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괴물> <박쥐> <이끼> : 공포와 두려움 그리고 메시지

        전문희 한중인문학회 2013 한중인문학연구 Vol.38 No.-

        모든 예술은 그것이 생산된 사회의 모습을 어느 정도 반영하지만 영화는 본질적으로 관객 을 염두에 둔 소통의 예술이며 시각적 테크놀로지와 상업성에 의지한다는 면에서 그 어떤 예 술 형태보다 사회의 여러 면에 관련된다. 특히 현대의 공포영화는, 지배체제의 안전을 보장하 기 위해 억압된 개인의 무의식뿐만 아니라 사회의 집단적 무의식을 반영하면서, 현대사회를 향한 강한 정치적 비판을 가하는 장르로 이해된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3편의 공포영화 또한 현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유동하는 공포’와 ‘회피의 문화’에 내재한 문제점들에 주목하 여, 이를 강력히 경고하고 비판한다. 공포 영화라는 장르의 특성과 독창적인 주제 그리고 예술 성 있는 재현의 기술을 통해 세편의 영화는 원하는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최근 들어 공포영화는 마치 살아있는 유기체처럼, 새로운 이야기, 새로운 기법, 새로운 과 학 기술의 이용 등을 통해 새롭고 독창적인 세계관을 제시하는 다양한 하위 장르로의 진화를 계속하고 있다. 공포영화 장르의 전형이라 할 수 있는 ‘괴물’의 타자성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 하는 <괴물>, ‘성직자 뱀파이어’라는 새로운 캐릭터를 창조하여 외부로 부터가 아니라 바로 자신의 내면으로부터 불러낸 ‘악’의 실체와 치열한 사투를 벌이는 신부의 고통을 충격적으로 그려낸 <박쥐>, 그리고 추리물, 심리 스릴러, 스플레셔 등의 다양한 장르의 특성을 혼합하여 공포의 대상인 괴물은 바로 인간 자신일 수도 있다는 삶의 진실을 새로운 방식으로 파해 쳐 내는 <이끼>, 이 세편의 영화가 보여주는 서사와 기법의 새로움과 창의성은 공포영화의 진화 를 향한 움직임에 있어 하나의 의미 있는 발걸음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history of horror film is said to be a history of anxiety of modern world. As gothic romances and folk tales represents the fears of the ‘past’ world, the horror film of nowadays depicts the fear of the ‘present’ world rapidly changing i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cal sciences and industrialization for the economic determinism. The films of The Host, Thurst and Moss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people of today are living under the liquid fear which is diffuse, unclear, unattached, free floating, with no clear address or cause. When it can be glimpsed everywhere but is nowhere to be seen, it is at its most fearsome. In other words, uncertainty is another name of it. In relation to this respect these films criticise the culture of avoidance and denial, which avoids the perception that fear is everywhere and deny the fact that the terrifying danger is immediately present. Under this culture of avoidance people are eventually leading to live in a false vision of life with an irrationally hopeful, naive and optimistic world view only expecting no harm to themselves. All the heros of these films reject such a living under the silent culture attempting to silence the potential danger under the liquid fear for the preservation of established social order. In other words they are the people questing into the darkness of horror to find an ultimate truth hidden behind it. They are also the people continuing the fight within the dying terror against the horror of darkness. In a psychological view, terror and horror are so far opposite in that the first expands the soul, and awakens the faculties to high degree of life; the other contracts, freezes, and annihilate them. In short, these three films are extending the range of horror genre within the new narratives, new cinematic techniques and new technologies of modern science. In other worlds the aims of these films are new because the aims of them would be said to make people recognize the truth hidden behind the darkness of horror, not only to make them experience the psychological catharsis or the feeling of comfort people generally want to get from the ordinary horror genre.

      • KCI등재

        <마더> : 모성의 괴기함 또는 신성함

        전문희 한중인문학회 2010 한중인문학연구 Vol.31 No.-

        봉준호의 <마더>는 모성에 관한 특별한 시각을 지니고 있는 영화이다. 영화에서 표면적으 로 제시되는 모성의 특성은 괴기함이다. 기피하고 부정되어야만 하는 이 같은 모성에 대한 개 념은 여성주의 비평가들이 주장하듯 가부장제도 내에서 기존 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하나의 전략이라 할 수 있다. 프로이드나 라캉의 정신분석이론은 모성에 대한 가부장적 해석에 대한 이론의 틀을 제공하는 것으로 비난의 대상이 되기도 하지만 모성과 연관된 기존 문화의 다양 한 현상들을 이해하기 위한 유용한 도구가 되기도 한다. 다음으로 제시되는 모성의 특성은 강 함과 신성함에 대한 것으로 이 역시 가부장제의 유지를 위한 욕구가 숨어있는 만들어진 신화 일 뿐이다. <마더>에서 주인공 마더는 이 같은 두 가지 모성의 모습을 충실히 재현하는 인물로 묘사 된다. 그러나 이 영화의 특별함은 다루고 있는 사건의 의외성이나 모성의 괴기하고 충격적인 모습을 통해 드러나는 것은 아니다. 영화는 첫 시퀀스와 마지막 시퀀스가 오버랩 되는 장치를 통해 영화 속의 사건이 영화 속의 영화 라 할 수 있는 마더의 의식 속에서 재현되며 반추되는 것이라는 해석을 가능케 한다. 그리고 사건에 대한 마더의 회상과 의식은 어색하기 짝이 없는 그녀의 춤을 통해 표현되는데, 슬픔, 괴로움, 고통, 두려움, 회한, 후회와 같이 ‘말로는 표현 될 수 없는 힘들고 위험한 말’들이 소위 ‘아줌마 춤’이라는 몸 언어를 통해 발현된다. 영화의 특별 한 시선은 바로 이곳에서 제시 된다. 모성을 주제로 한 대부분의 영화들은 헌신적이고 신성한 모성의 희생이나, 자기희생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모성의 두렵고 괴기한 모습만을 강조한다. 따라서 모성에 대한 가부장적인 해석만을 답습하는 한계를 드러낼 뿐이다. 그러나 <마더>에 서는 마더가 지닌 내면의 고통과 이를 통한 자기 성찰의 가능성 즉 ‘개성화(individuation)’ 의 가능성을 그녀의 어색하지만 진솔하고 고통스러운 춤사위를 통해 열어둔다. 융의 심리학에서 말하는 개성화는, 한 개인이 외부로부터의 모든 요구나 명령에 의해 지배 당하거나 영향 받지 않고 오로지 자신만의 선택으로 삶의 방식을 결정하는 ‘온전한 개인’이 되어가는 과정이다. 개성화의 과정은 그러므로 외부로부터 오는 힘과 자신과의 관계에 대한 명확한 인식과 자기 성찰을 통해 시작된다. 그리고 고통은 이 과정에서 피할 수 없는 것이다. 마지막 시퀀스에서, 관광버스에 타고 있는 아줌마들의 ‘관광버스 아줌마 춤’이 첫 시퀀스인 마더의 춤과 오버랩 되면서 마더의 춤은 그 의미가 사회적으로 확산된다. 영화는 모성을 향한 과장된 신화와 그 환상이 빚어내는 사회적인 비극에 대해 , 그리고 비극의 주인공인 마더들이 겪고 있는 고통의 과정에 대해 말하고 있는 것이다. 흐릿한 윤곽만을 드러낸 채 떠도는 유령 들의 그림자 같은 마더들이 깊은 한과 고통의 춤을 이어가고 있는 장면을 배경으로 앤딩 크래 딧을 올리며, 영화는 다음과 같이 관객에게 묻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이들이 지금 견뎌내고 있는 고통의 크기가 결국은 현실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은 아 닐까?” 영화가 지닌 모성에 대한 특별한 시선은 바로 이 같은 질문 속에 담겨있다고 생각된다. The film, Mother has its unique view on the meaning of Motherhood. On the surface it seems, this movie is only focusing on representing the Myths of Motherhood exaggerating women's duty and sacrifice as a mother in caring about a family, especially on children. As some critics say Myths about a Good, Great Mother or a Bad Mother as a Woman Monster were invented by the needs for the patriarchal system of the past age but even now these Myths are being reinvented in our own culture with various faces. Mother, the heroin of Mother is representing this very image of mother who is great but dangerous in doing her role of mother with monstrous power devouring everything on the way of it. For the first place she has the image of Vagina Dentate in Ancient Myths and in the castration complex in men, who is believed to have the teeth to take off the penis. Secondly, with these fearful monster images, she also has the image of Good, Great and Sacred Mother sacrificing herself in doing all the hard things to save her son. As the common stories in films or soap operas on Good Mother in these days, she also easily gets much help from the powerful male figures in achieving her goal of realizing the myth of Sacred, Good Mother. However, its unique view of Mother on Motherhood is not made from these images successfully created in this work. In the technique of over-rapping the first scene of dancing mother to the last scene of dancing crowd of old women, this movie completes a kind of frame structure. Consequently it is possible to think that all the things in the movie have occurred in this frame, namely in the memory of Mother, the heroin of her story. On her witch like curious and sorrowful dance Mother expresses all her suffering in the body language, cause it is too complicated and dangerous to be spoken in words. In Jung's theory of psychology the state of suffering in mind is the first step toward Individuation in which a person lives his or her life as a whole being free from every demand and order such as every convention in religion, cultural system, tradition and politics. At this very point, the unique view of this movie reveals it self. In her dance Mother shows much complicated emotions of remorse, regret, guilty feeling and helplessness. In this suffering of self-recognizing moment about what she has done, she seems to begin the first step toward the possibility of Individuation for her self and for the greater change of this world.

      • KCI등재

        반려동물 사별로 인한 애도와 지속 비애의 관계: 성인불안애착으로 조절된 부정적 비애인지의 매개효과

        전문희,구훈정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0 인지행동치료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bereavement as a result death of companion animal on a Prolonged Grief relationship and the control effect of adult anxiety attachment, first the mourning as a result death of companion animal predict psychological maladies, second to second, the bereavement as a result death of companion animal to test whether they are ‘negative grief cognitions’ in the path to ‘Prolonged Grief’ and then to counteract them. To this end,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254 adults who had lost their pets (29 males, 225 females) that measured their pets, whether they were related to their pets, whether they were negative or not, their psychological maladies, and their adultho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nalyzed using Hayes’ Process No. 4 and 8 models are as follows. First, pet lovers predicted psychological maladaptation. Second, pet lov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sistent obesity by using the medium as a medium for negative love. Third, adult adornment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adjustment effect on the indirect path to psychoanalysis by means of a medium for whether or not pets are negative, but not in the direct path from companion animal to psychological ineligible.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반려동물 사별로 인한 애도가 지속 비애를 예측하는 경로에서 부정적 비애인지가 매개 변인으로 작용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첫째로 반려동물 사별로 인한 애도가 지속 비애라는 심리적 부적응을 예측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반려동물 사별로 인한 애도가 지속 비애를 예측하는 경로에서 부정적 비애인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셋째, 반려동물 사별로 인한 애도가 지속 비애에 미치는 직접 경로와 부정적 비애인지 의해 매개된 간접경로에서 작용할 것이라고 가정되는 성인불안애착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반려동물 사별 경험이 있는 성인 254명(남 29명, 여 225명)을 대상으로, 반려동물 애도, 부정적 비애인지, 지속 비애, 성인불안애착을 측정하는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Hayes의 Process 4번, 8번 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려동물 사별로 인한 애도는 지속 비애를 예측하였다. 둘째, 반려동물 사별로 인한 애도는 부정적 비애인지를 매개로 하여 지속 비애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성인불안애착은 반려동물 사별로 인한 애도가 부정적 비애인지를 매개로 하여 지속 비애에 미치는 간접경로에서 유의한 조절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함께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교대근무 간호사의 월경전불편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전문희(Jun, Mun Hee),홍세훈(Hong, Se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월경전불편감, 회복탄력성,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월경전불편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대학병원에 재직 중이며, 3교대 근무를 하는 간호사 132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aron과 Kenny의 3단계 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월경전불편감은 2.77±0.58점, 회복탄력성은 3.41±0.43점, 우울은 2.06±0.38점으로 나타났다. 월경전불편감은 월경주기의 규칙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월경주기가 규칙적인 경우에 월경전불편감이 유의하게 더 낮았다. 회복탄력성은 나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20대가 30대 이상에 비해 회복탄력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은 월경전불편감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우울은 월경전불편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회복탄력성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매개효과 분석 결과, 교대근무 간호사의 월경전불편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유의한 부분매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Z=1.99, p=.023).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월경전불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교육 및 중재 개발 시 회복탄력성을 비중 있게 다룰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menstrual distress and depression in shift work nurses. Methods A total of 132 shift work nur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a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using Baron and Kenny’s method for mediation with the SPSS/WIN 23.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s for premenstrual distress, resilience, and depression were 2.77±0.58, 3.41±0.43, and 2.06±0.38, respectively. Resilience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menstrual distress and depression (Z=1.99, p=.023), and its explanatory power was 43%. Conclusions To decrease depression among shift work nurses in premenstrual distress situation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ir resilience and develop resilience enhancement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임상간호사의 월경전불편감, 월경태도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전문희(Jun, Mun Hee),홍세훈(Hong, Se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의 월경전불편감과 월경태도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병원에 재직 중인 간호사 137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규칙적 운동여부, 주관적 건강상태, 월경주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월경태도는 월경전불편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건강관련 삶의 질은 월경전불편감, 월경태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월경전불편감(β= -.38, p<.001), 월경태도(β= -.22, p=.001), 규칙적 운동여부(β= .21, p=.002), 주관적 건강상태(β= -.20, p=.005)로 나타났다.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20.60, p<.001), 전체 모형의 설명력은 41.9%이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임상간호사의 월경과 관련된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교육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관련 연구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To identify effects of premenstrual distress and menstrual attitude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clinical nurses. Methods Subjects were 137 clinical nurse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IBM SPSS ver. 23.0. Results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premenstrual distress, menstrual attitude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Premenstrual distres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nstrual attitude. Significant predictors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cluded premenstrual distress, menstrual attitude, regular exercis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These factors accounted for 41.9%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Conclusions Premenstrual distress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clinical nurses. To increase their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d apply educational programs using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of the clinical nurses.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as basic data for improving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clinical nurses. Additional study is needed to test its effect in the future.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프리셉터십 교육과 수습교육 이수 단계에 따른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전문희(Jun Moon Hee),박혜자(Park Hye-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가 프리셉터십 교육과 수습교육을 이수한 시점에서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 사회적 지지, 극복력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방법 간호학과를 졸업한 후 2개의 대학병원에 입사한 신규간호사 114명을 대상으로 프리셉터십 교육 종료 4주 시점과 수습교육 종료 16주 시점에서 임상수행능력, 사회적 지지, 극복력, 이직의도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대응 t-검정, Wilcoxon 순위부호검정, Spearman 상관관계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수습교육 종료 단계에서 임상수행능력과 전문가 패턴의 극복력 및 이직의도는 프리셉터십 교육 종료 시점에서보다 높아졌다. 프리셉터십 교육 종료 시점과 수습교육 종료 시점에서 각각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 사회적 지지, 극복력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관계를 보였다. 프리셉터십 교육 종료 시점에서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 요인은 극복력(설명력 9.2%)과 사회적 지지(설명력 2.2%)이었다. 수습교육 종료 시점에서 이직의도에 영향을 준 요인은 극복력(설명력 18.2%)이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신규간호사의 직무역량 교육과 함께 사회적 지지와 극복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인적자원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s of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n turnover intention among new nurses according to preceptorship and on-the-job training. Methods In this correlational study, 114 new nurses completed questionnaires of a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 social support, a resilience, and a turnover intention.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Wilcoxon-signed rank test,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After on-the-job training, the scores of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professional resilience, and turnover intention increase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urnover intention. At the step of preceptorship, higher resilience (explained 9.2% of variance) and social support (explained 2.2% of variance) affected lower turnover intention. At the step of on-the-job training, resilience (explained 18.2% of variance) was a predictor of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a nursing program to enhance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could be developed as an effective strategy to reduce turnover among new nurses.

      • KCI등재

        새송이버섯, 팽이버섯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 활성

        류혜숙,김수현,전문희,최해연,Ryu, Hye Sook,Kim, Soo Hyun,Jeon, Moon Hee,Choi, Hae Yeon 한국식품영양학회 2018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1 No.6

        Various studies on the effect of mushroom, a member of phytonutrients, on inflammatory diseases have been reporter over the years, Among various species mushrooms,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and winter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are popular dietary ingredients for Asian cuisine. The extracts from all the three mushrooms were used to determine the antioxidative effect and the cytotoxicity. Result analysis were repeated more than three times to get an average${\pm}$standard deviation,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ere confirmed by SPSS. As a result, total phenol content of the king oyster mushroom and the winter mushroom were $19.66{\pm}0.10mg/g$ and $22.08{\pm}1.10mg/g$, respectively. Also, the total flavonoid content was $15.21{\pm}1.31mg/g$ for the king oyster mushroom and $20.50{\pm}4.52mg/g$ for winter mushroom. The results in winter mushroom showed higher values in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 than in the king oyster mushroom. All samples of extracts showed free radical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scavenging activity with their 10 mg/mL concentr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xtract of the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and the winter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may be possible phytonutrients with the anti-inflammatory and the anti-cancer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