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槐院新參同會錄』을 통해 본 숙종대 承文院 分館과 免新禮 시행 양상

        임혜련 고려사학회 2024 한국사학보 Vol.0 No.96

        본 연구는 1716년(숙종 42) 승문원에 분관된 권지승문부정자 66명 중 면신례를 통과한 24명의 명단, 허참에 이르기까지 일정 및 절차를 기록한 『槐院新參同會錄』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 신급제의 승문원 분관, 면신례의 전통과 시행의 실제, 그리고 『괴원신참동회록』 좌목에 기재된 동료들 사이 발생했던 반목과 갈등을 숙종 후반기 노론・소론의 대립과 분기가 가장 치열했던 시대적 상황을 함께 고찰하였다. 1716년(숙종 42)의 분관은 1712년(숙종 38) 임진년 庭試 합격자들에 대한 분관이 지체되면서 이후 문과 급제자들에 대한 분관이 적체되자, 4회의 문과 시험 급제자들을 함께 분관하였다. 분관이 지체된 배경은 임진년 정시에서 발생한 과거 부정 사건[임진과옥]의 영향, 신래 권점의 결과에 대한 문제 제기, 상박사가 권점에 참여한 문제점으로 인해, 완료된 분관을 무효화 했기 때문이었다. 여기에 당시 노・소론 간 대립이 고조되던 정국의 상황에서 승문원 분관이 가지는 중요성으로 인해 유리한 정치적 위치를 점하기 위한 대립이기도 하였다. 『괴원신참동회록』 좌목에 오른 24명도 그들의 당색에 따라 분기하고, 서로 대립하였다. 그 과정에서 거의 절반에 가까운 동료들이 막 출사한 관료의 길을 제대로 밟지 못하고 유배와 파직을 겪게 되었다. 『괴원신참동회록』는 대부분의 계첩이 가지고 있는 친목의 의미를 넘어서 당대의 역사상과 관료 사회의 명암을 담고 있는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Goewon sincham donghoerok(槐院新參同會錄)』, written in 1716. This source lists twenty-four of the sixty-six new bureaucrats of the Seongmunwon who passed the Myonshinryeceremony. This paper also analyzes the 『Goewon sincham donghoerok』 to research the process of passing the Joseon Dynasty State Examinations for the first time and then being placed into government offices through the Seongmunwon. Additionally, this paper studies the traditions and actual practices of the Myonshinryeceremony. The 『Goewon sincham donghoerok』 records the appointment to government positions of successful candidates in the State Examinations from 1711, 1713, 1714 and 1715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There was a backlog of successful candidates due to cheating in the 1712 State Examination that caused a delay in appointments to government positions. The Myonshinryeceremony has been understood to be a custom of bureaucratic society. However, it was necessary to be able to start work at the relevant government offices, therefore it was an essential course that had to be taken.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twenty-four coworkers recorded in 『Goewon sincham donghoerok』 were in opposition to each other. Ten of them later had problems securing government jobs. The reason for this was due to the severe opposition between the Noron(老論) Faction and Soron(少論) Faction that occurred at this time. Typically, the ‘GyechupAlbum (契帖)’is a record of social gatherings. However, this document carries importance in revealing the intense political situation at the time.

      • Eliot의 詩劇論

        임혜련 숙명여자대학교 어문학연구소 1986 어문학 Vol.2 No.-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극작가로서의 Eliot의 발전 뒤에 숨어 있는 힘은 종교와 예술에 있어서의 “order"의 추구이다. 모든 문학 형태 중 에서도 극히 완전하고도 질서 있는 세계를 재창조할 능력이 크고, 또 가장 많은 대중에 전달될 수 있는 수단이라고 믿으면서 Eliot은 극의 구조를 발전시켰는데, 그것은 자연세계 안에 초자연의 질서가 있다는 것을 보여 줌으로써 관중들도 그러한 자각으로 이끌게 된다.

      • Byron의 역할과 그의 의식의 변화과정 : Light in August

        임혜련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원우회 1990 원우논총 Vol.8 No.-

        Faulkner has often been considered to be merely the melancholy singer of the fall or the South of the pessimistic recorder of the modern wasteland world. That is always not the case. The main thrust of his novel Light in August is optimistic and hopeful. If this novel has only the stories of Christmas and Hightower, it can be tragic. But there is the story of Byron Bunch in it who is regarded as a comic hero. This paper has concern for Byron. Byron is a man of good will who tries to redress the excessive imbalance between the forces of ill will and the victims of the ill will. He is the only person in touch with all the characters and the physical coordination of the characters is effected by Byron. He is portrayed to have a tone of humorous absurdity. In short, Faulkner expresses his optimistic attitude toward life through Byron. The aim of this paper, therefore, is to examine the role of Byron in the relationships with the others, especially with Gail Hightower who was a minister and lived a isolated life from the world but is drawn back into the world by Byron, and the development of Byron's perception.

      • KCI등재

        철종대 순원왕후 존호의례의 거행과 의미

        임혜련 한국여성사학회 2022 여성과 역사 Vol.- No.36

        본고에서는 철종대 순원왕후에게 시행된 존호의례를 중심으로 선왕과대비에 대한 가상존호와 추상존호 의례를 검토하였다. 철종대 자주 시행된순원왕후에 대한 존숭은 철종을 즉위하도록 하고 정통성 확보를 위해 노력하였던 순원왕후에 대한 보은의 의미를 갖고 있었으며, 그간 정비된 존호의례가 반영된 것이었다. 왕과 왕비, 대비 등 왕실 구성원의 공덕을 칭송하는 존숭의례로 가장 대표적인 것은 존호를 올리는 상존호와 추상존호를 들 수 있다. 순조의 왕비로 헌종과 철종 2대에 걸쳐 수렴청정을 하였던 순원왕후에게는 11회에 걸쳐존호가 올려졌다. 철종 2년에서 4년 사이에 시행된 순원왕후에 대한 가상존호의례는 첫째, 상례적으로 선왕의 부묘 후 치러지는 의례이지만, 이보다먼저 순원왕후에 대한 칭경이 이루어졌다는 것, 둘째, 치사·전문·표리를 국왕이 친히 올리는 친상으로 거행되었던 것, 셋째, 왕비가 친히 치사와 표리를 올렸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순원왕후가 훙서한 철종 8년 이후 해를 거듭하며 비슷한 명분으로 존호추상이 이어졌으며, 순조의 묘호 개상 이후 철종이 주도적으로 발의하여 추상 존호를 시행하였다. 그리고 상례 중, 부묘 전 존호 추상을 시행하며 추상존호의 공간과 의식의 구성에 변화를 가져왔다. 순원왕후에 대한 존호 추상은 선례와 비교하였을 때 횟수나 빈도가 증가한 것이었고, 철종 재위 기간에 집중되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철종대 순원왕후에 대한 존호의례는 보은과 효의 의미를 담고 있으면서도 순조의 아들로 대통을 이은 것이라는 명분을 확인하며 스스로 정통성을강화하려는 철종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었다. 여기에 안동 김문등 외척과당대 집권층은 그들의 집권 기반이었던 순원왕후의 부재에도 정치기반을 공고히 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므로 순원왕후에 대한 존호의례는 철종과 안동 김문 등 집권층의 협치로 가능한 것이었다. 또한 국조속오례의등전례서에 편제된 존호의례 의식들이 그 이후 변화된 양상을 살펴보기에 좋은 사례가 될 수 있었다. 순원왕후의 존호의례는 상존호와 추상존호 의식이대체로 완비되었던 시기에 시행되었던 만큼 의례적인 면에서 존호의례를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선례가 되었다.

      • KCI등재

        世宗妃 昭憲王后의 위상 정립과 역할

        임혜련 (사)한국인물사연구회 2012 한국인물사연구 Vol.18 No.-

        It was necessary to get enhancement of royal authority and a national system. Necessary ritual was prepared to a Confucianism society. And a moral principle of a Confucianism was supplied. Taijong(太宗) dethroned a prince and he was accede to the throne SeJong. This decision was for a king to keep the political system that a spindle became. The Soheon Wanghu a queen was because of this. However, Taejong checked maternal relatives. Therefore, Simon(沈溫) of Soheon Wanghu's father had had his chips. Her families watched the damage. Sejong considered a confucianism ideology with bases of politics. He compiled a lot of books, and I got consciousness and a system. Sejong decided on the ritual that ritual for a queen, a queen participated in. Soheon Wanghu became again invest to a queen. Therefore, she was able to confirm a rank as the queen as soon as it was a unique formally wife of a king. Also, an event of the Royal Family was arrange a 'five ritual (五禮)' queen was superintended it and had status and the dignity. Soheon Wanghu was able to have thing of a queen Institutionally and practically. Sejong was spread a confucianism to the people. He made politics for the people for this. Also, He supplied the 'three bonds and the five rules in human relations (三綱五倫)' which ethics of a confucianism became. Soheon Wanghu attended to party for the aged, and she came to understand each other with people. Also, she was faithful to the reason that wives should protect in confucianism societies. This was that women bear a child very much, succeed to the Royal Family and that were not jealous of concubine and to respect parent's in law. Soheon Wanghu was faithful to an assignment to have been given. The Soheon Wanghu by this Sejong was acknowledged by the achievement. The representative queen that the people respected her was able to be.

      • KCI등재후보

        19세기 神貞王后 趙氏의 생애와 垂簾聽政

        임혜련 (사)한국인물사연구회 2008 한국인물사연구 Vol.10 No.-

        神貞王后 趙氏는 豊壤 趙氏 趙萬永의 딸로 순조의 세자였던 孝明世子의 부인이며, 憲宗의 어머니였다. 그녀는 대리청정 중이던 효명세자가 승하하여 왕비가 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아들 헌종이 왕이 되자 왕대비가 되었고, 철종대 대왕대비였던 純元王后가 죽자 대왕대비가 되었다. 그리고 철종이 후사왕을 정하지 못하고 사망하자 신정왕후는 고종을 즉위하도록 하고 4년간 垂簾聽政을 하였다. 신정왕후의 풍양 조씨는 19세기에 安東 金氏와 함께 정국을 주도하였던 외척가문이었다. 勢道政治는 국왕이 외척에게 다음 왕을 부탁하는 임무를 부여한 것을 의미한다. 이때의 외척 가문은 정국을 주도할 수 있었다. 正祖는 순조를 金祖淳에게 부탁하면서 세도정치를 열었다. 순조도 역시 헌종을 신정왕후의 숙부인 趙寅永에게 부탁하였다. 이로 인해 풍양 조씨는 가세가 번성하였다. 그렇지만 철종대 풍양 조씨와 안동 김씨의 대립이 심화되었으며, 그 가운데 풍양 조씨는 세력이 약화되었다. 수렴청정을 하였던 신정왕후는 고종을 자신과 남편인 효명세자의 아들로 입후하여 즉위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매우 적극적으로 수렴청정을 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것은 고종을 즉위시킨 그녀의 책임감과 안동 김씨 출신의 哲仁王后가 있었기 때문에 수렴청정을 하기 위해 적극적이었던 것이다. 신정왕후는 수렴청정기에 次對와 召見을 통해 정국을 운영하였다. 신정왕후는 차대에서 주도적으로 하교를 내려 정치에 참여하였다. 소견에서는 지방관이나 사신 이외에도 기존의 관료들과 국정을 운영하였다. 이를 통해 공적으로 정치에 참여하였으며, 주도적으로 정치를 이끌어 갔다. 신정왕후가 강조하였던 정책은 왕실의 권위를 강화하고 사회적 폐단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었다. 왕실의 권위를 강화하려는 신정왕후의 의지는 景福宮을 중건하고, 조선의 건국을 강조하였다. 한편 사회적 폐단이었던 과거의 폐단을 개선하고 탐관오리의 비리를 근절하였으며, 엄격한 법 적용을 강조하였다. 이것은 국가의 기강을 확립하려는 것이었다. 신정왕후의 정책의 많은 부분은 효명세자가 대리청정을 할 때 추진하였던 것을 계승한 것이다.

      • KCI등재

        병자호란 이후 인조의 왕위 수호와 왕실 정비

        임혜련 호서사학회 2023 역사와 담론 Vol.- No.105

        This research paper studies the actions of King Injo of Joseon to protect the throne. King Injo took the throne by restoration. So he had a problem with the king's legitimacy. During King Injo's reign, there was a rebellion to promote King Seonjo's princes as kings. King Injo surrendered in the Byeongja Horan. This led to the decline of King Injo's authority. These things made Injo anxious and his sense of crisis increased. King Injo tried to preserve the throne and establish the authority of the royal family. In that way he gave titles to his family. This confirmed their status as members of the royal family. Crown Prince Sohyeon, the eldest son of Injo, was taken hostage by the Qing Dynasty and returned. But he died soon after. King Injo changed the successor to his second son, Prince Bongrim. Then, he made his son ‘Wonson Jeongho(元孫定號)’ and decided as the next successor. In this way, Grand Prince Bongrim became the Crown Prince, and his son became the eldest son of the Crown Prince. King Injo arranged the ceremony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rown prince and the eldest son of the crown prince. The ceremony was newly created and recorded in Gukjosokoryeŭi(國朝續五禮儀) . By reorganizing the ceremony, it wa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officially confirming the change of successor. On the other hand, it was also an act that made it possible to know the sense of crisis of Injo. 본고는 반정으로 즉위한 인조가 지닌 정통성의 문제, 병자호란에서 항복 함으로써 닥친 국가적 위기와 불안감이 가중된 위기에서 인조가 자신의 왕위를 수호하고자 왕실 구성원의 지위를 확정하고, 의례를 정비하여 왕위계승 구도의 변경을 확인하였던 일련의 과정에 대한 연구이다. 선조의 손자이며 반정을 통해 즉위한 인조는 태생적으로 정통성 확보가 어려운 위치에 있었다. 인조 재위기에는 이러한 정통성에 도전하는 선조 왕자들을 추대하려는 역모가 발생하여 정국의 불안과 위기를 야기하였다. 여기에 병자호란에서 패배하고 항복을 한 인조는 국왕으로서 권위 추락은 물론 왕위에 대한 불안감이 위기로 다가왔다. 이러한 위기 속에 인조는 왕위를 수호하고, 왕실의 권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인조는 책봉과 봉작을 통해 왕실 구성원들의 지위를 확정하였다. 인조는 전후 궁핍하고 불안정한 상황에서도 계비를 간택하고 친영을 시행하였으며, 두 명의 후궁을 승품하여 봉작하였고, 3남 인평대군의 가례도 시행하였다. 인조는 소현세자가 귀국 이후 급서하자 봉림대군으로 왕통을 변경하여 세자로 책봉하였다. 그리고 ‘원손정호’를 통해 후의 현종을 세손으로 결정하여 왕위계승 구도 변경을 확정지었다. 인조는 책봉과 봉작을 시행하며 의례를 정비하였고, 이때 세자와 세손의 책봉례가 정비되었다. 봉림대군의 세자 책봉례는 그를 잠저에서 봉영해 오는 의절이 새로 마련되어 국조속오례의 에 전례화 되었다. 세손 책봉례는 세종대 단종이 세손으로 책봉된 이래 선례가 없었고, 당시 의주가 남아있지 않았다. 이런 사정으로 세손 책봉례는 세자 책봉 의절을 참고하되 그 위상을 약간 낮추는 방향으로 정비되었다. 인조는 책봉례 정비를 통해 후계구도 변경을 의례의 시행을 통해 표상화하고, 이를 확인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그렇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인조에게 위기감이 고조된 것과 연계하여 이루어진 책봉과 봉작은 오히려 그의 정통성과 위기의식을 가늠할 수 있게 하는 행보로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TV 사극이 만든 또 다른 조선시대의 왕비·대비- JTBC ‘인수대비’를 중심으로 -

        임혜련 한국여성사학회 2018 여성과 역사 Vol.0 No.29

        본고는 역사적 인물이나 사건을 소재로 하여 제작되어 방송된 TV 역사드라마, 곧 사극의 제작 현황을 알아보고, 이 중 주요 배경과 소재를 제공하였던 왕실·궁중을 배경으로 한 사극 속 왕실 여성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JTBC에서 방송된 ‘인수대비’를 통해 창작된 드라마 속 주인공과 역사 사이의 간극을 통해 TV 역사드라마가 가지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바람직한 사극 제작을 고민하기 위한 연구이다. TV 사극은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제작의 대상이 되는 시대도 확대되었다. 그럼에도 여전히 조선시대, 왕실을 배경으로 하여 왕실의 여성이 등장하는 드라마는 자주 제작되어왔다. 방송국 JTBC에서 제작한 ‘인수대비’는 사극에 주인공으로 많이 등장한 인수대비를 전면에 내세웠으며, 대왕대비 정희왕후, 왕비 폐비 윤씨를 주인공으로 하여 권력에 대한 야망을 가진 인수대비, 지성은 부족하지만 후덕한 정희왕후, 미천한 출신에서 왕비가 되었다가 몰락한 폐비 윤씨 캐릭터를 만들었다. 그러나 결국 이러한 캐릭터 설정 및 드라마의 내용은 기본적인 역사적 사실과는 다르게 제작되었고, 결국 왕실 여성에 대한 고정된 인식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TV 사극은 창작물이지만 그 영향력은 상당히 크기 때문에 책임감을 가지고 제작되어야 한다. 역사드라마가 역사적 사실을 정확히 고증하여서 제작하라는 것은 아니나, 그 배경과 인물은 결국 실제 우리 역사였으므로 역사와의 사이에서 신중하게 접근해야한다. 조선시대 왕실의 여성들은 역사와 드라마 사이에서 또 다른 인물로 창작되어왔다. 사극은 역사학자들이 하기에 부족한 역사대중화에 크게 기여하여왔다. 그러나 어떠한 드라마라도 우리의 역사와 그 속에 활동한 인물들을 바탕으로 제작되는 만큼 좀 더 역사와의 사이에서 책임감을 가지고 역사드라마가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There has been a great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TV historical dramas. Most of them are dramas which contain women characters from royal familie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cable TV network JTBC produced 'Queen Dowager Insu' who has been commonly featured as a leading character in many historical dramas. In this particular version, Queen Dowager Insu is depicted as a cold-hearted, power-hungry figure, while Queen Jeonghee is rather less intelligent but generous enough to be wife to King Sejo, and Queen Yoon, mother of Prince Yeonsangun, is from a humble family and ultimately deposed. Represented in such a way that was historically inaccurate, the drama 'Queen Dowager Insu' ultimately reproduced the conventional stereotypes about royal women. TV historical dramas are creative works with great influence on the public, and therefore should be produced with responsibility. While historical dramas need not only ascribe to exact historical facts, a more cautious approach that strikes a proper balance between creativity and history is necessary in treating actual contexts and figures of history, especially since TV historical drama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popular history.

      • KCI등재

        世宗妃 昭憲王后의 위상 정립과 역할

        임혜련 한국인물사연구소 2012 한국인물사연구 Vol.18 No.-

        It was necessary to get enhancement of royal authority and a national system. Necessary ritual was prepared to a Confucianism society. And a moral principle of a Confucianism was supplied. Taijong(太宗) dethroned a prince and he was accede to the throne SeJong. This decision was for a king to keep the political system that a spindle became. The Soheon Wanghu a queen was because of this. However, Taejong checked maternal relatives. Therefore, Simon(沈溫) of Soheon Wanghu’s father had had his chips. Her families watched the damage. Sejong considered a confucianism ideology with bases of politics. He compiled a lot of books, and I got consciousness and a system. Sejong decided on the ritual that ritual for a queen, a queen participated in. Soheon Wanghu became again invest to a queen. Therefore, she was able to confirm a rank as the queen as soon as it was a unique formally wife of a king. Also, an event of the Royal Family was arrange a ‘five ritual (五禮)’ queen was superintended it and had status and the dignity. Soheon Wanghu was able to have thing of a queen Institutionally and practically. Sejong was spread a confucianism to the people. He made politics for the people for this. Also, He supplied the ‘three bonds and the five rules in human relations (三綱五倫)’ which ethics of a confucianism became. Soheon Wanghu attended to party for the aged, and she came to understand each other with people. Also, she was faithful to the reason that wives should protect in confucianism societies. This was that women bear a child very much, succeed to the Royal Family and that were not jealous of concubine and to respect parent’s in law. Soheon Wanghu was faithful to an assignment to have been given. The Soheon Wanghu by this Sejong was acknowledged by the achievement. The representative queen that the people respected her was able to b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