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편복양(Bok Yang Pyun),김성원(Sung Won Kim),오재원(Jae Won O),이혜란(Hae Ran Lee),김정수(Jung Soo Kim),이경일(Kyung Il Lee),강임주(Yim Joo Kang),국명희(Myung Hee Kook),강혜영(Hae Young Kang),김진석(Jin Suk Kim),이명현(Myung Hyun Lee)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0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10 No.1
목 적 : 공중화분과 공중진균에 대한 분포 조사는 전세계적으로 이미 많이 연구되었고, 알레르기 질환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구미에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이는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기본 자료로서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이를 기초로 역학적 조사가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아직 전국적인 공중화분과 공중진균에 대한 분포 조사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공중화분의 분포에 대하여 산발적이고 지역적인 보고가 있었으나 전국적인 역학적 분포 조사는 보고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저자들은 1997년 7월 1일부터 1999년 6월 30일까지 2년간 전국의 공중화분과 공중진균의 분포를 조사하였기에 이를 보고한다. 본 연구는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의 주관으로 이루어진 한국 어린이, 청소년 알레르기 질환에 관한 전국적 역학조사의 일환으로 조사가 시행되었다. 방 법 : 1997년 7월 t일부터 1999년 6월 30일까지 전국 10개 지역에 공중화분 및 진균포자 채집소를 정하여 가능한 동일한 조건을 얻기 위하여 모든 채집기(rotorod sampler; Sampling Technologies, Inc. MN)는 바닥으로부터 150 ㎝ 높이에 장치하여 매일 오전 8시부터 익일 오전 8시까지 24시간 동안 공중화분 및 공중진균을 포집한 후 매 2주마다 집결소(한양대 구리병원)로 보내어져 그곳에서 2명의 연구원에 의해 Calberla`s fuchs운으로 염색하여 100배 배율 하에서 공중화분을 관찰하고 400배 배율 하에서 공중진균을 관찰 동정하고 ㎥당 grain과 spore 수를 동정, 측정하였으며, 각 지역의 기상 관측소와 연계하여 채집 기간의 날씨(풍향, 기온, 습도 등)를 매일 기록하여 연관성을 비교하였다. 결 과 : 전국적으로 가장 많이 화분이 비산되는 시기는 8월 12일부터 9월 21일까지이었다. 지역별로는 전주지역에서 가장 많은 화분이 채집되었으며, 그 다음은 부산지역 순이었으며 대전, 대구, 여수지역은 비교적 적은 양의 화분이 채집되었다. 공중화분은 12월 중순부터 1월 중순까지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봄철 화분분포는 3월 7일부터 3월 30일까지 절정을 이루고 있었다. 지역별로는 부산지역이 가장 먼저 화분이 발견되었으며. 가장 많이 채집되었고, 그 다음으로 전주지역, 여수지역 순이었다. 8월부터 9월까지 두드러기쑥(Ambrosia)와 쑥(Artemisia) 가장 많이 나타났는데, 전주, 부산, 서울지역에서 많은 분포를 보였다. 공중진균은 7월 10일경부터 10월 24일까지 절정기를 이루었으며, 강우량과 비래하였으며, 장마철과 같이 아주 많은 양의 강수량이 있는 시기는 급격히 감소하였다가 비가 개인 다음날부터 많은 양의 진균포자가 비산하였다. 1998년 7월에 서울, 대전, 여수, 부산지역에서는 게릴라성 폭우로 인하여 강수량은 급증하였으나 공중진균의 양은 감소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공중진균 포자의 비산은 11월부터 서서히 감소되며, 12, 1월에는 현격히 감소되지만 전국적으로 연중 발견되었다. 공중진균은 전국적으로 유사한 채집량을 보이고 있으며, 종류별로는 Cladosporium, Alternaria, Leptospheria의 ascospore 순으로 많이 발견되었다. Purpose : As outdoor allergen, pollen and mold are increasely drawing attention all over the country in Korea. The peninsula is located in a temperate zone and has four distinct seasons. In this study, we described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pollen and mold distributions in Korea, which may be used to evaluate the pollenosis prevalence for the first time. Methods : Rotorod samplers were installed on the 10 stations at each state in Korea. Outdoor allergens were collected daily in each station from July 1, 1997 to June 30, 1999. After staining they were identified, counted and recorded with the weather in each state. Results : The pollens were found in the beginning of February through the middle of December. The earliest pollen was found from Pusan which is a south region, and followed by Chonju, Daegu which are midsouth. The peak season for pollen was from the end of April to the middle of May(major pollen: Tree, Grasses), the second peak was depicted from the end of August to the middle of September (major pollen : sagebrush, ragweed) the outdoor molds were largely collected from the July to the middle of October. Cladosporium and Alternaria were prevalent all year round and Ascospores of Leptospheria was peak in monsoon season. Conclusion : The pollens were found during the whole year except from middle of the December through the middle of the January. Molds were found all year round.
메밀 단클론 항체를 이용한 저항원성 메밀의 면역학적 특성 분석
류정우(Jeong Woo Ryu),염혜영(Hye Young Yeum),이기영(Ki Young Lee),김규언(Kyu Eam Kim)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0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10 No.1
목 적 : 음식 알레르기 환자의 60%에서는 회피요법을 시행한 후 1-2년이 경과하면, 피부시험이나, RAST상 양성이 지속되더라도 그 임상 중상은 소실되는 것으로 알려걱 있다. 그러나, 메밀, 땅콩, 일부 해산물 알레르기는 자연 치유가 드물고 그 임상 양상이 중하고 위급하며 일상 생활에서 회피요법을 완벽하게 시행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식품 알레르기 치료에 있어서 저항원성 식품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저항원성 메밀을 제조하고, 그 면역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시판되는 메밀가루를 이용하여 조항원을 만들고, standard polyethylene glycol 방법으로 메밀 24 kD 단백에 대한 단클론 항체를 제조하였다. 메밀가루를 이용하여 0.5 M NaCl을 이용한 salting 방법으로 저항원성 메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조항원으로 SDS-PAGE를 시행하였다. 순수 메밀의 주 알레르겐인 24 kD 단백에 대한 단클론항체를 이용하여 저항원성 메밀의 immunobloting을 시행하였다. 결 과 : 1) 저항원성 메밀의 단백질 농도는 47.3 ㎍/μL였다. 2) SDS-PAGE의 결과 순수 메밀과 비교할 때 50, 36, 13 kD의 단백띠는 소실되었으며, 24 kD 단백띠는 약하게 관찰되었다. 3) 3개의 메밀 단클론 항체와 immunoblot 결과 1개의 단클론 항체에는 전혀 결합하지 않았으며, 2개의 단클론 항체에는 24 kD 단백에 결합하는 양상을 보였다. 결 론 : 저항원성 메밀은 메밀 주알레르겐인 24 kD 단백에 대한 일부 단콜론 항체와 반응하였으며, 주알레르겐인 24 kB 단백 함유를 저하시키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and objective :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one third of children with food allergy lose their clinical activity if the responsible food allergen can be identified and completely eliminated from their diet. But buckwheat allergy rarely lose clinical activity. So, we have produced hypoallergenic buckwheat(HBW) according to Ikezawa`s method, and characterized the allergenicity by immunoblot method using monoclonal antibodies to raw buckwheat. Material and Methods : HBW was prepared from raw buckwheat by salting with 0.5 M NaCl. 18 monoclonal antibodies to raw buckwheat were made according to standard polyehtylene glycol method. We performed SDS-PAGE of HBW and transferrd to nitrocellulose membranes, which were immunoblotted by selected 3 monoclonal antibodies to raw buckwheat. Results : The protein concentration of HBW was 47.3 ㎍/μL. As the result of SDS-PAGE of HBW the protein bands of 50, 36, 13 kD of raw buckwheat disappeared. 3 monoclonal antibodies were selected due to their higher specificities in ELISA. Immunoblot study showed that 2 among 3 monoclonal antibodies bind to HBW. Conclusion : The SDS-PAGE of HBW showed less protein bands in comparison to raw buckwheat. But the allergic component of HBW still remained. So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liminate the residual allergenicity of hypoallergenic food.
Dexamethasone 이 Respiratory Syncytial 바이러스에 감염된 인체 기관지 상피 세포주의 RANTES 와 IL-8 생산에 미치는 영향
김상용(Sang Yong Kim),이준성(Joon Sung Lee),전정식(Chung Sik Chun)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0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10 No.1
목 적 : Respiratory syncytial virus(RSV)는 영·유아에서 하기도 감염의 중요한 원인 병원체일 뿐만 아니라 감염 후 기도염중을 일으켜 반복적인 천명과 기도 과민성을 초래함으로써 기관지천식을 유발 및 악화시키기도 한다. RANTES와 IL-8은 각각 호산구와 호중구에 대한 화학주성을 갖고 있는 chemokine으로서 기관지천식의 병태생리인 기도 염증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 기관지 상피세포주인 BEAS-2B 세포에 RSV를 감염시컥 RANTES와 IL-8의 생산 여부와 dexamethasone이 이들 chemokine 생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BEAS-2B 세포에 RSV를 감염시키지 않은 대조군과 0.1, 1 그리고 10의 MOI(multiplicity of infection)로 각각 감염시킨 실험군을 12, 24, 48시간 배양한 후 배양액에서 RANTES 및 IL-8을 측정하였으며 여러 농도(10^-6, 10^-7, 10^-8, 10^-9 M)의 dexamethasone을 BEAS-2B 세포에 전처치한 후 RSV를 MOI 1로 감염시켜 48시간 배양한 배양액에서 RANTES와 IL-8의 농도를 측정하여 dexamethasone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결 과 : 1) RSV에 감염된 BEAS-2B 세포군에서는 감염되지 않은 경우보다 RANTES 및 IL-8의 생산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감염군에서는 MOI가 클수륵 RANTES 및 IL-8의 생산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감염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RANTES 및 IL-8의 농도가 증가하였다. 4) Dexamethasone을 전처치한 경우, RSV를 감염시킨 BEAS-2B 세포군에서의 RANTES 및 IL-8의 생산은 전처치하지 않은 세포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결 론 : 기도 상피세포에서 RSV 감염에 의해 RANTES 및 IL-8 생산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RANTES 및 IL-8 생산 증가는 dexamethasone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 Besides being a structural barriers for infectious pathogens, bronchial epithelium also participates actively in the modulation of airway inflammatory reactions through the synthesis of a variety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RANTES and IL-8 which are important chemokines for chemotaxis of eosinophils and neutrophils, and their activation. Respiratory syncytial virus(RSV) is the most common cause of bronchiolitis in infants, is an important trigger of asthma exacerbation, and stimulates chemokine production of human airway epithelial cells in vitro. We tested RSV-stimulated production of RANTES and IL-8, and the effects of the dexamethasone(DX) on the production of chemokines of 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 line, BEAS-2B. Methods : Confluent BEAS-2B culture were inoculated with RSV at various multiplicity of infection(MOI 0.1, 1, 10), and supernatants were collected at 12, 24, 48hr intervals. Concentrations of RANTES and IL-8 were measured in supernatants using ELISA. The effect of DX at varying concentrations(10^-9, 10^-8, 10^-7, 10^-6 M) on RSV(MOI 1)-induced chemokine production was determined. Results : The production of RANTES and IL-8 were increased in RSV infected group than non-infected group at each time and each MOI. The production of RANTES and IL-8 were decreased in DX-treated RSV infected group than non-treated RSV infected group and this tendency was prominent in higher concentration of DX. Conclusion : DX can modulate the inflammatory response of the airway in RSV bronchiolitis and asthma exacerbation through the inhibition of virus-induced chemokine production by bronchial epithelial cells.
임지연(Jee Youn Lim),정순미(Soon Mi Chung),정지태(Ji Tae Choung)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0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10 No.1
목 적 :천식 치료의 순응도를 유지시켜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환자 교육 시행에 대한 많은 연구가 외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환자 교육을 시행하기 어려운 현실이며, 교육을 통한 자기 관리가 질병의 치료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진이 계획한 프로그램을 외래 진료 중 천식 아동과 부모들 대상으로 짧은 시간 반복적으로 시행한 후, 천식의 치료 효과를 평가하여, 이를 기초로 우리 실정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시행하였다. 대 상: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안산병원 소아 알레르기 크리닉에 내원한 천식 환아와 천식으로 입원하였다 퇴원 후 처음 외래를 방문한 중둥중 지속성 천식 환아 중 2세부터 11세까지 환아 20명과 이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 법 : 천식 교육을 1998년 9월부터 10월 사이에 환자마다 개별적으로 시작하였으며, 이후 1999년 10월까지 매달 1회의 정기적인 외래 방문을 통하여 12개월 동안 추적 관찰하였다. 천식 교육은 처음 방문시 15분간 시행하였고, 내원 3개월째 10분, 6개월께 15분, 9개월째 10분 동안 4회에 걸쳐서 시행하였다. 결 과: 1) 교육 시행 후 천식 발작으로 인한 응급실 방문 횟수는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감소하였다(P<0.005). 2) 교육 시행 후 총 입원 횟수는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감소한 결과를 보였다(P<0.005). 3) 총 외래 방문 횟수는 교육 시행 전 417회에서 교육 시행 후 303회로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감소한 결과를 보였다(p<0.05). 4) 경구용 스테로이드의 사용 횟수와 용량이 의미있게 감소하였다(P<0.001). 이와 반대로 흡입용 스테로이드의 정기적 사용은 증가하였다. 5) 설문지를 통하여 비교한 삶의 질의 변화에서도 천식 교육 시행 후 예로 대답한 항목의 수가 통계학적으로 감소된 결과를 보였다(P<0.005). 결 론 : 외래에서 천식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시행한 천식 교육 프로그램이 천식으로 인한 외래 및 웅급실 방문 횟수와 경구용 스테로이드 사용의 감소를 보였으며 환아와 가족들의 삶의 질을 호전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앞으로 외래에서 개별적으로 시행하는 천식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개별적 교육 프로그램과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해 보는 것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Patient education is an important part of asthma management.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role of education program for asthmatic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the western countries, the effectiveness of patient education on improving self-management of asthma has been well documented. However, data from Korean population is lacking. Methods : We performed the study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 hospital based education program aimed at improving self-management skills and reducing morbidity. Twenty patient and their parents attending Korea University Ansan Hospital allergy clinic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y were instructed 4 times of 10-15 minutes session with every 3 month interval on the pathophysiology of asthma, treatment and the appropriate use of medication including proper inhaler technique and the self-management of their diseases. The instructions were reinforced by three more education session at subsequent outpatient clinic attendance. Results : After twelve months, morbidity was assessed by the numbers of hospitalization, emergency department attendance and outpatient clinic attendance, use of oral steroids and steroid inhalation and impairment of quality of life. The efficacy of the education was demonstrated by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P<0.005), emergency department visit(P<0.005), outpatient clinic visit(P<0.05) and reduction of oral steroid use(P<0.001). There were also reduction of outpatient department attendance and improvement in steroid inhalation and quality of life. Conclusion :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proper patient education is essential in reduction of asthma morbidity and improving in quality of life.
2 세 이하 영유아에서 Mycoplasma pneumoniae 폐렴의 임상적 고찰
손병관(Byong Kwan Son),최유미(Yoo Mee Choi),김정희(Jeong Hee Kim),권민중(Min Joong Kwon),박순성(Soon Seong Park),임대현(Dae Hyun Lim)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0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10 No.1
목 적 : Mycoplasma pneumoniae는 학동기 아동의 호홉기 감염의 흔한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에는 더 어린 아동의 호흡기 감염의 원인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2세 이하의 어린 영유아에서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의 빈도 및 임상증상이 연장아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성남 인하병원 소아과에 폐렴 중상으로 입원한 환아 중 마이코플라즈마 항체가가 1 : 320 이상이었거나 1주 간격으로 시행한 항체가의 4배 이상 증감이 있었던 2세 이하 영유아군 33명을 대상으로 임상양상, 검사 소견, 방사선 소견을 3-12세인 소아군 109명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1)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으로 입원한 142례 중 2세 이하는 33명(23.2%)이었고, 3-6세가 81명(57.1%), 7-12세가 28명(19.7%)이었다. 2) 두 군에서 모두 가을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영유아군 45.5%, 소아군 39.4%), 여름에 가장 적게(영아군 12.1%, 소아군 15.6%) 발생하였다. 3) 임상중상은 두 군 모두 기침, 객담, 발열, 콧물 순으로 많이 발생하였고, 대부분 7일 미만의 발열 기간과 입원 기간을 보였다. 4) 진찰소견상 흉부 청진시, 두 군에서 모두 수포옴이 가장 흔하였다. 5) 검사실 소견 중 말초 백혈구 수는 영유아군에서 90.9%, 소아군에서 89%가 15,000/㎣ 미만이였고, C-반웅단백도 0.8 ㎎/dL 미만인 경우가 영유아군 63.6%, 소아군 54.1%였다. 6) 방사선 소견상 침윤이 있는 경우가 영유아군 51.5%, 소아군 45.8%로, 두 군 모두 우측에(영유아군 88%, 소아군 72%) 병변이 많았으며, 기관지 폐렴이 가장 흔했다(영유 아군 47%, 소아군 38%). 결 론 : 폐렴 증상으로 입원하여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으로 진단받은 환아 중 2세 이하의 영유아는 23.3%이었으며 연장아와 비교하였을 때, 임상증상, 신체 검사, 검사실 소견 및 방사선 소견 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영유아의 폐렴에서도 원인균으로 반드시 Mycoplasma pneumoniae를 감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M. pneumoniae is knwon as a common causative agents of respiratory infection in school children. But, it tends to occur in infants and younger children recentl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incidence and clinical manifestations of M. pneumoniae pneumonia in infants. Methods : A total of 142 children(33 infants{Group Ⅰ : Infants group; 0-2 years) and 109 children{Group Ⅱ : Children group; 3-6 years)) was admitted with M. pneumoniae pneumonia from January through December 1998. We reviewed medical records and evaluated the incidenc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laboratory findings. Results : Number of patients with M. pneumoniae pneumonia in 0 to 2 years of age(infants group) comprised 23.2% of the total in contrast to 57.1% in 3 to 6 years of age group and 19.7% in 7 to 12 years of age group. Seasonal distribution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autumn in infant and children groups(45.5% and 39.4% respectively). The most frequent symptom was cough(90.9% and 96.3%, respectively), followed by sputum(81.8% and 90.8%, respectively), fever(72.7% and 66.0%, respectively) and rhinorrhea(72.7% and 64.0%, respectively). The common physical findings on admission were crackle(84.8% and 80.7%, respectively), wheezing(30.3% and 18.3%, respectively) and throat injection(39.4% and 35.8%, respectively). WBC count was within normal range in both groups(90.9% and 89%, respectively) and CRP was lower than 0.8 mg/dL in 63.6% of infant group and 54.1% of children group. The most common radiologic finding was bronchopneumonia in both groups (47% and 38%, respectively). Conclusion : Number of the patients with Mycoplasma pneumoniae pneumonia in infants age from 0 to 2 years comprised 23.2% of the total. Clinical manifestations of Mycoplasma pneumonia in infants were similar to those of older children. We recommened Mycoplasma pneumoniae should be considerd as a causative agent even in infant with respiratory inf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