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통합형 ebXML 문서 편집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임지훈(Jee-Hoon Lim),김창수(Chang-Su Kim),정회경(Soo-Young Oh),오수영(Moon-Young Chung),정문영(Hoe-Kyung Jung) 한국정보과학회 200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A

        인터넷/웹 비즈니스의 확산과 더불어, 기업간(B2B) 거래 처리에도 혁명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의 이면에는 해결해야 할 많은 기술적인 제약이 내포되어 있다. 무엇보다도, 전자적인 기업간 거래 처리를 위해서는 컴퓨터 시스템간에 구조화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공동의 언어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런 공동의 언어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UN/CEFACT와 OASIS에서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기반으로 한 ebXML(electronic business XML)을 차세대 e-비즈니스의 표준으로 제정하고 공동 개발하기로 함에 따라 전서계 단일 전자상거래시장 구축이 XML 기반으로 이루어 질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ebXML 도큐먼트 편집을 위해 XML을 기반으로 한 e-business 문서 생성을 위한 XML 편집기, XML DTD 생성기, XML Schema를 작성하기 위한 Schema 편집기 등의 통합 ebXML 문서 편집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 하였다.

      • KCI등재

        팬데믹 이후 소설에서의 변화에 대한 예비적 고찰 -코로나 이후 소설에서 나타나는 변화의 양상을 중심으로-

        임지훈 ( Lim Jee Hoon )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20 한국언어문화 Vol.0 No.73

        본고는 코로나로 인한 팬데믹 전후에 나타난 전염병 서사를 유형화하고 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이러한 비교 작업을 통해 팬데믹이 어떤 방식으로 서사에 기입되고 있는가에 대해 고찰할 것이다. 이를 위해 코로나 이전의 재난 서사의 예시로 정유정의 ≪28≫과 편혜영의 ≪재와 빨강≫을 분석하고, 여기에서 나타나는 전염병의 위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두 소설에서 전염병은 현실에 내재한 모순과 적대를 드러내는 계기이자 사회에 내재한 불안을 형상화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코로나로 인한 팬데믹 이후의 소설 가운데에서는 ≪쓰지 않을 이야기≫와 ≪팬데믹≫을 분석하였다. 두 소설에서도 전염병은 마찬가지로 장치로 활용되지만, 단순히 소설적 장치로써 머무는 것이 아니라 현실에 이미 일어난 사건으로 사유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특히 ≪쓰지 않을 이야기≫에서는 이로 인해 이전과 동일한 서사 양식이 다르게 독해될 가능성이 엿보이며, ≪팬데믹≫에서는 이전과 동일한 서사 양식이 현실의 변화로 인해 상상력의 곤궁을 엿보게 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이런 점에서 살펴볼 때 코로나로 인한 팬데믹 이후 발생한 변화는 첫째로 소설을 바라보는 독자의 시점에 있으며, 둘째로 변화한 현실을 인정할 때 나타나는 소설적 상상력의 곤궁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categorizes and compares epidemic narratives that appeared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caused by corona. As novels before the pandemic, analyzed Jung Yoo-jung’s <28> and Pyun Hye-young’s Ash and Red. As novels after the pandemic, analyzed < Story Not to Write > and < Pandamic >. In <28> and < Ash and Red >, the epidemic appears as an opportunity to reveal problems in reality. It also embodies the anxiety inherent in reality. The epidemic is also used as a novel device in ≪Story Not To Write≫ and ≪Pandamic≫. However, in this case, the epidemic is thought to have already occurred in reality. Therefore, the aspect of the novel also change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ame narrative style will be read differently in < Story Not to Write >. In Pandemic, the same narrative style as before is read as a difficulty of imagination. Therefore, the changes that have occurred after the pandemic are first at the reader’s point of view.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it is a difficulty of fictional imagination that appears when acknowledging the changed reality.

      • KCI등재

        기형도 시의 비극성과 부정성 연구

        임지훈(Lim Jee Ho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2

        본고는 그간 기형도의 시에 대해 제시되어온 ‘도저한 부정성’과 ‘비극성’이라는 키워드에 집중하여, 그것의 의미에 대해 상세한 분석을 시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형도의 유고 시집이 된 『입 속의 검은 잎』의 해설에서 김현이 제시한 두 개의 키워드는 그간 기형도 연구에 있어 중심축으로 활용되어왔다. 대개의 경우 이 부정성과 비극성은 시인의 실제 삶에 기인하여 해석되거나, 시집 내의 타 작품과의 상호텍스트성에 기인하여 해석된 바 있다. 본고는 기형도의 시에서 자주 활용되는 대명사들에 주목하여 부정성의 원인이 부재 그 자체일 수 있음을 논증하고, 이러한 부재를 부정성과 비극성의 원인으로 해석해보고자 한다. 기형도의 유고시집 『입 속의 검은 잎』에 실려 있는 시는 많은 경우 대명사를 통해 특정한 인물, 장소, 시간에 대해 제시한 후, 그와 관련될 수 있는 것들에 대한 상세한 묘사가 이어지고 종래에는 잠언과도 같은 직접적 언술을 통해 시를 종결하는 구조적 특성을 보인다. 이와 같은 구조 속에서 처음에 제시된 대명사는 이후 제시되는 화자의 직접적인 내면 진술의 원인으로 상정되지만, 그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더 이상 밝혀지지 않는다. 그럼에도 화자는 이렇게 대명사로 제시되는 특정한 무언가로 인한 고통을 호소하며, 상세한 묘사 및 진술 속에 부정적인 어감의 수식어들을 덧붙임으로써 비관론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본고는 화자가 경험하는 고통이란, 그 대명사가 갖는 특정성으로부터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대명사의 자리의 ‘비어있음’, 구체성의 부재로 인해 발생한다고 가정하여, 그간의 연구에서 제시되어온 ‘도저한 부정성’이란 이처럼 원인의 부재, 인과의 실종과 관련된 것임을 논증하고자 한다. 특정한 인과가 존재할 때 등장하게 되는 부정성이란 인과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상쇄될 수 있으나, 그 인과의 자리가 감춰져 있을 때 문제는 해결의 실마리를 잃어버리고 만다. 더 큰 문제는 이렇게 구체성이 실종되어 있는 상황에서, 화자에게 가해지는 강요된 선택이다. 원인을 알 수 없으니, 선택의 결과 또한 예견할 수 없는 상황에서, 화자에게는 ‘포기’와 ‘무너짐’이라는 양자택일의 경로가 제시된다. 결과를 알 수 없기에 섣불리 선택할 수 없는 화자는 이 순간에 ‘울음’이라는 유보적 제스처를 취하지만, 이 또한 결국에는 무너짐으로 귀결된다. 이처럼 자신이 선택할 수도, 그 결과를 예견할 수도 없다는 특징은 다른 시인들의 세계관과 구별되는 비극적 세계관을 낳는다. 본고는 이러한 연구를 통해 그간 기형도에 관한 연구에서 제시되어온 부정성과 비극성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paper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ognition’s license examination for practical writing in extra writing programs. This examination was designed not only to improve students’ writing skills but also to equip them with business skills to meet social needs. To help improve students’ business skills in a logical and creative wa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specific questions in this examination. In the process, we developed the necessary communication skills. The efficiency of the business as well as personal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also increased. In addition, we logically and accurately understood the creative and narrative comprehension in this examination. The examination was subjective, and it included important principle- based questions suitable for the conditions described in the answers. Students understood the different forms of writing and how to submit an article.

      • 한국 소설에서 나타나는 ‘가난’의 의미

        임지훈(Jee-Hoon Lim) 한양대학교 유럽-아프리카연구소 2024 글로벌 거버넌스와 문화 Vol.4 No.1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the representation of 'poverty' in Korean novels has changed. To do so, analyzed Choi Eun-mi's 『We face each other here』 from 2021, Lee Seo-soo's 『Help me Sister』 from 2022, and Jang Eun-jin's 「Isolated rooms」 from 2020. In the works published in the 2020s, the figure of 'poverty' is not simply an individual problem. In Choi Eunmi's work, the coronavirus pandemic and women's issues come to the fore, in Lee Seo-soo's work, the reality of gig labor, and in Jang Eun-jin's work, the problem of poverty businesses. Each of these issues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solved through individual efforts, but rather encompasses structural problems in society. This means that the problem of 'poverty' in modern society cannot be reduced to an individual problem, but requires social improvement efforts for each problem. In that sense, the representation of 'poverty' in recent novels can be said to paradoxically suggest the direction in which Korean society should move forward. 본고는 한국 소설에서 나타나는 ‘가난’의 양상이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21년작 최은미의 『우리 여기 마주』, 2022년작 이서수의 『헬프미 시스터』, 2020년작 장은진의 「외진 곳」을 분석하였다. 2020년대를 기점으로 발표된 작품들에서 나타나는 ‘가난’의 형상은 단순히 개인의 문제를 의미하지 않는다. 최은미의 작품에서는 코로나 사태와 여성 문제가 돌출되었으며, 이서수의 작품에서는 긱 노동의 현실이, 장은진의 작품에서는 빈곤 비즈니스의 문제가 구체적으로 묘사되었다. 각각의 문제는 개인의 노력 여하에 의해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 사회의 구조적 문제를 포괄하고 있다. 이는 현대 사회에서 ‘가난’의 문제가 개인의 문제로 축소될 수 없고, 각각의 문제에 대한 사회적 개선의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최근에 발표된 소설에서 나타나는 ‘가난’의 형상은 한국 사회가 나아가기 위한 방향을 역설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할 수 있다.

      • KCI등재

        전처리 방법에 따른 홍게(Chionoecetes japonicus) 어간장의 제조 및 품질변화

        임지훈 ( Ji Hoon Lim ),정지희 ( Jee Hee Jeong ),정민정 ( Min Jung Jeong ),정인학 ( In Hak Jeong ),김병목 ( Byoung Mok Kim ) 한국수산과학회 2015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8 No.3

        We explored preprocessing-mediated quality changes in red snow crab fish sauce. A control (C) group and groups treated with autolysis (A), boiling (B), enzymatic hydrolysis (E), and addition of Aspergillus oryzae (K) were formed. The titratable acidity of the K group increased with storage time, whereas that of groups C, A, B, and E decreased. The total and amino nitrogen contents initially increased on storage of all samples, but decreased in later periods. The total plate count (TPC) of the K group was initially 5.26 log CFU/mL and increased to 7.28 log CFU/mL at 3 months of storage. The TPCs of the C, A, B, and E groups were initially <5.00 log CFU/mL and decreased with storage. The lactic acid bacteria count of the K group was initially 4.80 log CFU/mL and increased until month 5 to approximately 6.06 log CFU/mL. The K group scored higher in terms of sensory attributes than the other groups and maintained marketable scores for all relevant properties (color, flavor, off-odor, and overall acceptance). Furthermore, the free amino acid content of the K group was the highest among all groups at approximately 3,000 mg per 100 g. These results suggest that K treatment may be beneficial in the preparation of fermented fish sauce.

      • KCI등재

        강원도 시판 막장제품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및 생리활성 조사

        김병목(Byoung-Mok Kim),정지희(Jee-Hee Jung),임지훈(Ji-Hoon Lim),정민정(Min-Jeong Jung),정재형(Jae-Whung Jeong),최용석(Yong-Suck Choi),심재만(Jea-Man Sim),정인학(In-Hak Jeong),김영명(Young-Myou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6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에서 생산되는 전통 막장제품(MJ) 12종을 수집하여 이화학적 품질특성 및 생리활성 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pH는 4.43~5.69로 나타났고 MJ5가 가장 높았으며, 염도는 11.1~16.9%로 분포되어 있었고 MJ3이 가장 높았다. 명도는 26.2~36.9, 적색도는 3.9~11.5, 황색도는 6.5~16.6으로 분포되어 있어 제품들 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제품에 따라 342.41~605.92 mg%로 나타났고 MJ2가 가장 높았으며,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1,175.3~4,657.7 mg%로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특히 MJ11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4,657.7 mg%로 제품들중 가장 높았고,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lanine, lysine, leucine, isoleucine이었으며, 제품에 따라 GABA 함량이 높게(MJ12, MJ8, MJ4) 나타나기도 하였다. 지방산 총량은 1,598.6~2,874.4 mg%로 MJ10이 가장 높았고, 주요 지방산으로는 lin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nic acid, oleic acid, stearic acid였으며, 오메가 6지방산이며 필수지방산인 linoleic acid가 지방산 총량 대비 약 37.7~46.7%를 차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제품에 따라 401.48~746.67 μg GAE/mL로 분포되어 있었고, MJ11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및 ABTS 라디칼소거능은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MJ11, MJ8 및 MJ4가 가장 높았고, SOD 유사 활성은 MJ12 및 MJ2가 가장 높았다. 대장암세포주에 대한 세포 성장 억제 효과는 MJ1과 MJ12가 가장 높았고, 위암세포주에 대해서는 MJ3과 MJ5가, 유방암세포주에 대해서는 MJ5가 가장 높았다. 간세포에 대한 중성지질 축적 억제 효과는 MJ7이 가장 우수하였고, 항고혈압 효과는 MJ11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아미노태질소 함량과 유리아미노산 총량이 높은 막장제품뿐만 아니라, 항산화, 항암, 항고혈압 등의 효과를 보이는 막장제품들의 주요 원부재료는 메주, 보리, 고추씨 등이었으며 (자료 미기입), 이들 원부재료의 배합비에 따라 함량과 효능이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다. 향후 막장제품의 표준 제조방법 및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상기 결과들을 기초로 하여 막장 원부료의 정밀분석, 제조원료에 따른 제품들 간의 상관분석 등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Gangwon-do endemic Makjang (MJ) products (12 types). The pH levels of all samples were in the range of 4.43 to 5.69, and MJ5 showed the highest pH (5.69). The salinities of all samples ranged from 11.1% to 16.9%. Hunter color values for L (lightness), a (redness), and b (yellowness) ranged from 26.2 to 36.9, 3.9 to 11.5, and 6.5 to 16.6, respectively. The amino nitrogen content of MJ2 was highest, whereas the total content of free amino acids of MJ11 (4,657.7 mg%) was highest. Total fatty acid contents of all samples ranged from 1,598.6 mg% to 2,874.4 mg%, with MJ10 showing the highest fatty acid content.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ic compounds ranged from 401.48 to 746.67 μg tannic acid equivalent/mL, with MJ11 showing the highest content.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and 2,2"-azino- bis(3-ethylbenzothio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MJ11, MJ8, and MJ4 were 51.30% and 82.5%, 41.29% and 67.0%, and 49.88% and 87.7%, respectively. MJ12 showed the strongest growth inhibitory effect on lung cancer A549 cells, whereas MJ5 showed the strongest growth inhibitory effect on AGS gastric cancer cell and MCF-7 breast cancer cell. MJ7 showed greater lipid accumulation inhibitory activity in HepG2 cells than the others. ACE inhibitory activity of MJ11 was the highest among the samp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