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베전 계통의 손실 최소화를 위한 시뮬레이티드 어닐링과 타부 탐색의 적용

        전영재,김재철,Jeon, Young-Jae,Kim, Jae-Chul 대한전기학회 2001 전기학회논문지A Vol.50 No.1

        This paper presents an efficient algorithm for the loss minimization of distribution system by automatic sectionalizing switch operation in large scale distribution systems. Simulated annealing is particularly well suited for large combinational optimization problem, but the use of this algorithm is also responsible for an excessive computation time requirement. Tabu search attempts to determine a better solution in the manner of a greatest-descent algorithm, but it can not give any guarantee for the convergence property. The hybrid algorithm of two methods with two tabu lists and the proposed perturbation mechanism is applied to improve the computation time and convergence property Numerical examples demonstrate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ology using a KEPCO's distribution system.

      • KCI등재

        웹툰 〈이끼〉와 영화 〈이끼〉를 통한 긴장감 연출 비교 연구

        전영재(Jeon Young-jae)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1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64

        최근 웹툰 원작이 영화나 애니메이션화 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2010년 제작된 강우석 감독의 영화 〈이끼〉(Moss, 2010)는 동명 웹툰 〈이끼〉(Moss, 2007)를 원작으로 제작된 장편 상업 영화이다. 윤태호 작가의 웹툰 〈이끼〉는 긴장감 넘치는 서사와 연출로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았으며 이는 영화 〈이끼〉의 성공으로 이어졌다. 이 연구는 원작 웹툰이 갖고 있는 스릴러의 장점들이 영상화되면서 어떻게 변주되고 차이점은 무엇인지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웹툰 〈이끼〉와 영화 〈이끼〉의 동일한 시퀀스, ‘적대자가 주인공 거처에 침입’하는 장면과 ‘주인공이 전석만의 거처에 침입’하는 장면, ‘주인공이 하성규의 거처에 침입’하는 장면, 총 세 가지 시퀀스를 서사와 연출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한다. 이를 통해 동일한 서사를 어떻게 연출하느냐에 따라 관객 또는 독자가 느끼는 감상에 어떤 차이가 발생하는지 분석하였으며, 이를 웹툰과 영화가 추구하는 표현 양식의 차이로 연결하고자 하였다. 웹툰 〈이끼〉는 생략과 여백을 통해 긴장감을 한 번에 끌어올렸다면 영화 〈이끼〉는 위협의 실체를 관객에게 미리 알려 긴장감을 서서히 끌어올렸다. 웹툰 〈이끼〉가 복선과 내레이션을 통해 서사를 강조하였다면 영화 〈이끼〉는 카메라 움직임과 인물의 동선을 통해 현장감을 강조하였다. 웹툰 〈이끼〉가 미스터리를 풀어가는 추리 소설에 가까웠다면, 영화 〈이끼〉는 서스펜스 스릴러에 가까웠다. 미스터리와 서스펜스의 차이는 매체의 특성에서 오는 결과로 일반화할 수 없지만, 그것을 보여주는 과정은 매체의 특성이 존재하였다. 웹툰과 영화는 서사를 기반으로 한 콘텐츠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지면과 영상이라는 큰 차이가 있다. 영상매체는 카메라 움직임과 배경음악으로 상황을 더 직접적으로 강조할 수 있는 반면 웹툰은 정지된 프레임과 여백을 독자의 상상력으로 채워나가는 매체이다. 그렇기에 웹툰 〈이끼〉는 독자에게 정보를 숨겼다가 한 번에 터트리는 전략을 취하였으며, 영화 〈이끼〉는 인물의 동선을 따라가며 긴장감을 쌓아가는 전략을 취하였다. Recently, the number of cases of webtoon originals being made into movies or animations is increasing. 〈Moss〉 (2010), directed by Kang Woo-seok, produced in 2010 is a feature-length commercial film based on the webtoon 〈Moss〉 (2007) of the same name. Yoon Taeho’s webtoon 〈Moss〉 was loved by many for its tense narrative and directing, which led to the success of the movie 〈Mos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how the strengths of the thriller of the original webtoon are transformed into images and what are the differences. The research method is the same sequence of the webtoon 〈Moss〉 and the movie 〈Moss〉, a scene in which an adversary invades the main character’s residence, a scene in which the main character invades Jeon Seok-man’s residence, and a scene in which the main character invades Ha Sung-gyu’s residence. Scenes, a total of three sequences, are compared and analyzed focusing on narrative and directing. Through this, it was analyzed what difference the audience or reader felt in the impression felt by the way the same narrative was produced, and it was attempted to connect this with the difference in the expression style pursued by webtoons and movies. While the webtoon 〈Moss〉 raised tension at once through omissions and blanks, the movie 〈Moss〉 raised the tension slowly by informing the audience of the reality of the threat in advance. While the webtoon 〈Moss〉 emphasized the narrative through double lines and narration, the movie 〈Moss〉 emphasized the sense of presence through camera movements and the movement of characters. If the webtoon 〈Moss〉 was more like a mystery novel, the movie 〈Moss〉 was more like a suspense thriller. The difference between mystery and suspense cannot be generalized as a resul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but the process of showing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Webtoons and movies have in common that they are narrative-based content, but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page and the video. While video media can emphasize the situation more directly with camera movement and background music, webtoon is a medium that fills still frames and blank spaces with the imagination of the reader. Therefore, the webtoon 〈Moss〉 took the strategy of hiding information from the reader and then popping it out at once, while the movie 〈Moss〉 took the strategy of building up tension by following the movement of the characters.

      • KCI등재

        〈오징어 게임〉의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데스 게임 장르를 중심으로-

        전영재(Jeon Young-jae)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1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65

        2021년 9월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된 황동혁 감독의 〈오징어 게임〉(squid game)은 기존의 ‘데스 게임 장르’의 장점을 가져와 인물을 강조하는 전략을 통해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그동안 한국에서 데스 게임 장르는 주목받지 못한 소재였지만, 서구권과 일본에서는 ‘소설, 만화, 애니메이션, 영화, 비디오 게임’ 등 다양한 매체에서 제작되었으며 마니아층을 형성하고 있다. 이 연구는 데스 게임을 소재로 제작된 창작물의 특징을 분석하고,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오징어 게임〉이 어떤 전략을 통해 대중적인 지지를 받을 수 있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기존 데스 게임 장르와 〈오징어 게임〉을 인물의 설정과 사건(게임)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한다. 연구 범위는 데스 게임 장르의 시초가 되는 소설과 영상화되어 많이 알려진 작품 위주로 제한한다. 연구 목적은 기존 데스 게임 장르의 어떤 점을 〈오징어 게임〉이 가져왔으며, 〈오징어 게임〉만이 갖고 있는 차별점은 무엇인지 고찰하는 데에 있다. 연구 결과 〈오징어 게임〉은 데스 게임 장르가 갖고 있는 설정을 통해 서스펜스와 스릴, 갈등을 효과적으로 만들어냈으며 이는 관객에게 기존 장르가 갖고 있던 재미를 선사하였다. 〈오징어 게임〉과 기존 데스 게임 장르와의 다른 지점은 게임을 단순화시키고, 인물의 심리와 인간관계에서 오는 드라마를 강조했다는 점이다. 〈오징어 게임〉은 영웅적인 한 인물이 게임을 풀어가는 기존 장르의 공식에서 벗어나, 사회적 약자들의 이야기를 그림으로써 현실성을 획득하였다. 또한 게임을 통해 사회의 불평등과 부조리한 경쟁 시스템을 풍자하였다. 그로 인해 주요 인물들의 죽음이 장르적 재미를 위해 소모되지 않고 의미를 만들고 주제 의식을 강화하였다. 요약하면 〈오징어 게임〉은 기존 데스 게임 장르의 틀 위에 ‘사실적인 인물, 게임을 통한 현실의 풍자, 비극적 감정의 구축’과 같은 요소들이 더해졌다. 〈오징어 게임〉은 비현실적인 설정으로 사실성을 획득하기 어려웠던 기존의 데스 게임 장르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게임을 통해 현실을 풍자하고, 게임 속 인간관계에서 오는 드라마를 강조함으로써 게임의 재미만을 추구했던 기존 데스 게임 장르의 한계를 뛰어넘어,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며 감정적인 여운을 남기는 작품이 되었다. Director Hwang Dong-hyeok’s 〈Squid Game〉, released through Netflix in September 2021, achieved global success through a strategy that emphasizes characters by bringing the strengths of the existing ‘death game genre’. In the meantime, the death game genre has not been noticed in Korea, but in the West and Japan, it has been produced in various media such as ‘novels, comics, animations, movies, and video games’ and is forming a mania.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ons made with the subject of death games, and to analyze what strategies the 〈Squid Game〉, which has recently become an issue, could receive popular support. As a research method, the existing death game genre and 〈Squid Game〉 are compared and analyzed focusing on the world view, character setting, and events(games). The scope of research is limited to novels that are the beginnings of the death game genre and works that are well-known as im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aspects of the existing death game genre have been brought to by 〈Squid Game〉and what differentiates only 〈Squid Game〉. As a result of the study, 〈Squid Game〉 effectively created suspense, thrill, and conflict through the setting of the death game genre, which provided the audience with the fun that the existing genre had. The difference between 〈Squid Game〉 and the existing death game genre is that it simplifies the game and emphasizes the drama that comes from the character’s psychology and human relationships. 〈Squid Game〉 has achieved reality by escaping from the conventional genre formula in which a heroic character solves a game and depicting the stories of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It also satirizes social inequality and absurd competition systems through games. As a result, the death of the main characters was not wasted for fun in the genre, but made meaning and strengthened the sense of the theme. In summary, 〈Squid Game〉 adds elements such as ‘realistic characters, satire of reality through games, and the construction of tragic emotions’ on top of the existing death game genre. 〈Squid Game〉 presented a new direction to the existing death game genre, which was difficult to acquire realism with unrealistic settings. In addition, it satirizes reality through games and emphasizes the drama that comes from human relationships in the game, surpassing the limits of the existing death game genre that pursued only the fun of games, and it became a work that left an emotional lingering impression by giving things to think abou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