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얀마 아세안 관계 발전 : 아세안의 정책변동과 미얀마 군사정부의 대응

        장준영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06 東亞 硏究 Vol.- No.52

        이 연구에서는 현실주의와 구성주의적 시각에 따라 미얀마-아세안의 관계를 지역적·국제적 환경 변화에 따라 고찰하고, 양자 관계를 전망하였다. 첫 번째 시기에 해당하는 아세안 창설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는 아세안의 전통적 외교 노선이자 문제 해결 방식인 '아세안방식'(ASEAN Way) 또는 상호불간섭정책이 고수되었다. 두 번째 시기는 '아세안방식'과 '건설적 개입'(constructive engagement)이 공존하는 1997년부터 2004년까지로 미얀마의 아세안 가입부터 아세안 내 미얀마의 정치개혁 요구가 태동하기 시작한 이른바 현실주의와 구성주의의 공존 기간이다. 2004년부터 현재에 이르는 세 번째 시기는 적어도 미얀마와의 관계에 있어서 구성주의가 아세안 외교노선의 결정적 요소로 보인다. 아세안의 미얀마에 대한 외교 노선이 구성주의로 전환한 것 같지만 서구의 미얀마에 대한 압박 또는 외교 방식과 비교하였을 때 입장의 차이를 두고 있다. 따라서 구성주의가 동남아에 이식되는 이 순간에도 아세안과 미얀마의 관계는 세계적 보편성보다는 상호불간섭원칙을 토대로 민주적 가치와 보편적 인권을 배양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s to prospect a bilateral relation between Myanmar and ASEAN focusing on regional and international change based on realism and constructivism. The traditional policy of ASEAN, ASEAN Way, is abided by in the first term which is from foundation of ASEAN to mid-1990's. In the second term, from Myanmar's join into ASEAN in 1997 to 2004, realism and constructivism is coexisted. From 2004 to present, correspond to the third term, constructivism is a crucial point to resolve a bilateral relation. ASEAN's policy toward Myanmar seems to be totally changed, however, there is different perspective of ASEAN compared to policy of western countries. Therefore, the bilateral relation between Myanmar and ASEAN will be pursuit a speciality like localize a democratic norm and universal human rights based on ASEAN Way, while constructive norm is diffused by local people at the moment.

      • KCI등재후보

        Highly-Sensitive Gate/Body-Tied MOSFET-Type Photodetector Using Multi-Finger Structure

        장준영,최평,김현준,신장규 한국센서학회 2022 센서학회지 Vol.31 No.3

        In this paper, we present a highly-sensitive gate/body-tied (GBT) 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 (MOSFET)-typephotodetector using multi-finger structure whose photocurrent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fingers. The drain current that flows through a MOSFET using multi-finger structure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fingers. This study intends to confirm that the photocurrent of a GBT MOSFET-type photodetector that uses the proposed multi-finger structure is larger than the photocurrent per unit area of the existing GBT MOSFET-type photodetectors. Analysis and measurement of a GBT MOSFET-type photodetector that utilizes a multi-finger structure confirmed that photocurrent increases in ratio to the number of finger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otocurrent in relation to the optical power were measured. In order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incident the wavelength of light, the photocurrent was recorded as the incident the wavelength of light varied over a range of 405 to 980 nm. A highly-sensitive GBT MOS-FET-type photodetector with multi-finger structure was designed and fabricated by using the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TSMC)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CMOS) 0.18 um 1-poly 6-metal process and its characteristics have been measured.

      • 건설현장 작업발판 및 가설통로의 안전기준 현황 및 개선점

        장준영,안홍섭,오인환,김태완,Jang, Jun Young,Ahn, Hongseob,Oh, Inhwan,Kim, Tae Wan 한국건설안전학회 2019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Vol.2 No.1

        건설산업의 사고사망자수는 매년 평균 500여명에 이르고 있으며, 특히 사고사망재해의 유형 중 작업발판 등의 가시설물에 기인한 떨어짐 재해가 60%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고의 직접적인 영향요인 뿐만 아니라 조직적, 정책적, 외부 환경적 요인들을 통합하여 실질적으로 해결 할 수 있는 기술, 관리, 교육, 비용에 걸친 구조적이고 결합된 솔루션을 제시하였다. 또한 국내, 외 안전발판 기준을 조사하여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첫째, 직접 영향요인, 조직적 영향요인, 정책 영향요인, 그리고 외부환경 영향요인 등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으며, 이는 기술, 교육, 제도 차원으로 분류하여 해결책을 고안하였다. 둘째, 작업발판 설치와 관련하여 미국(OSHA 1926.452), 영국(The Work at Height Regulations 2005 No.735, BS5975), 일본(노동안전위생규칙), 독일(DIN 4420_4, DIN EN12810) 기준에 대해 조사하였다. 국내 안전 기준의 경우 재료 및 규격 등 안전조치사항에 있어서는 국외 안전 기준과 유사한 내용이 적용하고 있으나 작업발판의 설치 및 조립, 구조와 관련된 세부내용에서는 일본을 제외한 미국, 영국 등과 비교하여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작업발판 사고사망의 원인을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또한 안전관리자 및 연구자들이 추락사고 연구 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average number of death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reaches 500 per year, and in particular, it is confirmed that the type of accidents and deaths caused by disasters such as work platforms has occupied more than 60% of the total. In this study, we presented a structured and combined solution for technology, management, education, and cost that can solve systematically, politically,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s well as direct influence factor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safety and safety standard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afety, and discussed implications. First, direct impact factors, organizational impact factors, policy influence factors, and external environmental impact factors were examined and classified into technical, education, and institutional dimensions. Second, in relation to the installation of the work scaffold, the standards (OSHA 1926.452), UK (The Work at Height Regulations 2005 No.735, BS5975), Japan (Labor Safety and Sanitation Regulations) and Germany (DIN 4420_4, DIN EN12810). In the case of domestic safety standards, similar to the foreign safety standards, safety measures such as materials and specifications are applied. However, details related to the installation, assembly and structure of the work platform are somewhat different from those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excluding Japan.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ause of the accident of foot pedestrian accident more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and safety managers and researchers are expected to help in the accident investig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