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특수학교 전공과 운영개선 방안

        류문화,김종무,유애란,이상훈,장병연 국립특수교육원 2000 연구보고서 Vol.- No.3

        특수학교 전공과 운영 개선방안 연구는 현재 특수학교에 설치되어 있는 전공과의 전반적인 현황을 문헌을 분석하여 살펴보고, 설문지조사 및 방문조사를 실시하여 전공과 운영실태와 전공과 설치에 대한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전공과 운영의 적절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의 주된 내용으로는 문헌을 통해 전공과의 설치현황과 설치근거, 설치배경 및 설치과정, 전공과와 직업교육 및 전환교육과의 관계, 전공과 운영의 문제점 등을 분석하여 기술하였으며, 그 다음 설문지조사 및 방문조사 실시 과정과 실시 결과를 요약 정리하여 기술한 후, 이를 토대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는 2000년 6월 8일부터 6월 30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전공과 설치학교의 운영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전국의 특수학교 전공과 설치학교를 대상으로 운영실태 조사를, 지역을 고려한 전공과 미설치학교를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설문지를 통해 실시하였다. 이와 병행하여 전공과 설치학교 중 장애영역과 지역을 고려한 14개교를 방문조사 하였으며, 설문지조사는 우편으로 조사하였고, 방문조사는 본원 연구자 및 공동 연구자가 대상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다음으로는 설문지조사 및 방문조사를 실시하여 나타난 운영실태 조사와 요구조사 결과에 의해 도출된 문제점과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알아보고 결론과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운영실태 조사 결과 나타난 문제점은 전공과에 대하여 전공과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의 학부모와 지역사회의 협조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전공과에 대한 국가나 시·도 교육청의 행·재정적인 지원행정이 미흡하고, 학교에서 선택한 직종과 취업의 연계가 어렵고 지원고용이 실시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공과 지도교사에 대한 자격기준을 마련할 것과 성공적인 전공과 운영을 위해서는 전문요원의 학보와 배치를 위한 국가차원의 기준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하였으며, 향후 전공과 설치는 현재 전공과를 운영하는데 미흡하고 어려운 점이 있다 하더라도 장애학생들의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전공과를 확대 설치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전공과를 설치하고 있지 않은 특수학교 중 21개교가 전공과 운영 요구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설문지에 응답한 학교는 대체적으로 현재 전공과 운영에 대한 상황을 파악하고 있었고, 대다수 학교가 전공과 우녕이 부실하게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전공과가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행·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하고 전공과 정체성 확립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다수의 교사들이 전공과의 정체성 확립, 교육과정 개발, 전문교원의 배치, 행·재정적인 지원체계 확립을 통해 장애학생들의 학교에서 직업·사회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한 전공과 설치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방문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모든 전공과 설치학교는 교육과정 운영, 교재선정, 교사 배치, 별도의 지침 등이 없기 때문에 학교마다 다양하게 전공과를 운영하고 있었으며 학교 자체계획으로 전공과 관련 학칙 및 운영규칙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었다. 정신지체학교 전공과는 계속 신설되고 있는 추세이며, 현재의 전공과 형태를 수정하여 보호작업장과 그룹 홈의 형태로 운영하는 것을 바라고 있었고, 청각장애학교 전공과 운영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입학할 학생이 없어 전공과 운영이 부실하게 운영되고 있었다. 특히, 시각장애학교의 경우는 전공과 운영에 모든 기대를 걸고 있었으며 단순한 기능의 심화나 고등부 연장을 위한 또 다른 형태의 학제가 아닌 전문의료인을 양성하기 위한 심화과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결론적으로 전공과 운영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과 정체성 정립의 문제로서 전공과의 역할을 분명하게 해야 한다. 둘째, 전공과를 확대 설치해야 하며 각 학교의 장애영역, 지역 등의 특성에 따른 학교별 전공과 운영 모형 및 지침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전공과 대상학생들에 대한 선발, 직업평가, 직업훈련, 배치, 추수지도 등에 대한 운영체제를 확립해야 한다. 넷째, 전공과의 교육과정은 학생의 수준과 장애의 특성을 고려한 직업훈련 교육과정으로 편성해야 한다. 다섯째, 장애유형에 따라 전공과 운영을 특성화해야 한다. 여섯째, 시설, 장비, 재료 등에 대한 행·재정적 지원체제를 확립해야 한다. 여덟째, 전공과 담당교사의 전문성이 확보해야 한다. 아홉째, 효율적인 전공과 운영을 위해서는 관련부처들(교육부, 노동부, 보건복지부 등)이 상호 협조하는 지원체제가 확립되어야 한다. In our country, professional skill training has been administrated as educational curriculum above one year after graduating high school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 since 1993. This is defined as Specialized Vocational Program(SVP) in this stud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management condition and management needs assessment of the SVP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vocational education through suggesting the way of improvement for appropriateness and effectiveness of menage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 review of the literature about the SVP through a survey and interview in the field of special schools. The major content of this study describes the actual condition, basis, background, and progress of the SVP establishment, the relationship among vocational education, the SVP, and transition education, and the problem of management of the SVP. For this study, a mail survey and interview were used. These were conducted from June 8 to June 30 2000. The mail survey on the actual management condition of the SVP was conducted in twenty-five special schools (except one special school, Sunhee School) in the nation. An interview on the actual management condition of the SVP was conducted by researchers in fourteen special schools which were selected based on disability categories and regions. A mail survey on management needs assessment of the SVP was conducted in twenty special schools which do not have the SVP.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the survey data.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rom the survey and interview in this research, discussion of results, and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the SVP. 1. Results of the survey on actual management condition of special school with SVP. 1) Poor Cooperation between parents and community; 2) Poor vacational curriculum and field training; 3) Poor implementation in supported employment; 4) National level qualification reference for professionals and teachers; 5) Poor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rom the central and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for SVP. 2. Results fo the survey on management needs assessment needs assessment of special school without SVP. 1) The actual management condition of SVP is well realized(75%); 2) SVP is poorly implemented in the schools(86%); 3) Appropriate vocational curriculum and field training needs to be developed; 4) Professional personnel needs to be placed in schools; 5)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rom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for SVP need to be expanded; 6) The identity of SVP needs to be more strongly established. 3. Results of the interview on actual management condition of special school with SVP. 1) There is no national standard for curriculum, textbook selection, and teacher placement on SVP. Thus, each special school develops its own curriculum and administration regulation; 2) The SVP in many schools for mental retardation is being increased. People in these school want a sheltered workshop and a group home program added to the SVP; 3) The SVP in the schools for hearing impairment does not attract students; 4) The curriculum does not fully reflect the student's vocational aptitude, ability, and preference; 5) Cooperation among the educational departments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labor, an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the field is not set. Conclusion are as follows. 1) The identity(concept, role, and, purpose) of SVP needs to be clarified. 2) The SVP needs to be installed in more special schools nationwide, and improved according to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s. 3)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SVP needs to be improved and specialized : Student selection, vocational assesment, training, placement, and follow-up, and category of disability. 4) The curriculum of SVP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ability, and interest. 5)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need to be increased for facilities equipment, and materials. 6) Professionalism needs to be guarnateed. 7) Related government departments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labor, an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eed to cooperate more actively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SV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