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경유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 전 통상적인 이비인후과 의뢰의 임상적 효용성

        장영준,김호창,서억수,Young Jun Jang,Ho Chang Kim,Eok Soo Suh 대한안과학회 2012 대한안과학회지 Vol.53 No.10

        Purpose: To determine if routine otorhinolaryngologic referral prior to endonasal dacryocystorhinostomy (EN-DCR) is necessary. Methods: Two hundred thirty-seven eyes of 178 patients who were supposed to undergo EN-DCR were prospectively analyzed. Nasal endoscopy was performed by an ophthalmologist and the patients who had severe abnormality were referred to an otorhinolaryngologist.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after a preoperative examination by an ophthalmologist and an otorhinolaryngologist; the number and success rate of each group were then investigated. Group A consisted of patients who had no nasal cavity abnormality, Group B consisted of patients with a nasal cavity abnormality but who received no treatment, and Group C consisted of patients who had a nasal cavity abnormality and received otorhinolaryngologic treatment. Results: The number of subjects in each group was 156 in Group A (87.7%), 12 in Group B (6.7%), and 10 in Group C (5.6%). The number of patients who were referred to the otorhinolaryngologist was 22 (12.3%).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of success rate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s: Routine nasal endoscopic examination should be performed by an ophthalmologist prior to EN-DCR. Only patients with severe abnormal findings should be referred to an otorhinolaryngologist as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show the percentage of patients having significant nasal abnormalities was found to be low (12%) and the success rate of EN-DCR reveal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groups. This could help patients by saving time and expense.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10):1392-1396

      • SCOPUSKCI등재

        비열플라즈마와 라디칼을 이용한 디젤엔진의 매연 및 NO 제거 특성

        장영준,최승환,김규보,전충환,Jang, Yeong-Jun,Choe, Seung-Hwan,Kim, Gyu-Bo,Jeon, Chung-Hwan 대한기계학회 2002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6 No.4

        We are facing the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difficulties such as acid rain, green house effects, etc. The gaseous matter NOx, SOx, VOCs which are regarded as main factors for these current pollutions are mainly emitted from power plants and vehicles. Therefore several leading countries are regulating the emissions strictly, especially the exhaust emissions from a Diesel engine without an aftertreatment devi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soot and NO removal characteristics focused on the emissions of a Diesel engine by using nonthermal plasma for each engine speeds and loads. Electrostatic precipitator(wire-to-plate type reactor) is used for soot removal. Radicals generated from outer air and put into a mixing chamber in the end of exhaust line are used for NO removal. Concentration of exhaust emissions is analyzed from the gas analyzer(KaneMay) and FTIR to estimate by-products.

      • KCI등재

        한국어의 두 가지 의문문과 존재양화 해석

        장영준(Young Jun Jang) 한국어학회 2000 한국어학 Vol.11 No.-

        의문은 문장 유형의 하나로서 통사적 개념인데 비해, 의미의 범주인 질문은 청자로부터 대답을 구하는 특성을 가진다. 필자는 화자가 청자가 아닌 자신으로부터 답을 구하는 특별한 유형의 의문문을 "재귀 의문문"이라 칭하고, 이의 존재를 먼저 논증한 후에,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의 존재양화사가 간접 의문문일 뿐 아니라, wh-의문사가 재귀 의문 어미에 의해 결속된 재귀 의문문임을 주장한다. 이에 반해 일반적 의미의 의문문, 즉 청자 의문문은 wh-의문사가 청자 의문 어미에 의해 결속된 구문임을 논증한다. 이를 위해 재귀 의문문이 `-가/-나`와 같은 특별한 어미들에 의해 표시됨을 논증한다. 또한 이들 재귀 의문 어미들의 기능은 오로지 질문이 청자가 아니라 화자 자신에게 발화되었음을 표시하는 것임을 보인다.

      • 코경유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 전 통상적인 이비인후과 의뢰의 임상적 효용성

        장영준 ( Young Jun Jang ),김호창 ( Ho Chang Kim ),서억수 ( Eok Soo Suh ) 한국안전학회(구 한국산업안전학회) 2003 International Journal of Safety Vol.2 No.1

        목적: EN-DCR (endonasal dacryocystorhinostomy) 환자의 통상적인 술 전 이비인후과 의뢰가 가지는 효용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EN-DCR 환자 178명 237안을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하였다. 안과의사가 코 내시경으로 코 안 이상유무를 먼저 확인하고 심한 이상이 발견된 환자는 이비인후과에 의뢰하였다. 코 내시경 검사상 이상이 없는 환자를 A군, 코 안 이상으로 이비인후과 진료를 보았으나 수술에 큰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어 EN-DCR만 시행한 환자를 B군, 이비인후과 의뢰 후 EN-DCR과 함께 부가적인 이비인후과 치료를 시행한 환자를 C군으로 분류하여 각 군의 빈도 및 수술성공률을 분석하였다.결과: 전체 178명의 환자 중 A군 156명, B군 12명, C군 10명이었고 심한 코 안의 이상으로 이비인후과 진료가 필요했던 환자는 총22명(12.3%)이었으며 군간 수술성공률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결론: EN-DCR 전 통상적인 이비인후과 의뢰의 필요성은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며 술 전 안과의사의 검사 후 필요한 환자의 경우에만 이비인후과 진료를 의뢰한다면 환자의 시간적,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o determine if routine otorhinolaryngologic referral prior to endonasal dacryocystorhinostomy (EN-DCR) is necessary. Methods: Two hundred thirty-seven eyes of 178 patients who were supposed to undergo EN-DCR were prospectively analyzed. Nasal endoscopy was performed by an ophthalmologist and the patients who had severe abnormality were referred to an otorhinolaryngologist.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after a preoperative examination by an ophthalmologist and an otorhinolaryngologist; the number and success rate of each group were then investigated. Group A consisted of patients who had no nasal cavity abnormality, Group B consisted of patients with a nasal cavity abnormality but who received no treatment, and Group C consisted of patients who had a nasal cavity abnormality and received otorhinolaryngologic treatment. Results: The number of subjects in each group was 156 in Group A (87.7%), 12 in Group B (6.7%), and 10 in Group C (5.6%). The number of patients who were referred to the otorhinolaryngologist was 22 (12.3%).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of success rate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s: Routine nasal endoscopic examination should be performed by an ophthalmologist prior to EN-DCR. Only patients with severe abnormal findings should be referred to an otorhinolaryngologist as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show the percentage of patients having significant nasal abnormalities was found to be low (12%) and the success rate of EN-DCR reveal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groups. This could help patients by saving time and expense.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10):1392-1396

      • KCI등재

        설명 가능한 합성곱 신경망을 활용한 센서 기반의 시계열 데이터 분류 모델 제안

        장영준(Youngjun Jang),김지호(Jiho Kim),이홍철(Hongchul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7 No.5

        센서 데이터를 활용하여 설비의 이상 진단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설비 이상에 대한 원인 분석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센서 기반 시계열 데이터 분류 모델을 위한 해석가능한 합성곱 신경망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연구에서 사용된 센서 기반 시계열 데이터는 실제 차량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수집되었고, 반도체의 웨이퍼 데이터는 공정 과정에서 수집되었다. 추가로 실제 기계 설비에서 수집된 주기 신호 데이터를 이용 하였으며, 충분한 학습을 위해 Data augmentation 방법론인 Scaling과 Jittering을 적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3가지 합성곱 신경망 기반 모델들을 제안하고 각각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ResNet에 Jittering을 적용한 결과 정확도 95%, F1 점수 95%로 가장 뛰어난 성능을 보였으며, 기존 연구 대비 3%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더 나아가 결과의 해석을 위한 XAI 방법론으로 Class Activation Map과 Layer Visualization을 제안하였으며, 센서 데이터 분류에 중요 영향을 끼치는 시계열 구간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였다. Sensor data can provide fault diagnosis for equipment. However, the cause analysis for fault results of equipment is not often provided. In this study, we propose an explainabl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framework for the sensor-based time series classification model. We used sensor-based time series dataset, acquired from vehicles equipped with sensors, and the Wafer dataset, acquired from manufacturing process. Moreover, we used Cycle Signal dataset, acquired from real world mechanical equipment, and for Data augmentation methods, scaling and jittering were used to train our deep learning models. In addition, our proposed classification models ar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based models, FCN, 1D-CNN, and ResNet, to compare evaluations for each model.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ResNet provides promising results in the context of time series classification with accuracy and F1 Score reaching 95%, improved by 3% compared to the previous study. Furthermore, we propose XAI methods, Class Activation Map and Layer Visualization, to interpret the experiment result. XAI methods can visualize the time series interval that shows important factors for sensor data classific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닌텐도 DS를 이용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교육 콘텐츠

        장영준(Youngjun Jang),이민석(Minsuk Lee) 한국정보과학회 2012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8 No.12

        본 논문에서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하여 상용 휴대용 게임기인 닌텐도 DS를 이용한 사례를 그 준비과정과 교육 내용 측면에서 기술한다. 우리는 닌텐도 DS에 실시간 운영체제인 FreeRTOS를 이식하고, Eclipse기반의 IDE 개발 도구 및 원격 디버깅 환경을 구축하였다. 또, 8개의 시험 모듈에서의 교육 내용으로는 실시간 운영체제의 기본 API의 활용, 다양한 하드웨어의 제어, IPC, 동기화 문제의 해결에 이르는 주제를 포함하여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반드시 알아야 할 기본적인 스킬들을 두루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콘텐츠는 실제 강의에 활용되었으며, 교육 환경 및 실습을 위한 강의 자료, 소스 코드는 모두 공개되어 누구나 다운로드 하여 이용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describe how we used Nintendo DS, a commercial mobile game console, for embedded software education. We implemented an open source based cross development environment with FreeRTOS realtime operating system, Eclipse based IDE. Through eight lab modules, we cover all the basic skills in embedded software, which include RTOS APIs, hardware control,IPC, synchronization issues. All our results including the source codes and the course materials are freely available on our github homep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