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PA 및 FGI 분석을 통한 자율주행차량 핸디캡과 발생원인 분석

        전현명,김지수,Jeon, Hyeonmyeong,Kim, Jisoo 한국ITS학회 2021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0 No.3

        자율주행차량의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현재 자율주행자동차의 주행안전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자율 주행을 연구하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중요도-만족도(IPA)와 포커스그룹 인터뷰(FGI)를 수행하여 자율주행차량의 주행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과 국내의 자율주행 기술 수준 등을 파악하였다. 설문 결과 현재 자율주행 핸디캡 중에 공사 구간, 폭우/폭설 상황, 미세먼지 상황, 포트홀 존재 상황이 중요도보다 현재 기술 수준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 우선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공사 구간과 포트홀은 도로/도로 시설물의 불량과 센서 자체의 성능이, 날씨와 연결된 상황은 센서의 성능과 알고리즘 부재 등이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안전한 자율주행의 조속한 실현을 위해서는 자율주행차량의 주행안전성을 저해하는 원인에 대한 명확한 파악과 해결이 지속해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In order to accelerate the commercialization of self-driving cars,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identify the causes of deteriorating the driving safety of the current self-driving cars and try to improve them.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experts studying autonomous driving in Korea to identify the causes of problems in the driving safety of autonomous vehicles and the level of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in Korea.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construction section, heavy rain/heavy snow conditions, fine dust conditions, and the presence of potholes were less satisfied with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than their importance, and thus priority research and development was required. Among them, the failure of road/road facilities and the performance of the sensor itself in the construction section and the porthole, and the performance of the sensor and the absence of an algorithm were the most responsible for the situation connected to the weather. In order to realize safe autonomous driving as soon as possibl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identify and resolve the causes that hinder the driving safety of autonomous vehicles.

      • KCI등재

        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한 고속도로 다중추돌사고 특성 분석

        전현명,김진희,Jeon, Hyeonmyeong,Kim, Jinhee 한국ITS학회 2020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9 No.5

        본 연구는 고속도로 교통사고의 사고차량대수에 따른 요인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의 교통사고 심각도 연구에서는 사고차량대수에 대한 분석이 미흡하였다. 그러나 다중추돌사고는 인명피해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사고 지속시간과 사고처리를 위한 사회적 비용이 크기 때문에, 다중추돌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고차량대수를 사고의 요인이 아닌 사고의 결과로 해석하고, 이에 미치는 사고요인별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야간사고와 고속도로 본선, 터널, 교량에서 발생한 사고, 운전자과실, 도로장애물, 노면문제로 인한 사고, 내리막 경사, 중차량 연관 사고가 다중추돌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ffects of factors on the number of vehicles involved in traffic accidents on freeway sections. In previous studies about traffic accident severity, the analysis of accidents involving multiple vehicles was insufficient. However, multiple-vehicle accidents are likely to cause casualties and are the main reasons increasing accident duration and social costs. In this study, the number of vehicles involved in an accident was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the accident, not as the cause of the accident, and the impacts of each accident factor were analyzed using a multinomial logit model. The results indicate that multiple-vehicle accidents are mainly related to following factors: nighttime, driver's faults, obstacles on the road, a downhill slope, heavy vehicles, and freeway mainline sections including tunnels and bridges.

      • KCI우수등재

        전기자동차 충전행태분석

        박규호,전현명,정갑채,손봉수,PARK, Kyuho,JEON, Hyeonmyeong,JUNG, Kabchae,SON, Bongsoo 대한교통학회 2017 대한교통학회지 Vol.35 No.3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전기자동차는 우리나라에서도 2011년부터 지속적으로 보급대수가 증가하고 있다. 전기자동차 보급에 따라 충전 인프라 확대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전기자동차 보급률이 높고 충전인프라가 비교적 잘 구축되어 있는 제주도 사례를 바탕으로 충전소 이용행태를 분석하여 기존 충전소의 효율적 운영방안과 추가적인 충전시설 설치 시 고려할 요소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전기자동차 충전소가 있는 읍면동별 급속충전기와 완속충전기 이용특성과 시설의 유형에 따라 시간대별 이용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주도에 설치된 충전기의 이용 빈도를 분석한 결과, 급속충전기와 완속충전기 이용 빈도 모두 특정지역에 편중된 이용률이 나타났다. 유형별 충전소 이용은 급속충전기와 완속충전기 모두 업무시설과 공영주차장에 설치된 충전기 이용률이 높았으나, 시간대별 이용률을 보면 급속충전기는 오후시간 전반에 걸쳐 이용률이 높은 반면, 완속충전기 이용은 오전시간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러한 이용특성을 반영하여 이용자들이 전기자동차 충전소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이용률이 낮은 충전소를 안내하는 홍보방안과 충전기를 이용할 때에 주의사항 및 충전완료 알림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아직 충전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을 충전기 설치대상지역으로 고려하고, 이에 더불어 충전기 이용률이 높은 지역과 시설에 추가 설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실제 전기자동차 충전행태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실질적인 서비스 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Electric vehicles, which are attracting attention as eco-friendly vehicles, have been increasing in number since 2011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icient operation of existing charging stations and factors to consider when installing additional charging stations based on the case of Jeju Island where the electric vehicle penetration rate is high and the charging infrastructure is relatively well established. The characteristics of using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s by region, type of facility, and time of day are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equency of using the charger installed in Jeju Island, the utilization of both the fast charger and the slow charger is found to be concentrated in a specific area. The usage rate of charger installed in a business facility and a public parking lot is high in both fast charger and slow charger. However, according to the usage rate by time of day, the fast charger has a high utilization rate throughout the afternoon, while the use of a slow charger is concentrated in the morning. In order to enable users to utilize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efficient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publicity guide for the charging station having a low utilization rate, a notice for using the charger, and a notification of completion of charging. Considering the charging demand, the area where the charger is not yet installed should be considered as the area to install the charger, and in addition, the additional install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area and the facility where the amount of charge is large. Service improvement is expected to be possible by utilizing actual electric vehicle charging behavior analysis resu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