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 성향, 성 정체감 및 외상 후 성장 개념 간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장현진(Hyunjin Jang),연규진(Kyujin Y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는 개인의 문화 성향과 성 정체감이 개인의 외상 후 성장 개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개인주의⋅집단주의, 여성성⋅남성성과 외상 후 성장 개념간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방법 외상 경험이 있는 만 18세 이상의 성인 총 484명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외상 후 성장 척도(PTGI)의 각 문항이 ‘본인이 생각하는 성장의 개념’을 잘 표현하고 있는지 평가하도록 하고, 이를 다음의 두 단계로 분석하였다. 먼저, 한국 문화권에서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지각되는 외상 후 성장 개념 하위 요인 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성별의 효과를 통제한 후, 문화 성향으로 개인주의⋅집단주의가 그리고 성 정체감으로는 여성성⋅남성성이 외상 후 성장 개념을 예측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외상 후 성장 개념 하위 요인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참가자들은 개인 개념, 가능성 개념과 감사 개념, 대인 개념, 영적 개념 순으로 중요하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주의⋅집단주의, 여성성⋅남성성이 외상 후 성장 개념의 하위요인을 예측하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 한국 문화권에서는 상대적으로 개인 강점의 발견이 가장 중요한 성장 개념으로 인식되었다. 또한 개인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 요인(문화 성향, 성 정체감)에 따라 각자 중요하게 생각하는 외상 후 성장 개념이 달라질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perceptions of posttraumatic growth varied by cultural dispositions and sex-role identities. Methods A total of 484 adults over 18 years of age who have reported diverse traumatic experiences participated in the study. Participants completed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PTGI) and rated how much each of the items in the PTGI represents their concepts of personal growth. First, ANOVA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cepts of posttraumatic growth. Next,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cultural dispositions and sex-role identities predict the concepts of posttraumatic growth after controlling for gender effects.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dition, cultural dispositions and sex-role identities predicted the five domains of the modified PTGI in different directions. Conclusions In Korean culture, ‘personal strength’ wa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concept of posttraumatic growth. Also, the concept of posttraumatic growth that they consider important may vary by individual cultural factor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에 대한 직업적 특성 요인의 영향과 직업군별 차이 분석

        장현진(JANG, Hyunjin)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0 핵심역량교육연구 Vol.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직업적 특성 요인의 영향을 분석하고 이의 직업군별 차이를 비교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2017~2019년 동안 우리나라 전체 세분류 직업별로 직업의 다양한 속성을 조사한 직업지표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도에 대하여 직업의식, 직무특성, 핵심역량 변수들의 영향력을 분석하는 다중회귀모형의 설명력은 69.8%로 유의미한 모형이었다. 둘째, 직업인들이 직업평판을 높게 인식할수록, 소명의식이 높을수록, 직무 환경의 쾌적성이 높을수록, 고용안정성이 높을수록, 직무유연성이 높을수록, 직업전문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자료분석능력, 비판적사고력, 창의성, 공감능력, 대인관계능력과 같은 직업의 핵심역량 요인들은 근로자의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직업군별로 근로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업특성 요인들과 그 영향력이 서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그 의미와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근로자의 직무만족도 제고의 관점, 핵심역량 교육의 관점, 그리고 후속 연구의 관점에서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factors on job satisfaction of wage workers in Korea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y occupation groups. To this end, the researcher analyzed data of the Occupational Index Survey(KRIVET, 2017~2019), which surveyed various attributes of occupational factors for each sub-classed occupation in Korea form 2017 to 2019.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which analyzes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core competency variables on the job satisfaction of wage workers, was significant at 69.8%. Second, the higher the recognition of the occupational reputation, the higher the sense of vocation, the higher the comfort of job environment, the higher the employment stability, the higher the job flexibility, the higher the job professionalism,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ird, the core competency a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data analysis ability, critical thinking ability, creativity, empathy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nfluenced workers job satisfaction. Fourth, the factors of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job satisfaction of workers and their influence to job satisfaction were different for each occupation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were made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workers job satisfaction, the viewpoint of developing core competencies, and the viewpoint of follow-up research.

      • KCI등재

        영국(잉글랜드)의 진로개발역량 정책 틀 분석 - CDI의 2021 개정 진로개발 틀을 중심으로

        장현진(Jang, Hyunjin)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1 핵심역량교육연구 Vol.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영국(잉글랜드)의 진로개발원(CDI)에서 2021년 개정 발표한 진로개발 틀을 중심으로 영국 학생의 진로개발역량 함양을 위한 정책 틀(blueprint framework)을 심층적 및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Hooley 등(2013)의 분석 틀을 수정 적용하여 문헌분석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국의 2021년 개정 진로개발 틀의 진로개발 영역(역량)은 선행 국가 및 영국의 기존 진로개발 영역(역량)에서 벗어나 평생진로개발 관점에서 대폭 개정하여 6개 영역(역량)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이 틀은 개인의 진로개발역량 함양의 방식에 따라 나선형 학습모형을 도입하고, 영국의 교육단계에 따라 유아기부터 Post-16까지의 6단계로 설정되었다. 셋째, 이 틀의 실행을 위해 진로개발원에서 자원(자료)을 개발·제공하고, 학교 진로교육 실천가의 실행 공동체 네트워크를 공고히 하고 있다. 넷째, 영국은 교육법의 진로교육 조항과 교육부의 중장기 진로교육 전략 및 학교 진로교육 필수기준(Gatsby Benchmark)을 마련하여 지역교육청 및 학교 단위의 진로교육 책무성을 높이고 있다. 한편, 영국은 민간 진로개발 실천가 협회를 중심으로 진로개발(역량) 정책 틀을 개발 및 운영하기 때문에 학교 교육과정 및 교과를 통한 진로교육 실행이 어려운 한계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영국이 진로개발(역량) 정책 틀은 미국이나 캐나다에 비해 후발주자지만 영국의 환경여건에 특화된 진로개발 정책 및 틀을 개발・실행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것은 매우 고무적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술적으로 논의하고 한국의 진로교육을 중심으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depth and critically the career development framework (blueprint framework) for career development skills in the UK, focusing on the career development framework revised in 2021 by the Career Development Institute (CDI) of England. For this,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analysis framework of Hooley et al. (2013).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development areas (competencies) of the UK s 2021 revised career development framework was significantly revised and composed of 6 areas (competencies)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career development,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career development areas of previous countries and the UK. Second, this framework introduces a spiral learning model to foster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sets six phases from early child to Post-16 according to the education stage of the UK. Thir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is framework, the CDI develops and provides the necessary resources, and solidifies the community network of career development practitioners. Fourth, the career education provisions of the Education Act and the recent mid-to-long-term career strategies at the level of the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the Gatsby Benchmark have been prepared to increase the career education accountability of education offices and schools. On the other hand, since the UK is operated mainly by the private career practitioners association,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career education through the school curriculum.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cademic discussions were conducted, and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in Korea and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영유아 관련 스마트기기 이용에 대한 연구동향

        장현진(Jang, Hyunjin),남옥선(Nam, Okseon)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1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6 No.2

        본 연구는 영유아 관련 스마트기기 이용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향후 연구 방향 제시와 기초자료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대상은 2011년에서 2020년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187편의 영유아 관련 스마트기기 논문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게재 현황은 2011년에 관련 논문이 처음 게재된 이후 2016년에 가장 많은 논문 편수가 수록되었으며, 2020년 현재까지 매해 연구가 실시되었다. 둘째, 연구 대상으로는 영유아와 부모를 함께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영유아, 교사, 부모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방법으로는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질적 연구, 문헌 연구, 혼합 연구 순이었다. 넷째, 연구주제로는 스마트기기와 영유아교육/발달, 영유아 스마트기기 과몰입 및 중독, 스마트기기 이용현황 및 실태, 학부모 스마트기기 과몰입 및 중독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분석하면 스마트기기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연구가 125편, 긍정적 영향에 대한 연구가 44편, 보통이 18편이었다. 지금까지의 연구가 스마트기기의 부정적 영향에 집중되고 있어, 향후에는 영유아의 바람직한 스마트기기 이용과 스마트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사교육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and to prepare basic data through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the use of smart devices related to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7 research papers on smart devices for young children published in the journals from 2011 to 20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publication status by year, since the first related papers were published in 2011, the largest number of papers was recorded in 2016, an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every year until 2020. Second, as the research subjects, the most studied subjects were young children and parents, followed by young children, teachers, and parents. Third, as a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were followed in that order. Fourth, research topics were in the order of smart device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development, over-immersion and addiction to smart devices in young children, current status and actual use of smart devices, and over-immersion and addiction to smart devices in parents. Finally, analysis of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125 studies on the negative impact of smart devices, 44 studies on the positive impact, and 18 studies on neutrality. Since the research so far has been focused on the negative effects of smart devices, it is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nd teacher education research for the desirable use of smart devices for young children and smart education will be activated in the future.

      • KCI등재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표준교육과정 개정 방안 연구

        장현진(Hyunjin Jang),이종범(Jongbum Lee) 한국진로교육학회 2016 진로교육연구 Vol.29 No.3

        이 연구는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표준교육과정 개정(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교육과정 관련 문헌 고찰, 심층그룹인터뷰(FGI), 국외사례 분석,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재구성된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표준교육과정의 교과목은 교과교육 과목 4개, 교과내용 과목 14개, 교육실습 과목 1개로 구성하였다. 이는 진로진학상담교사로서 학교 진로교육 총괄․기획자, 교수자, 운영․연계자, 상담․지도자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역량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과목들이다. 이 연구에서 도출한 표준교육과정 개정(안)을 토대로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표준교육과정을 부전공 자격 연수과정으로 편성할 경우 총 38학점 이상, 교육대학원 석사학위과정으로 편성할 경우 총 30학점 이상으로 하는 교육과정 편성 사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표준교육과정은 정부의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계획과 법령의 진로진학상담 표시과목에 반영하여 양성기관에서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활용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revised standard pre-service training curriculum for the career education & guidance teach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reviewed the existing standard pre-service training curriculum for the career education & guidance teachers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present and the future, and collected opinions on necessary improvements of the pre-service training curriculum for career education teachers with full justification. The revised standard pre-service training curriculum for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teachers consists of subjects in four categories; ‘basic subject’, ‘education subject’, ‘elective subject’ and ‘field practice.’ Basic subjects and education subjects are compulsory subjects, while training institutes may choose elective subjects at their own discretion. Compulsory subjects are designed to develop basic abilities required of career education & guidance teachers, and elective subjects are in-depth subjects related to compulsory subjects. It is necessary that ‘basic subjects’ required for career guidance training should be prescribed as compulsory subjects. Career education field practice is not compulsory but training institutes are recommended to include field practice in the curriculum in order to provide field-oriented training.

      • KCI등재

        기본 능력으로서의 수리력 평가 문항 개발 연구

        김경희(Kim, Kyunghee),조성민(Cho, Seongmin),장현진(Jang, Hyunjin)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0 교과교육학연구 Vol.24 No.5

        4차 산업혁명, 기능정보화 사회 등으로 설명되는 사회적 변화로 인해 역량 교육이 학교교육의 중요한 화두로 자리매김하면서, 역량을 뒷받침하는 기본 능력에 대한 논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기본 능력은 역량의 자원과 같은 의미를 가지면서 동시에 전통적인 3R’s를 넘어선 역량 교육의 출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오랫동안 학교교육에서 학습을 위한 기본 능력 중 한 가지로 인식되어 온 수리력(numeracy)에 대하여 기본 능력의 관점에서 개념을 재정립하고, 학교수학에서 관련된 성취기준을 선정한 후 예시 문항을 개발하여 111명을 대상으로 현장 적합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2015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의 대부분이 수리력 평가에 적절히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현장 적합성 검토 시행 후 학생들의 오류 반응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항의 수정 방안을 탐색하고, 수리력 관련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In the wake of social changes driven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functional information society, as competency education has become the key word, basic competence that support competencies is emerging as an important topic in school education. Basic competence means the grounds to nurture competences and the starting point of competency education to advance beyond the traditional 3R’s. This study was to redefine the concept of numeracy,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basic competences in school education for a long time. Sample items were developed after establishing the relevant achievement standards in school mathematics, and a field study was conducted on 111 student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re applicable for numeracy evaluation. Meanwhil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n errors from the sample items, methods to correct the items was explored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a follow-up studies related to numeracy.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 연구 동향 분석

        정다은(DaEun Jeong),권소희(SoHee Kwon),이승미(SeungMi Lee),양보은(BoEun Yang),장현진(HyunJin Jang),정진경(JinKyung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방향성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 관련 학술지 및 학위논문 총 59편이다.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연구 동향을 발표연도, 연구 방법, 연구 분야, 연구 주제, 주제어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연구는 2010년부터 2011년 사이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 방법별 동향은 문헌 연구로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질적 연구, 혼합 연구, 양적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분야별 동향은 문학과 관련된 내용이 가장 많았고, 이어서 일반, 미술, 무용, 음악, 연극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주제별 동향은 대영역 중 방향과 관련된 주제에서 교육방안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주제어로 알아본 동향은 워드 클라우드의 주제어 크기로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 한국문화교육, 한국어 교육, 다문화사회, 문학교육, 문화적응 순으로 나타났고, 정체성 복원, 융합적 문화 정체성, 자아정체성, 서사적 정체성 등 결혼이주여성의 정체성과 관련된 주제어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다문화 시대에 도래한 한국 사회에 결혼이주여성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시사점 및 향후 관련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marriage migrant women. Through this study, it intends to provide insights and directions for future culture and arts education targeting marriage migrant women. Methods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s of a total of 59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related to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marriage migrant women. The research trends in cultural arts education targeting marriage migrant women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based on publication year, 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field, research topics, and keywords. Results First, the research related to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marriage migrant women was most prevalent between 2010 and 2011. Second,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literature review was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followed by qualitative research, mixed-methods research, and quantitative research. Third, the re-search fields were predominantly related to literature, followed by general arts, visual arts, dance, music, and theater. Fourth, regarding research topics, the majority focused on educational approaches in the context of broader themes. Lastly, the analysis of keywords through word cloud visualization revealed that topics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culture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multicultural society, literary educa-tion, and cultural adaptation were prominent. Additionally, themes associated with the identity of marriage mi-grant women, such as identity restoration, hybrid cultural identity, self-identity, and narrative identity, were also identified. Conclusions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in research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targeting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n society, where marriage migrant women hold a significant presence in the multicultural era. The significance lies in providing insights and future directions for related research in the context of marriage migrant women's culture and arts education within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