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생애목표와 성취목표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보라 ( Jeon Bora ),정혜영 ( Jung Hyeyoung ),윤소정 ( Yune Soj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6

        전문대학생들은 짧은 학업기간을 거쳐 사회에 나가야 한다는 점에서 4년제 대학생들에 비해 더 큰 부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전문대학생들이 가지는 목표는 학업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생의 생애목표와 성취목표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들의 목표와 학습경험을 질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학생 168명을 대상으로 생애목표, 성취목표, 학업지연행동에 대한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대응표본 t-test와 stepwise multi-regression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학생 면담에는 8명의 학생이 참여하였으며, 그 결과를 질적 방법으로 해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생애목표, 성취목표의 기술통계 분석에서는 내적목표와 숙달목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취목표 중 숙달목표와 수행회피목표가 학업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면담을 통해 `자부심과 소속감이 사라진 대학`, `준비 없이 시작한 대학공부의 어려움`, `같은 공간 내 다른 목표를 가진 두 그룹`, `완전히 통제되지 않는 수업 분위기 속에서 겪는 집중의 어려움`, `학업에만 집중하기에는 너무 바쁜 일상`, `미래를 준비하기에는 짧은 2년`이라는 6가지의 주제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학업에 목표가 주는 영향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College students have more burden than those in four-year-course universities in the matter of entering into society due to the shorter period of studies. In this point, the college students` goal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studie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life goals and achievement goals on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to analyze qualitatively college students` goals and learning experiences. A survey about life goals, achievement goals,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was conducted among 168 college students, and the result was analyzed in the way of paired t-test and stepwise multi-regression. Eight students had an interview and the result was analyzed in a phenomenological way. The result, firstly, the score of internal goal factor in life goal and mastery goal in achievement goal factor were high. Secondly, mastery goal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in achievement goal have an effect on academic procrastination. Thirdly, six subjects were figured out through the interview, `the college without self-esteem and the sense of belonging`, `difficulty of college studies started without proper preparation`, `two groups in the same place with different goals`, `focus difficulties in uncontrollable class atmosphere, `busy life to focus only on studies`, `two years, short period to shape the future`. This study is considered to help understanding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goals on their studies.

      • KCI등재

        대학 독서교육 현장에서의 슬로리딩 적용 방안 탐색

        전보라 ( Bora Jeo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지금까지 독서교육은 학습자가 무엇을 알고 싶은지, 왜 배우는 것인지, 어떻게 배울 것인지 묻지 않고 진행되어 왔다. 이제 독해전략 중심의 미시적 독서 지도에 치중해 온 것을 반성하면서, 독서경험을 제공하는 거시적 독서 지도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기존 독서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등장하게 된 슬로리딩 방법을 대학 독서교육 현장에 적용하고, 그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서의 슬로리딩 적용사례를 제시하고, 질적 자료인 학생 인터뷰 기록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슬로리딩 활동 계획 시 교육철학 설정의 중요성, 학생의 자발성과 주체성 강조, 읽기와 생각 나누기 및 표현하기의 균형 확보, 풍부한 샛길 활동의 구성, 운영주체의 전문성 확보와 같은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 독서교육 현장에 슬로리딩을 적용하고자 시도했으며, 독서교육의 목표가 장기적인 과정을 염두에 두고 진행되어야 함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Reading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without asking what learners want to know, why they learn, and how they want to learn. It is time to reflect on what has focused on micro reading guidance centered on reading strategies, and to need macro reading guidance that provides reading experience. According to this need, this study applied the slow reading method, which emerged to overcoming the problems of reading education, to the university reading education site. To this end, the application of slow reading in extracurricular programs was presented and qualitative data of student interview protocol were analyzed. As a result, implications such as the importance of setting up educational philosophy in planning slow reading, emphasizing students’ spontaneity and independence, balancing reading, thinking sharing, and expression, organizing rich sidetrack activities, and strengthening insights from operating subjects were deriv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apply slow reading to university and emphasized that the goal of reading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with long-term processes.

      • KCI등재

        대학생용 독서태도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전보라 ( Jeon Bora ) 한국독서학회 2020 독서연구 Vol.0 No.56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용 독서태도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 분석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성요인을 설정하였으며, 문항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전문가 집단에 의해 문항평정이 이루어졌다. 예비검사 도구의 기술통계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의 과정을 거쳐 독서태도 검사도구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남학생 1,034명, 여학생 1,129명으로 총 2,163명의 대학생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독서태도 검사도구는 ‘독서중요성’ 5문항, ‘독서효능감’ 7문항, ‘독서즐거움’ 8문항, ‘독서몰입도’ 4문항, ‘적극적 독서의지’ 4문항, ‘적극적 표현의지’ 4문항의 6요인 총 32개 문항의 Likert 5점 척도로 구성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적합도 지수를 확인한 결과, 요인구조의 안정성과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논의 및 결론을 통해 최종 개발한 독서태도 검사도구가 대학의 교육 현장에서 유용한 활용 가치가 있음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reading attitude test tool for university students. To this end, prior research analysis and a survey were conducted to establish appropriate components, and a group of experts was asked to evaluate the questions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ir content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ading attitude test tool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preliminary inspection tools were verified. A total of 2,163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comprising 1,034 male and 1,129 female student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used to devise a final reading attitude test tools with 5-point Likert ratings consisting of six factors with 32 items: “reading importance” (5 items), “reading effectiveness” (7 items), “reading pleasure” (8 items), “reading immersion” (4 items), “active reading,” (4 items), and “passive representation” (4 items). The stability and suitability of the factor structure were verified by conducting a positive factor analysis. Through discussions and conclusions, it was determined that the final developed reading attitude test tool is worth using on the university's educational site.

      • KCI등재

        중간 강의평가에 대한 온·오프라인 수업 비교분석

        전보라 ( Jeon¸ Bora ),류상현 ( Ryu¸ Sanghyeon ),구경희 ( Ku¸ Kyungh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한 대학 온라인 수업의 활성화에 따라 학생들이 경험한 온라인 수업과 오프라인 수업에 대한 요구를 확인하고, 수업 유형에 따른 수업 개선방안 및 향후 수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A대학의 2021학년도 1학기에 개설한 454개 과목에 대한 중간 강의평가 22,380건 중 오프라인 수업 107개(6,747건), 온라인 수업 170개(9,412건)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5점 리커트(Likert) 척도의 9개 문항과 복수응답 가능 유형 1문항에 대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서술형 주관식 문항으로 수집된 질적 데이터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문항별, 영역별, 교과구분별 중간 강의평가에서 전반적으로 오프라인 수업의 평점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오프라인 수업의 긍정요인은 원활한 상호작용, 다양한 교수법의 활용, 학습 참여 촉진 및 동기부여로, 부정요인은 수업환경에 대한 불만족, 수업의 일회성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온라인 수업의 긍정요인은 반복학습 가능, 다양한 자원 활용, 부정요인은 불안정한 온라인 학습 환경, 수업 콘텐츠의 질 저하, 수업 집중도 저하로 나타났다.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수업 유형별 부정요인을 감소할 수 있도록 수업설계 시 긍정요인을 반영한 보완책을 마련해야 하며, 온라인 수업의 비중이 높아지는 만큼 제도적 차원, 교수자 차원에서 수업의 질 관리를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needs of students in online and offline classes following the activation of online education at universities due to COVID-19, and to suggest ways of improving classes for each type and future directions of classes. Altogether, 107 offline classes (6,747 cases) and 170 online classes (9,412 cases) were analyzed based on 22,380 mid-semester evaluations in 454 subject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1 at A University in Busan.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on nine questions scored on a 5-point Likert scale and one multiple choice question. Qualitative data collected through an essay question were analyzed using iterative comparative analysis. The results confirmed that offline classes generally had high ratings in the mid-semester evaluations by question, area, and curriculum classification. Also, the positive factors of offline classes were shown to be effective interaction, use of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promoting learning participation, and motivation. The negatives were dissatisfaction with the class environment and non-repeating classes. On the other hand, the positive factors of online classes were the possibility of repetitive learning and utilizing various resources, while the negative factors were unstabl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low quality of online class content, and poor concentration. To reduce the negative factors for each class type, countermeasures reflecting the positives factors should be prepared when designing classes. Also, as the proportion of online classes increases, continuing efforts to manage the quality of classes at the institutional and professors levels are needed.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학습플래너 사용도에 따른 시간관리 능력과 시간관 차이 및 학습플래너 활용 방안

        윤소정(Yune, Sojung),전보라(Jeon, Bora),정상훈(Jeong, Sanghoon),김회용(Kim, Hoyy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들의 학습플래너 사용도와 시간관리능력, 시간관과의 관계 분석을 통해 학습플래너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B시 중학교 10개교와 고등학교 6개교 총 400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습플래너 사용도와 시간관리능력, 시간관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각 학교별로 학생 4~6명의 포커스그룹 집단을 구성하여 학습플래너 활용도를 제고하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결과의 통계적 분석을 위하여 빈도분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심층면담 결과는 Giorgi(1985)가 제시한 4단계 질적분석 방법을 통해 학습플래너 제고 방안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학업성취 수준이 낮은 집단에 비해 학업성취 수준이 높은 집단이, 고등학생에 비해 중학생이 학습플래너 활용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플래너 사용을 잘하는 집단의 학생들은 미래지향적 시간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목표세우기, 우선순위 정하기, 계획하기, 실행하기, 평가하기, 정보이용하기 등의 시간관리 능력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플래너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플래너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것이 가장 시급하며, 스스로 학습 플래너의 효과를 경험할 수 있는 직·간접적 기회를 많이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use of the learning planner, time perspectives, and time management skills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find a way to increase the use of the learning planner.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00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B city. Questionnaires about learning planner usage, time perspectives, and time management skills were conducted. We also had focus group interviews to explore methods that could heighten the use of the learning planner.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and ANOVA. The statistical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p<.05 by using SPSS 18.0 for Windows. The results of th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analyzed by a 4-step qualitative analysis method proposed by Giorgi(198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emale students rather than male students, the higher learning achievement group, rather than the lower achieving group, and high school students, rat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better at using the learning planner. Second, the group that had a high usage of the learning planner had prospective time perspective as well as a high level of time management skills in planning goals, determining priorities, planning and conducting, evaluating, and using the information. Third, in order to increase the usage of the learning planner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aising awareness among students about the learning planner is the most urgent issue. It will be helpful to provide many opportunities, directly or indirectly, for students to experience the positive effects of the learning planner to increase student success.

      • KCI등재

        학습플래너를 활용한 중등학교기반 시간관리 학습컨설팅의 적용 및 효과

        윤소정(Yune, Sojung),전보라(Jeon, Bora),김회용(Kim, Hoyy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플래너를 활용하여 중등학교기반 시간관리 컨설팅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B시의 중학교 4개교, 고등학교 3개교의 총 1911명 학생이다. 연구 방법은 학습플래너를 활용한 학습컨설팅을 적용하고, 학습컨설팅의 결과 평가와 과정 평가를 통해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양적 결과와 질적 결과 모두를 분석하는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학습컨설팅의 양적 결과 분석에는 이원변량분석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질적 결과 분석에는 의미단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학습플래너를 활용한 시간관리 학습컨설팅 모형은 도입-진단-실행계획수립-실행-종결의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학습컨설팅의 적용은 3개월에 걸쳐 12명의 컨설턴트들이 투입되어 진행되었으며, 플래너 점검과 피드백, 학부모·교사·학생 연구, 온라인 사이트 운영으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학습컨설팅을 통해 학습플래너 작성 능력의 변화가 나타났으며, 학습플래너의 유용성 인식과 학습플래너 사용 증대 결심, 시간관리 능력 제고, 성적 향상 믿음에서 의미 있는 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학교와 성별의 상호작용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플래너를 활용한 시간관리 학습 컨설팅이 중학생에게 의미 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development of learning consultation based on the time management secondary school consulting model and examine the effect on learning strategies. A total of 1911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from four middle schools and three high schools in “B” city. A method of learning consulting model was developed using planner execution, and evaluation through the process of consulting. The results of the effects were analyzed. This study used a mixed-design study. For quantitative approach, two-way ANOVA and frequency analysis were conducted. For qualitative approach, a semantic analysis was conduct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learning consultation based on the time management consulting model was composed of an Introduced-Diagnosis-Implementation Plan-Do-closing process. Second, the three-month consulting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sultants has been introduced to 12 people. Inspections and feedback planners, parents, teachers, student research, and an online site operation were conducted. As a result, learning planner's ability to create change through learning consulting was achieved, but it appeared there were differences in timing. Usefulness of learning awareness and learning planner increased with determination, time management skills, and improving grade enhancement. These effects were significant in the faith, according to the school and the gender difference was due to the inter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