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 돌봄의 위계는 왜 지속되는가? ─ 초등돌봄교실을 둘러싼 갈등을 통해 본 돌봄 노동의 가치 절하 기제

        장인하(Chang, Inha) 한국여성연구소 2024 페미니즘 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초등돌봄교실을 둘러싼 갈등과 관련하여 학교 내에서 돌봄 노동의 가치가 절하되고 교육과 돌봄의 위계가 지속되는 메커니즘을 조직, 제도 그리고 행위자들의 구체적인 실천의 수준에서 분석한다. 돌봄전담사들은 노동자성을 인정받아 조직적·제도적 자원을 획득하고자 하였고, 그 결과 전문성을 기준으로 노동을 위계화하는 조직적·제도적 배열 속으로 편입되면서 돌봄 노동의 전문성을 인정받지 못했다. 또한 학교 안에서 돌봄 노동의 전문성은 각 행위자들의 구체적인 실천의 과정 속에서 구성되는데, 교사들은 자신들의 전문직 정체성을 구축해 가는 과정에서 ‘돌봄은 교육이 아니다’라는 구호를 내세우며 전문-비(非)전문의 경계를 명확히 하고자 하였으나, 돌봄전담사들은 교육과 돌봄의 관계, 돌봄 노동의 전문성과 관련하여 모순적인 입장을 보였다. 결국 돌봄교실을 둘러싼 갈등은 돌봄전담사들의 처우를 개선하되 돌봄전담사가 돌봄교실 업무를 전담하는 방향으로 정리가 되었다. 이는 조직적·제도적 차원에서 돌봄 노동의 전문성은 인정되지 않고 오히려 교사들이 내세운 상징적 위계가 수용됨으로써 학교 내에서의 교육과 돌봄의 위계가 공고화된 것을 의미한다. 즉, 학교에서 교육과 돌봄의 위계는 돌봄 노동의 전문성을 체계적으로 저평가하는 조직적·제도적 배열 및 돌봄 노동의 전문성을 둘러싼 행위자들의 각축 과정에서 지속된다. The conflicts between teachers and after-school care workers in elementary school blasted out of the school when the government tried to make a law about the after-school care programs in 2020. The teachers, they said, who had suffered from the burdens of after-school care programs although they did not have any responsibility about them, insisted that the care programs should be transferred to the local governments, that is, outside of the school. During the conflicts, the main slogan of the teachers was “care is not education.” This article focuses on the level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organizational, institutional arrangements and practices of the actors, through which the mechanism of the devaluation of care work has operated. The main framework of this article is the relational inequality theory of Tomaskovic-Devey, which is based on the notion “inequality regimes” by Acker. Before the conflicts, the care workers had the strategy that prioritized the obtaining a ‘unlimited-period contract worker’ status. Although the care workers achieved the stability of work by their struggles, at the same time, it means that they should be located in the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systemically deny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 care work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division of the work. On the other hand, the professionalism of the care work was also being socially constructed by the practices of the actors. By deprofessionalizing the care work, teachers tried to draw a clear line of demarcation between education and care in order to establish the profession identity of themselves. However, the care workers showed contradictory perceptions about the professionalism of the care work and the distinguishing education and care. In short, this article tries to show that the mechanism of the devaluation of care work, that is, the mechanism of the maintenance of hierarchy between education and care in school is operat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professionalism of care work, which is constructed by the practices of the actor who are embedded in the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 KCI등재

        교차성을 활용한 상호문화교육 연구-드라마 <SKY 캐슬>을 중심으로-

        JIN MEISHAN,장인하,WANG WENHUI,정은선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23 한국어 교육 Vol.34 No.1

        Korean dramas (i.e., K-dramas) reveal cultural complexities, thus making themselves useful educational material. Taking the K-drama “SKY Castle” as an example, this study applies an intersectional lens to analyze educational issues within the Korean context and diverse cas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By applying intersectionality, it explores the possibilities of cultur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ism to help international students better understand other cultures.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educational content. Then, based on these suggested contents, we collect the responses of actual learners to research and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educational application through case studies. Our findings show that the introduction of intersectionality into intercultural education allows learners to view and understand other cultures and individuals from various perspectives as well as recognize the structure of the society surrounding such individuals to create a three-dimensional space and opportunity for critical communication.

      • KCI우수등재

        “성차별은 없습니다만...”: IT 조직의 젠더 편향은 어떻게 지속되는가?

        권현지,황세원,노가빈,고민지,장인하 한국여성학회 2024 한국여성학 Vol.40 No.1

        이 연구는 남성 비중이 지배적인 IT 서비스업 소프트웨어 개발 직종의 작업조직 및 노동규범의 특성을 젠더적 관점에서 들여다보고, 조직 내 젠더 편향이 유지되는 메커니즘을 고찰했다. IT 대기업과 빅테크에 재직 중인 20~40대 프로그램 개발자 18명으로부 터 수집한 반구조화 인터뷰 자료를 MAXQDA를 활용해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IT 직종에 팽배한 능력주의 규범을 통해 조직 내 젠더 편향을 정당화하는 인식과 실천이 존재한다. 이는 비능력주의적 관행과 교차하며 강화되고, 여성 역시 조직 내 능력주의 작동 논리를 내면화하고 이를 전시함으로써 직종 내 정체성에 자신을 동조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기술 융합과 같은 산업 전환 상황에서 한층 중요해진 ‘소프트 스킬’을 기존의 여성적 역량으로부터 탈젠더적 역량으로 재해석함으로써 젠더 질서를 유지하려는 의식적ᆞ무의식적 실천도 나타났다. 이 연구는 조직 내 강한 젠더 편향성이 기존 규범과 조직 관행의 재생산 및 재구성을 통해 유지되는 기제를 최근 산업 및 노동시장 변화 추세를 주도하는 IT 부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gendered aspects of work organization and labor practices in software development positions that are predominantly occupied by men in the IT services sector. It also explores the mechanisms by which gender bias is maintained in the industry. Key findings from the analysis of semi-structured interview data, acquired from 18 software programmers in their 20s and 40s working at IT conglomerates and Big Tech, using MAXQDA, reveal the phenomenon of ‘degendering,’ the practice of exploiting pervasive meritocratic norms to justify gender bias. Non-meritocratic practices intersect and reinforce this phenomenon, leading women to internalize and exhibit these norms as part of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Moreover, there is a deliberate and subconscious effort to uphold gendered structures by redefining ‘soft skills,’ increasingly vital in the era of technological convergence, as degendered competencies rather than traditionally feminine attribut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nvestigates how strong gender bias is maintained in organizations by reproducing and reconfiguring existing norms and practices in the IT sector, which has been at the forefront of recent changes in the labor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