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문학교육에 대한 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변인에 관한 연구 - 교사의 일반 변인과 문학교육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장석경,김유정,남 규 한국아동보육실천학회 2013 아동보육연구 Vol.9 No.2

        문학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은 문학 활동에 대한 교육적 신념과 현장에서 실제로 이루어지는 교수활동의 기초가 된다. 본 연구는 교사의 일반 변인과 문학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과의 상 관관계, 교사의 문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문학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과의 상관관계, 교사의 일반 변인과 교사의 문학교육에 대한 인식이 문학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문학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은 교사 연령이 31세 이상인 경우와 교사 경력이 10년 이상인 경우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 연령이 문학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상관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문학교육에 대한 인식은 문학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 에서 교사효능감과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일반 변인과 문학교육에 대한 인식 이 문학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에 대해 알아본 결과 문학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 치는 변인들은 문학교육의 방법, 목표, 평가, 연령, 기관 유형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미래 소양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조사

        장석경,나영이 한국인격교육학회 2024 인격교육 Vol.18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의 전문가인 유치원 교사의 미래 소양에 대한 인식에 관해 알아봄으로써 교원양성기관에서 예비유아 교사를 양성함에 있어서 현장중심 미래 소양 교육과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경기도 소재 사립유치원 현직교사 139명을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현직 유치원 교사의 미래 소양에 대한 인식 수준, 내용 이해, 미래 소양 교육과정 적용에 대한 견해를 자료로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미래 소양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미래 소양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적용에 대한 인식은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미래 소양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일반적인 인식 및 내용 이해에 관한 결과로 미래 소양에 대한 용어를 수업 시간(44.6%)에 85.6%가 들어보았고, 대학 수업 시간의 경우 전공 교과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미래 소양의 내용은 ‘자율성과 책임’, ‘창의융합적 소양’, ‘인권, 평화’, ‘친환경 에너지’, ‘기후, 환경 변화 대응’ 순으로 인식했다. 둘째, 미래 소양 인식에 대한 인구배경학적 차이에서 연령 만 35세 이상, 석사와 학사 출신, 교직 경력 10년 이상 유치원 교사들의 관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미래소양을 교육과정에 적용해야 한다는 의견은 석사 출신 교사들이 가장 높았고, 미래 소양에 대한 연수 참여 의향은 만 35세 이상 교사가 가장 높았다. 셋째, 미래소양 교육과정 적용은 ‘조금 필요하다’, ‘보통이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적용 교과목의 종류에서는 ‘전공 교과’가 가장 많았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육 학계 및 현장에 미래 소양 교육에 대한 기초가 마련되고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도 미래 소양 교육 관련 내용이 체계적으로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planning a field-oriented future literacy curriculum in fostering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by examining the perception of future liter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39 incumbent teachers at private kindergartens in Gyeonggi-do. Through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on the level of awareness of current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future literacy, understanding the content, and opinions on the application of the future literacy curriculum.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find out differences in future literacy according to kindergarten teachers' demographic background, and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future literacy and application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kindergarten teachers' general perception and content understanding of future literacy, 85.6% listened to the term for future literacy in class (44.6%) and in college class, major subjects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Future literacy content was recognized in the order of "autonomy and responsibility," "creative convergence literacy," "human rights, peace," "eco-friendly energy," and "climate and environmental change response." Second, the difference in demographic background on future literacy perception was the highest among kindergarten teachers aged 35 or older, graduates from master's and academic backgrounds, and with more than 1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eachers from master's degrees were high in terms of the necessity of applying the future literacy curriculum, and teachers aged 35 or older showed the highest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raining for future literacy. Third, the application of the future literacy curriculum was high in the order of 'needs a little' and 'normal'. As for the type of subject related to application, 'major subject' was the most common.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foundation for future literacy education will be lai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cademia and field, and the contents related to future literacy education will be systematically applied to the curriculum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 KCI등재

        그림책의 그림읽기 활동이 유아의 조형표현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장석경(Jang Sukkyung),이지현(Lee Jeehy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6

        본 연구는 그림책의 그림 읽기 활동을 수행하고 그림 읽기 활동이 유아의 조형 표현력인 평면 표현과 입체표현에 미치는 효과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지역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만 4세반 유아 54명(실험집단 27명, 비교집단 27명)을 대상으로 7주에 걸쳐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해 그림읽기 활동이 조형표현력과 창의성에 미친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그림 읽기 활동을 수행한 실험 집단이 조형표현력인 평면 표현과 입체 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그 중 입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보다 평면 표현에 미치는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림 읽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도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들이 즐겨 읽는 그림책에서의 그림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도외 시 된 그림이 유아의 조형표현력 및 창의성 발달에 중요한 매체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그림책에서 글 뿐 만 아니라 그림도 적절한 방법으로 읽도록 유아들을 지도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icture-viewing activities during picture-book reading on young children's art expression and creativity. Fifty-four 4-year old kindergarten children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exposed to the picture-viewing activities for 7 weeks. We found that picture-viewing activities had the significant effects on children's art expression and creativity. These findings revealed the importance of picture-viewing which has been almost neglected in picture book reading.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장석경(Suk-kyung Jang),최현정(Hyun-jung Choi)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5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 및 적용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분석해봄으로써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예비유아교사가 함양해야 할 과제에 대한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학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420명을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383부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내용이 사용되었다. 검사 도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 국제이행계획 초안(UNESCO, 2004), 이선경 외(2006), 채희종(2014)이 사용한 도구를 참고하여 설문 항목들을 도출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가치는 인식하고 있지만,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에 대한 인식은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대학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교육과정에 포함될 때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about the method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survey and analysis recognition about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of preservic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investigation of 383 preservice teacher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a university about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 survey tool was used after modifying the tool that UNESCO (2004), Chaeui (2014) developed. As a result, preservic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cognized the value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but showed a markedly lower level about recognition of content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They also recognized the necessity of ESD education in the university. On the basis of the study results, preservic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cognized that their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ey were aware of the need of education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t the university. Through this study, the growing awarenes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expected to be activated.

      • KCI등재후보

        그림책 읽기 활동 유형이 유아의 어휘정의내리기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

        장석경(Jang, Suck Kyung),이지현(Lee, Jeehyun)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그림책 읽기를 하는데 활발하게 사용되어 왔던 맥락적 읽기 유형과 음운 인식, 자모음 지식과 같은 주요 읽기 기술들을 좀 더 강조하는 분석적 읽기 유형을 교육활동에 적용한 후 각 읽기 유형이 유아 가정의 사회 경제적 지위에 따라 유아의 어휘정의내리기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서울시에 소재한 유치원 3곳과 어린이집 1곳의 만 4세반 유아 182명을 대상으로 10주 동안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어휘 정의내리기 경향은 계층에 관계없이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즉, 어떤 유형의 그림책 읽기 활동에 참여 하더라도 분석적인 정의를 더 많이 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아들의 어휘습득은 맥락적 그림책 읽기 유형과 분석적 그림책 읽기 유형을 병행할때 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educational activities using contextual reading, which is widely used for picturebook reading, and analytic reading, which focuses on major reading skills such as phonological awareness and letter knowledge, to mid-to-high income class children and low-income class children and to analyze the effects that the two reading styles have on children'sacquisition of word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182 children from four children's education centers in Seoul. Researcher and an assistant read out a total of 10 picturebooks over a period of10 weeks. Children's word defining tendencies were similar in both income classes. In other words, more children tended to show analytic defining regardless of which picturebook reading activity they participated in.

      • KCI등재

        아버지의 부모효능감과 양육참여도에 따른 유아기 자녀의 자기능력에 대한 지각

        장석경(Jang Sukkyung),이지현(Lee Jeehy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아버지의 부모효능감과 양육참여도와 관계를 살펴보고 아버지의 부모효능감 및 양육참여도에 따라 자녀의 자기 능력에 대한 지각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경기도 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4세 만 5세 유아와 그의 아버지 총 150쌍이 연구에 참여 했다. 아버지의 부모효능감, 양육참여도 분석을 위해 자기보고서식 질문지 형식의 척도를 사용했으며 유아의 자기능력지각분석을 위해 자기능력자간천도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부모효능감과 양육참여도는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아버지의 부모효능감은 양육참여도의 하위 요인 중 인지적 성취지도와 높은 상관을 보였다. 둘째, 아버지의 부모효능감에 따라 자녀의 자기능력에 대한 지각에 차이를 보였다. 셋째,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에 따라 자녀의 자기능력에 대한 지각에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아버지가 높은 부모효능감을 가지고 양육에 참여할 때 자녀의 자기능력에 대한 지각을 긍정적으로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아버지들에게 자녀양육에 대한 올바른 부모효능감을 가질 수 있는 방법과 효과적인 양육참여방법에 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들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으며, 아버지 역할에 관해 교육받을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enting efficacy and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and to examine the children's self-perceived competence to fathers' parenting efficacy and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0 father-child dyads. Instruments were questionnaires for fathers and the self-perceived competence for young childr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athers' parenting efficacy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ir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Second, young children's self-perceived competence differed according to father's parenting efficacy. Third, young children's self-perceived competence differed according to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This study revealed the importance of father-child interaction and fathers' role in child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배려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나영이,장석경 한국인격교육학회 2020 인격교육 Vol.14 No.2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of deriving the concept of caring to find out about the perception of caring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 and provides the contents and implications to be sought in the caring education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he future through the analysis of caring experiences actually experienced. There is a purpose. Participants were 40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t K University in Gyeonggi–do. After brainstorming about how to define caring, giving or discussing experiences about caring and receiving care, based on this, qualitative analysis is used to re-arrange and nominate the preliminary categories and categories, and extract cases that are suitable for each catego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at caring is thoughtfulness and action of others, warming and happiness of each other, and voluntary action.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caring as helping and sharing action in light of their caring experience. Based on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develop a care education program and devise concrete action plan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e true concep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care.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배려에 대한 인식에 관해 알아보고자 배려의 개념을 도출하는 과정을 탐색하고 실제로 체험한 배려 경험 분석을 통해 향후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배려 교육에서 노력해야 할 내용 및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소재 K대학 유아교육과 1학년 예비유아교사 40명이다. 배려의 정의에 대한 브레인스토밍, 배려하거나 받았던 경험, 배려의 실천에 대한 내용을 발표, 토의한 후 이를 토대로 질적 분석을 통해 예비 범주와 범주의 재조정 및 유목화를 하고 각 범주에 적합한 사례를 추출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배려를 타인을 생각하는 마음과 행동, 서로의 마음이 따뜻해지고 행복해지는 것, 자발적인 행동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의 배려 경험에 비추어 배려를 도움 행동과 나눔 행동으로 인식했다. 본 연구를 통해 배려에 대한 인식, 참 개념을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에게 필요하고 이들이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배려교육프로그램 개발하고 구체적 실행방안을 강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