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길안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안정성 및 유사도 분석

        장명성,서을원,이종은,Jang, Myeong Seong,Seo, Eul Won,Lee, Jong Eun 한국환경생물학회 2020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는 길안천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를 과거와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2018년 총 2회 조사를 실시하여 Lee (2004)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2018년 출현종수는 2003년과 비교하여 총 45종이 증가하였으며, 그중 EPT 분류군이 24종, OCH 분류군이 18종이 추가로 조사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다양도지수(H')와, 풍부도지수(R')는 증가하였고, 우점도지수(DI)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섭식기능군은 주워먹는무리(GC)에 속하는 종이 과거대비 11종이 추가로 발견되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서식기능군의 경우 붙는무리(CL)가 41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하였다. 군집안정성에서는 특성군 I그룹이 2003년에 57.1%, 2018년에 61.5%로 가장 높은 출현율을 보였다. 생물학적 수질평가 결과, 과거 평균 'II등급'의 수질등급과 '보통'의 환경상태에서 2018년에는 평균 'Ia'등급의 수질과 '매우 양호'한 환경상태를 나타냈다. 2018년의 이화학적 요인과 생물학적 요인과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pH 및 BOD는 개체수, 우점도지수(DI), 풍부도지수(R'), 다양도지수(H'), 균등도지수(J')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유사도 분석결과, 각 연도별로 두 개의 유사군으로 분류되었다. 길안천 수계가 취수시설 및 생태공원, 하천정비사업을 진행하면서 발생한 물리적 교란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 흐름 개선과 다양한 미소서식처 형성을 통해 종 다양성 및 풍부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제한적인 구간의 하천정비공사로 인한 하상 교란과 수질과의 상관관계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와 군집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ability and similarity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the Giran stream between August and September 2018, and compare results to those reported by Lee (2004). As relates to the total number of species in each taxon in 2018, 45 species were additionally discovered compared to the 2003 study; the number of EPT taxa increased by 14 species and OCH taxa increased by 18 species. The diversity and richness indexes increased while the dominance index tended to decrease. According to analysis of functional feeding groups, 11 more Gathering-collector species were found, making it the highest functional feeding group with 24 species. According to analysis of functional habitat groups, 15 more clinger species were found than in the past, making it the highest functional habitat group with 41 species. A community stability comparison showed that species belonging to 'Stability Group I' had the highest stability rate at 57.1% in 2003 and 61.5% in 2018. According to the biological water quality assessment, in 2018, the average water quality level at each survey site was 'Ia' and 'Very Good' in term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similarity analysis between the survey points for the species that appeared, two large groups of similarities were classified (similarity group 1: 2003 sites, similarity group 2: 2018 sites).

      • KCI등재

        게스트하우스의 서비스품질이 외래관광객의 긍정적 감정반응과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장명성(Zhang Mingxing),박상희(Park Sang-Hee) 대한관광경영학회 2016 觀光硏究 Vol.3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운행하는 게스트하우스의 서비스품질의 요인을 파악하고, 외래관광객이 느끼는 게스트하우스의 서비스품질이 긍정적 감정반응과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게스트하우스에 숙박하며 한국관광을 하고 있는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부산과 서울에서 약 2주 동안 진행되었다.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81부를 회수하였으나, 그중 자료로 활용할 가치가 없는 15부를 제외한 266부를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1.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 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가설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게스 트하우스 서비스품질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시설, 인적 서비스, 접근성, 가격 등의총 4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가설 1에서 게스트하우스 서비스품질의 4개요인 중 접근성을 제외한 3개요인(시설, 인적 서비스, 가격)이 모두 긍정적 감정반응에 유의한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2에서 게스트하우스 서비스품질의 4개요인 중에서 접근성을 제외한 3개요인(시설, 인적 서비스, 가격)이 모두 고객만족에 유의한 직접적인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3에서 긍정적 감정반응이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고객의 긍정적인 감정반응이이 높아질수록 고객만족이 증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figure out the service quality factors of the guesthouses that are being operated inside the country. Secondly, reveal the influence of the guesthouse service quality on the positive emotional response 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foreigners who are using the guesthouses and travelling in Korea were taken as the sample of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in Busan and Seoul and lasted two weeks. 380 piece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332 pieces were used as the final valid samples in the analysis.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processed with the statistics package program SPSS 20.0 for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of the guesthouse service quality extracted four service quality factors (facilities, human service, accessibility, price).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of the hypotheses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among the four guesthouse service quality factors, except accessibility, the rest of the factors (facilities, human service, pric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ositive emotional response. Secondly, among the four guesthouse service quality factors, except accessibility, the rest of the factors (facilities, human service, pric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response. Thirdly, positive emotional respons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 KCI등재
      • KCI등재

        내성천 퇴적물 입도와 노란잔산잠자리(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 약충 개체수와의 상관관계 분석

        박진영,권혁영,장명성,차진열,이종은 한국응용곤충학회 202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9 No.4

        노란잔산잠자리(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 약충은 내성천 일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9년 3월 서식이 확인된 37개 지점의 하상 0.2㎡ 면적에서 채취한 퇴적물 입도 분석 및 개체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입도 분석 결과 ‘조립사’(500 ~ 1,000 ㎛) 52.5%, ‘극조립 사’(1,000 ~ 2,000 ㎛) 25.6%, ‘중립사’ (250 ~ 500 ㎛) 17.2%, ‘세립사’(125 ~ 250 ㎛) 3.1%, ‘극세립사’(63 ~ 125 ㎛) 1.0%, ‘실트’(63 ㎛미 만) 0.7% 순으로 나타났다. 노란잔산잠자리 약충의 개체수는 ‘극세립사’(63 ~ 125 ㎛), ‘세립사’(125 ~ 250 ㎛)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조립사’ (500 ~ 1.000 ㎛)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노란잔산잠자리 약충이 고운 모래를 서식처로 활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이후 내성천 일대 하상 환경변화 모니터링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Macromia daimoji nymphs (Endangered Species II) are known to inhabit the Naeseong Stream in Korea. In March 2019, we performed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ediment particle size and the M. daimoji popul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a 0.2-m2 area at 37 sites in Naeseong riverbed. Particle size analysis showed different ratios of sediments in the riverbed: Coarse Sand (500–1,000 μm) 52.5%; Very Coarse Sand (1,000–2,000 μm) 25.6%; Medium Sand (250–500 μm) 17.2%; Fine Sand (125–250 μm) 3.1%; Very Fine Sand (63–125 μm) 1.0%; and Silt (less than 63 μm) 0.7%. The number of M. daimoji nymph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Very Fine Sand and Fine Sand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oarse Sand, indicating that M. daimoji nymphs inhabit fine sand.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monitor changes in the riverbed environment of Naeseong Stream to ensure the conservation of M. daimoji habitat.

      • KCI등재
      • 무미목 양서류 법정보호종 포획․이주 가이드라인 현황 및 사례 분석을 통한 활용방안 고찰

        민병하,최정환,오상혁,장명성,이주원,이종은 한국양서ㆍ파충류학회 2023 한국양서·파충류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07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포획, 채취 등과 관련된 활동에 대한 법적 규제는 생물의 보호와 지 속 가능한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환경부, 국립생태원 등 관련기관에서는 국가의 법률과 규정을 기반으로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보호와 관련된 안내서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포획 및 이주에 대한 규칙과 절차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장의 다양한 환경에서 실시되 는 포획․이주에 관한 행위는 기존의 지침과 허가절차에 준해서 실행하기에는 그 한계가 있다. 또한 실제 지침을 준수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하더라도 현장 상황이 매우 상이할 경우, 조 사방법에 대한 신뢰성이 결여되고 이로인한 대다수 시민들의 공감을 얻기에는 부족한 경우가 많은 것이 현실이다.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14조는 “공익사업의 시행 또 는 다른 법령에 따른 인가․허가 등을 받은 사업의 시행을 위하여 멸종위기 야생생물을 이동 시키거나 이식하여 보호하는 것이 불가피한 경우 환경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멸종위기 야생생 물을 포획․이주 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개발사업은 위 법률에 의거하여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포획․이주를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포획․채취 등 허가신청 절차 안내서, 국립생태원, 2021」, 「맹꽁이 대체서식지 조성 가이드북, 국립생태 원, 2021」, 「금개구리 대체서식지 조성 가이드북, 국립생태원, 2018」에 제시된 가이드라인 을 근거로, 위 법률에 의거하여 포획․이주를 실시하는 개발사업 중 실제 산업계에서 진행되고 있는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이 중 가이드라인에 부합하지 않은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개선 방 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환경부 등 국가기관에서 제작 및 제시된 가이 드라인이 산업계의 이익 및 편의에 의한 해석, 일부 항목의 미이행, 부적절한 절차 진행으로 인해 오남용된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례들은 결과적으로 전문가와 국가기관의 신뢰도 하락으로 직결된다. 또한 포획․이주 사업의 본래 목적과는 다르게 유전자 다양성이 매 우 결여된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서식지 및 개체군 크기 감소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생물다양 성 보전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관계기관의 포획․이주에 대한 가이드라인과 산업계에 의해 진행된 실제 사례와의 차이점과 문제점을 파 악하였고, 이를 토대로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포획․이주에 대한 개선방법 등 현장 상황에 적합 한 활용방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