문서를 분석한 뒤 대학의 오픈액세스 정책 수립시 규정되어야 할 요소들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요소영역은 크게 제출자료영역, 제출시기, 제출자, 저작권, 요구수준, 예외, 이용, 오픈액세스 방법, 지원 등 9개영역이며 이들 각 영역에 대한 세부사항들 30개를 제안하였다. Open access policies are very important for the successful open access projects in any institutions. This study aims to propose elements to consider for establishing open access policies of universities. The 3 university institutional repositories' open access policies in Korea and foreign universities' policies registered in the ROARMAP are analyzed. The major categories proposed in the study are materials, time of deposition, depositors, copyright, level of requirement, exemption, usage, options for open access, and support.

      • KCI등재

        의학 분야 오픈 액세스 현황 분석을 통한 국내 의학 정보 활성화 방안

        정경희,Joung Kyoung-Hee 한국문헌정보학회 2006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0 No.2

        본 논문은 의학 분야의 오픈 액세스 정책, 출판, 아카이브 현황을 분석하였다. 국외의 경우 오픈 액세스 출판사를 통하여 질적으로 인정된 학술지들이 출판되고 있으며, 이들 학술지의 논문이 PMC 혹은 BMC에 저장되고 있다. 또한 연구지원 기관이 새로운 학술커뮤니케이션 모델을 이루어나가는데 참여하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오픈 액세스 기반 학술커뮤니케이션이 국가 혹은 민간 연구지원재단에서 정책으로 수립되어 체계적으로 실행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많은 학술지들이 홈페이지를 통하여 논문을 공개하고 있으면서도, 오픈 액세스라는 새로운 출판 모델의 차원에서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외국의 오픈 액세스 현황 분석 내용과 국내 현황 파악을 기반으로 국내 의학 분야에서 오픈 액세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open access policies, publishing, and archiving in the field of medicine. Journals indexed in SCI are published by open access publishers such as BMC Ltd. and PLoS and then the research articles in those journals are archived in PMC and BMC. Also, funding institutions participate in developing open access as a new scholarly communication model and governments or independent funding institutions outside the country make policies for open access. But scholary communities in Korea do not develop their services in the level of a new scholarly communication model even though they open their journal articles on the homepages. This paper suggests several plans for the open access scholarly communication in the field of medicine in Korea.

      • KCI등재

        해외 인문사회과학 학술지 오픈액세스 전환 동향 연구

        이재윤,정경희,Lee, Jae Yun,Joung, Kyoung Hee 한국정보관리학회 2020 정보관리학회지 Vol.37 No.3

        This study analyzed recent cases of transition to open access(OA) journal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HSS) in foreign countries to find a way to transition to OA journals in Korea. Ling OA and UP led by researchers, OLH and KU led by libraries, S2O led by publishers and L+F model led by funders and libraries were analyzed. Programs by national funding agencies such as the Norwegian Research Council, Canada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Research Council, Austrian Science Fund, and Swiss Academy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ere also review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this study suggests for transition in Korean HSS field as follows; 1) transitions to open access journals in HSS should be supported at national level 2) the stakeholder in scholarly communications such as the nation, universities, libraries, research funders, scholarly societies etc has their own role in the transition but funders and libraries are the most important in financial support for open access publishing 3) but the financial support for the first stage of the transition should be done at national level 4) and open access journal publishing consortium comprised of libraries and information service institutions in the public sector such as KERIS, KISTI and the national library should be established 5) non commercial publishing platforms for scholarly societies should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본 논문은 국내 인문사회과학 학술지의 오픈액세스 전환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최근 해외에서 전개되고 있는 오픈액세스 학술지 전환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자가 주도한 Ling OA와 UP, 도서관이 주도한 OLH와 KU, 출판사가 주도한 S2O모델, 기금기관과 도서관이 협력하는 L+F모델 사례를 분석하고 국가지원 사업 사례로서 노르웨이 연구위원회와 교육연구부, 캐나다 인문사회과학연구위원회, 오스트리아 과학재단, 스위스 인문사회과학 아카데미의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국내 인문사회과학 학술지의 오픈액세스 전환을 위하여 다음을 제안하였다. 1) 오픈액세스 출판전환 지원이 국가적인 차원에서 진행되어야 하며, 2) 국가, 대학, 도서관, 학회 등 학술커뮤니케이션 모든 주체가 참여하되 오픈액세스 출판비용 부담의 핵심주체는 연구기금지원기관과 도서관이어야 하며, 3) 초기 단계에서는 국가차원의 비용지원이 이루어져야하며, 4) 오픈액세스 학술지 구독을 위한 대학도서관 협의체 및 국가정보서비스 기관들이 참여하는 컨소시엄이 구성되어야 하며, 5) 비영리 출판유통 플랫폼이 개발 및 보급되어야 한다.

      • KCI등재

        국내 학술지의 오픈액세스 특성에 관한 연구: KCI 등재지를 대상으로

        김규환,정경희,Kim, Gyuhwan,Joung, Kyoung Hee 한국정보관리학회 2017 정보관리학회지 Vol.34 No.3

        본 연구는 KCI 등재지 1,890종을 대상으로 국내 학술지의 오픈액세스의 주요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학술지의 오픈액세스 특성을 무료접근과 자유로운 재사용이라는 2가지 측면으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학술지의 오픈액세스 특성은 무료접근적 성향이 강하였다. 학술지 홈페이지를 기준으로 보면 67%가 로그인 없이 무료로 접근할 수 있었고 무료DB를 기준으로 보면 48%가 무료로 접근할 수 있었다. 반면 자유로운 재사용적 성향은 무료접근적 성향에 비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등재지 중에서 14%만이 CC 라이선스를 부여하고 있었다. 또한 주제분야간에 오픈액세스 성향의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났다. 의약학, 자연과학, 농수해양, 공학 분야가 인문학, 사회학, 예술체육, 복합학 분야에 비해 오픈액세스 성향이 상대적으로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해당 주제분야의 학술지 유통을 지원해 주는 기관의 존재 유무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제분야와 상관없이 국내 학술지의 오픈액세스 정책을 수립하고 지원하는 오픈액세스 거버넌스 체제가 구축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open access features of 1,890 Korean scientific journals registered in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To this end, this study classified open access features of the target scientific journals into two main aspects, free access and free redistribution.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target scientific journals had strong free access aspects. Based on websites, 67% of the target scientific journals allowed for free access without a login process and based on free database, 48% provided free access. On the other hand, the target scientific journals had weaker free redistribution aspects compared to their free access aspects. Only 14% of them offered the CC (creative commons) license. Another finding was that there were clear differences in open access aspects by academic field. Medicine, pharmacy, natural science, agriculture, fisheries, oceanography, and engineering had stronger open access aspects than humanities, sociology, arts, physical education, and interdisciplinary science. It appears that the difference was caus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organizations supporting distribution of scientific journals of the fields concerned. To narrow the gap, it is recommended that the open access governance system is established to set up open access policies for Korean scientific journals regardless of academic fields and to support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