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협동적인 문제 해결 과정에서 학생들의 사전 성취 수준에 따른 언어적 행동 비교

        전경문,여경희,노태희,Jeon, Kyung Moon,Yeo, Kyeong Hee,Noh, Tae Hee 대한화학회 2000 대한화학회지 Vol.44 No.4

        Students' protocols obtained from audio/video taping of small cooperative group problem solving processes were analyzed in the aspectsof verbal behaviors. The frequencies of the behaviors were com-pared by students' previous achievement level. Students' involvement in the verbal interaction for each level of students in each small group were also investigated. High-ability students ebility students and medium-or low-ability students.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ubcategories of 'receiving information' or 'asking'. 0nly 3 small groups among 12 groups studied were found tobe bal-anced in students' involvelment. lnvolvement of medium-ability studentstended to be lower than that of high-and low-abilit students. 협동적인 소집단 문제 해결 과정을 녹화/녹음하여 작성한 프로토콜에 대하여 언어적 행동의 빈도를 분석하고, 학생들의 사전 성취 수준에 따라 비교하였다. 각각의 소집단에서 학생들의 사전 성취 수준에 따라 언어적 상호작용에 대한 참여율도 조사하였다. 상위 수준 학생들은 중${\cdot}$하위 수준에 비해 '정보 주기' 범주에 속하는 행동들을 많이 나타내었고, '제공', '제공 반복', '정당화'에서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정보 받기'나 '질문하기' 범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행동이 없었다. 12개 소집단 가운데 모든 수준의 학생들이 언어적 상호작용에 균형 있게 참여한 경우는 3개조에 불과했고, 중위 수준 학생들의 참여율이저조한 경우가 많았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광주,전남 지역 야외 현장학습지 활용 실태 조사 - 지층과 화석과 관련해서 -

        송판섭 ( Pan Seob Song ),김정길 ( Jeong Gil Kim ),김석중 ( Seok Jung Kim ),한광래 ( Kwang Lae Han ),최도성 ( Do Sung Choi ),전경문 ( Kyeong Moon Jeon ),김해경 ( Hai Gyoung Kim ),박준 ( Jun Park ),류재인 ( Jae In Ryu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05 초등과학교육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actual condition about field learning materials in Gwangju and Jeonnam area.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examine teachers` perceptions and actual condition of a field learning related science subject at 145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city and Jeonnam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ate of school in performing field learning related to `strata and fossils` in science class was 6.8%. Second, the place of dianosaur track fossils in Jeonnam province, which was suitable for field learning `strata and fossils`, were well known by 75% of teachers. Also 68% of teachers have not visited those places. On the basis of this result, the followings are proposed. First, field learning materials and place should be developed in each school district. Second, field learning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in various level. Third, some programs to study how to teach in the field learning and experience the various field places should be suggested to preservice teachers as well as inservice teachers.

      • KCI등재

        협동학습 과정에서의 언어적 행동과 화학 문제 해결력 사이의 관계

        노태희,전경문,여경희 한국과학교육학회 200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협동학습에서의 언어적 행동과 화학 문제 해결력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 화학 성취도의 측면에서 이질적인 3인 1조의 소집단을 구성한 후, 협동학습 환경에서 4단계 문제 해결 전략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소집단 문제 해결 과정에 대해 녹화 및 녹음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화학 문제 해결력은 문제 해결 전략 수행 능력 검사로 측정하였다. 언어적 행동은 크게 정보 주기, 정보 받기, 질문하기, 부정하기로 유형화하였고, 총 16개 하위 범주로 세분하였다. 학생들이 가장 많이 나타내는 언어적 행동은 정보 제공하기의 하위 범주인 제공이었다. 언어적 행동과 문제 해결력 사이의 부분 상관을 조사한 결과, 7개 범주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제공 범주가 문제 해결력과 가장 밀접하게 관련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선행 연구에서 보고되지 않은 교정, 정당화, 제공 명료화, 명료화 등에서의 상관도 유의미하였다. 하위 수준 학생들은 정보를 주거나 받는 언어적 행동과 문제 해결력 사이의 관련성이 높았으나, 상위나 중위 수준의 경우 언어적 행동이 문제 해결력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경향이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verbal behaviors and chemistry problem solving ability in cooperative learning. Based on the previous chemistry achievement, 11th-graders were assigned heterogeneously into three-membered groups. Small cooperative group problem solving processes in using 4 stage-problem solving strategy were audio/video taped. Students' chemistry problem solving ability was then measured by a problem solving strategy performance test. Their verbal behaviors were classified into giving information, receiving information, asking questions, and disagreeing. These were further coded into 16 subcategories. Providing, a subcategory of giving information, was the most frequent behavior. In studying partial correlation between verbal behavior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7 categorie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s. Providing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problem solving ability as reported previously. Moreover, this study also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he categories of clarifying provided, correcting, justifying, and clarifying. In the case of low-ability students, the verbal behaviors of giving or receiving information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problem solving ability. However, these verbal behaviors did not enhance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high- and medium-ability students.

      • KCI등재

        문제 해결 전략에서 협동학습의 효과

        노태희,전경문,여경희 한국과학교육학회 1999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에서는 분자 수준의 그림을 강조하고 4단계 문제 해결 전략을 제시하는 수업에서 협동학습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고등학교 세 학급(130명)을 선정하여 개별적으로 전략을 사용하는 집단(St : Strategy), 협동학습 환경에서 전략을 사용하는 집단 (St-Co: Strategy-Cooperative learning), 그리고 통제 집단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수업 처치 후 학생들의 객관식 문제 해결력, 전략 수행 능력, 수업 참여도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였고, 학생들이 선호하는 수업 유형도 조사하였다. 객관식 문제 해결력에서는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전략 수행 능력에서는 수업 처치와 사전 성취 수준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단순 효과를 분석한 결과, St 집단의 중위 수준 학생들이 St-Co 집단보다 전략을 더 잘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업 참여도에 대한 인식 검사에서는 St 집단의 점수가 통제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낮았고,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수업도 St-Co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in a heuristic approach (four stage-problem solving strategy) that also emphasized molecular level representation was studied. Three high school classes (N=130) were randomly assigned to St group (using strategy individually), St-Co group (using strategy in cooperative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instruction, students' multiple-choice problem solving ability, strategy performing ability, and the perception of involvement were compared. Students' preferred instruction type was also examined. Although multiple-choice problem solving ability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treatment and the previous achievement level was found in strategy performing ability. Analysis of simple effects indicated that the medium-level students in the St group performed better than those in the St-Co group. In the perception questionnaire of involvement, however, the scores of the St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instruction type that students most preferred was also St-Co.

      • KCI등재

        문제 해결 전략에서 시각적 조직화와 협동학습의 효과

        김창민,노태희,전경문,여경희,안충희 한국과학교육학회 200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문제 해결 전략에서 시각적 조직화와 협동학습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고등학교에서 세 학급(N=127)을 선정하여 시각적 조직화를 이용한 문제 해결 전략을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집단(SV), 협동학습 환경에서 사용하는 집단(SVC), 그리고 통제 집단으로 배치하였다. 수업 처치 후 객관식 문제 해결력, 전략 수행 능력, 화학 학습에 대한 불안, 수업 참여도, 학습 동기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객관식 문제 해결력에서는 집단간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전략 수행 능력에서는 수업 처치의 주효과가 나타났다. SV 집단과 SVC 집단의 점수가 통제 집단보다 높았으며, 특히 하위 영역 중 문제 이해와 관련 법칙 회상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수업 참여도와 학습 동기 검사에서도 SV 집단과 SVC 집단의 점수가 통제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그러나 시각적 조직화를 이용한 문제 해결 전략이 학생들의 화학 학습에 대한 불안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키지는 못했다.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visual organization and cooperative learning in problem-solving strategy were investigated. Three classes (N=127) at a high school were assigned to SV (Strategy-Visual organization) group, SVC (Strategy-Visual organization-Cooperative learning)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instructions, students' multiple-choice problem-solving ability, strategy performing ability, anxiety about chemistry learning, perception of involvement, and motivation to learning science were examined. Although multiple-choice problem-solving ability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in strategy performing ability. The scores of the SV and SVC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in the subcategories of problem understanding and recalling related principles. In the tests of perception of involvement and motivation to learning science, the scores of the SV and SVC groups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problem-solving strategy using visual organization could not alleviate anxiety about chemistry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