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무증상기의 소아 천식 환자에서 최대호기속도의일중 변동치에 대한 연구

        임휘규,한병무,박석원,김종수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003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13 No.2

        Circadian Rhythm of Peak Expiratory Flow Rate inAsymptomatic Childhood AsthmaHwi-Kyu Im, M.D., Byung-Mu Han, M.D.,Seok-Won Park, M.D., and Jong-Soo Kim, M.D. 목 적 : 천식 환자에서 야간에 증상이 악화되고, 낮에는 비교적 증상이 호전되는 일중 변동 현상이 현저하다. 이는 혈중 코티솔(cortisol)치의 일중 변화, 혈중 히스타민치의 일중 변화, 혈청 cyclic AMP(cAMP) 농도의 일중 변화, 야간에 미주 신경 반사의 증가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나타난다. 저자들은 천식으로 진단된 환자에서 적절한 치료 후 증상이 없을 때, 정상인과의 폐기능과 폐기능의 하루 중 변화 양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기도폐쇄 정도를 평가하고, 천식 환자의 치료에 대한 반응과 병의 진행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유용한 폐기능 검사 중 하나인 최대호기속도(peak expiratory flow rate, PEFR)를 측정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방 법 : 1999년 9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원주기독병원 소아과를 방문한 소아 천식 환자 중 적절한 치료로 최근 한 달 이상 증상이 없었던 경증 간헐성 천식군 15명, 경증 지속성 천식군 11명, 중등증 지속성 천식군 8명과, 같은 기간 동안 기침, 콧물, 호흡곤란 등의 호흡기 증상이 없이 탈장, 급성 장염, 무균성 뇌수막염으로 입원한 25명 대조군의 최대호기속도를 오전 8시부터 오후 10시까지 2시간 간격으로, 4일간 측정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의 평균 연령은 경증 간헐성 천식군 6.9세(4-11세), 경증 지속성 천식군 5.9세(4-9세), 중등증 지속성 천식군 6.0세(4-10세), 대조군 8.7세(4-14세)였으며, 남녀 비는 경증 간헐성 천식군이 2 : 1, 경증 지속성 천식군이 1.8 : 1, 중등증 지속성 천식군이 3 : 1, 대조군이 1.5 : 1로 각 군 모두에서 남아가 많았다. 천식으로 진단 받은 후 간헐적 베타2 항진제 흡입 치료를 받은 기간은 경증 간헐성 천식군이 16.3±6.1주, 경증 지속성 천식군이 17.0±2.3주, 중등증 지속성 천식군이 18.2±1.6주였다. 흡입용 및 경구용 스테로이드는 중등증 지속성 천식군에서만 사용되었는데 그 치료 기간은 각각 14.5±1.1주, 0.9±0.1주였으며, 경구용 항알레르기제(케토티펜)는 경증 지속성 천식군 및 중등증 지속성 천식군 모두에서 12주간 투여 받았다. 각 군간의 측정 시간별 최대호기속도는 중등증 지속성 천식군에서 오전 8시에 측정한 값이 다른 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나, 그 외 다른 측정 시간별 최대호기속도는 각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천식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오전 8시에 측정한 최대호기속도가 하루 중 가장 낮았으며(P<0.05), 이후 증가하다가 각각 오후 2시, 4시에 최고치를 보인 후 다시 감소하였다. 하루 중 가장 높은 최대호기속도와 가장 낮은 최대호기속도와의 편차는 중등증 지속성 천식군에서만 다른 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컸다(P<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