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행정입법 통제를 위한 국회법 개정안 파동의 헌법적 함의

        임지봉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5 의정연구 Vol.21 No.3

        This year, Korean Congress tried to revise Article 98-2 of Congress Act and reinforce the control power of Korean Congress against the administrative regulation. The bill passed the plenary session of the Congress but the President exercised veto power against the bill alleging that the bill was against the Constitution.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whether the bill is against the Constitution as the President alleged it and analyzing the case in the perspective of constitutional law. To achieve the aim, this paper will overview the history of congressional review system of administrative regulation in Korea at first, and will examine whether the bill is against the Constitution violating the separation of power principle provided in Korean Constitutional Law. It will also examine the congressional review system of administrative regulation in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in the United Kingdom in the comparative law perspective. Finally, based on the examinations, this paper will explore the desirable reform measures in congressional review system of administrative regulation in Korea. 국회법 제98조의2 제3항은 행정부의 행정입법에 대한 국회의 통제장치를 규정하고 있다. 이번에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으나 대통령에 의해 거부권이 행사된 국회법 개정안은 국회의 행정입법권 통제 강화를 위해 “통보”를 “수정·변경 요구”로 바꾸고 “처리계획과 그 결과 보고”를 “처리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는 것으로 바꾸어 표현상 행정입법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국회법 제98조의2 제3항 개정 법안이 행정부의 주장대로 위헌인지 여부를 검토함으로써 국회법 개정안 파동을 헌법적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위해 우선 우리나라에서 국회의 행정입법권 통제제도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국회법 개정안의 헌법 위반 여부를 행정부의 행정입법 제정권을 침해해 삼권분립원칙 위반인지의 여부와 법원의 행정입법에 대한 사법심사권을 침해해 삼권분립원칙 위반인지의 여부를 중심으로 생각해 본다. 또한 영국과 미국 등 선진 외국의 행정입법 통제제도들의 비교를 통해 행정입법 통제의 바람직한 개선방안에 대해 모색해 본다.

      • KCI등재

        김명수 대법원 2년의 평가: 판결의 측면에서

        임지봉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論叢 Vol.46 No.-

        The precedents of the Supreme Court become the important criteria when the judges in lower courts make decisions of their cases. Therefore, who are sitting on the Supreme Court bench is a very important issue in the whole judiciary. As of September 25th in 2019, the Chief Justice Myoning-soo Kim has led Korean Supreme Court for two years. During the years, six new Justices have been appointed by the President Moon recommended by Chief Justice Kim. Adding two Justices who were appointed by President Moon recommended by the former Chief Justice Yang, eight new Justices have been appointed to the bench by President Moon among the thirteen Justices.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the achievements and the limits of the Kim Court by analyzing the major cases of Korean Supreme Court for the two years. Based on these, it also explores the causes of the change in Kim Court focusing on the diversity of the Supreme Court bench. 대법원의 판례는 하급심 법원들에게 유사사건에 대한 재판에서 중요한 판단의 기준이 된다. 이런 이유로 대법원의 판례 형성에 참여하는 대법관들이 누구이며 그 인적 구성이 어떠한가에 따라 대법원 판례가 달라지기 때문에 대법관들을 제대로 인선하는 것은 사법부 전체를 통해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된다. 지난 9월 25일을 기준으로 봤을 때, 김명수 대법원장이 새 대법원장에 임명되어 ‘김명수 대법원’을 이끈 지도 2년이 되었다. 그동안 김명수 대법원장의 제청을 받아 6명의 새 대법관들이 문재인 대통령에 의해 대법관으로 임명되었고, 양승태 대법원장의 임기 말에 양승태 대법원장의 제청으로 문재인 대통령이 임명한 두 명의 대법관을 합치면 현재 ‘김명수 대법원’에는 13명의 대법관들 중에 문재인 대통령이 임명한 8명의 새 대법관들이 재판업무에 종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판결의 측면에서 지난 2년간의 ‘김명수 대법원’을 돌아보고 성과와 한계 및 그 원인을 진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지난 2년간의 대법원 판결 중 각 영역별로 중요한 5개의 판결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시도한다. 그 이후에 ‘김명수 대법원’의 판결에서 변화가 감지되는 원인에 대해 규명해본다.

      • KCI등재
      • 사건배당과 법관 승진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임지봉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서강법학 Vol.11 No.1

        The Justice Shin's violation of judicial independence concerned with the so-called Candle Rally cases had taken place last year and the judges made a public disclosure of it last February. It revealed many problems in Korean judiciary and Korean people came to know that the independence of the judges had been threatened by judiciary itself that had become more and more bureaucratic, In addition, Korean people came to know that their constitutional right to have a fair trial could be intruded upon in some cases. The judicial independence could be a constitutional device to realize the constitutional light of Korean people to have a fair trial. From this standpoint of view, the malicious intervention in case by Justice Shin when he was a head of Seoul District Court as well as his arbitrary and unfair case distribution at that time could be a intrusion upon the constitutional right of Korean people to have a fair trial. This paper examines the whole process where justice Shin intervened in the cases regarding Candle Rally through the reports by media at first. Then it will focus on the problems in case distribution system in Korean judiciary and explore its reform measures. After that, this paper will delve into the problems in judicial personnel system which made possible the Justice Shin's violation of judicial independence focusing on the judge promotion system. And then, it will propose some reform measures to solve the problems from the bureaucracy in Korean judiciary.

      • KCI등재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법안들에 대한 입법평론

        임지봉 한국입법학회 2018 입법학연구 Vol.15 No.2

        우리나라에서는 오래 전부터 고위 공직자의 직무 관련 부정부패사건에 대한 검찰의 수사와 기소권 행사를 두고 정치적 중립성 시비가 끊이지 않았고, 전・현직 검사에 대한 수사와 기소에 있어 ‘제식구 감싸기’식 봐주기 수사도 이어졌다. 이로인해 검찰권력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은 커졌고 이제 절대 다수의 국민들이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설치를 요구하고 있다. 더욱이 지난 대선에서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정의당과 바른정당의 후보들도 공수처 설치를 대선공약으로 내걸었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지금 국회에 제출되어 있는 주요 공수처 법안들에 대한 입법평가를통해 바람직한 공수처 법안은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를 규명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우선 공수처법 제정의 필요성이 제기된 입법적 배경과 그 동안 제15대 국회부터 현 20대 국회에 걸치는 공수처법안들의 입법 경과를 살펴본다. 그리고 박범계-이용주 의원안, 참여연대 입법청원안, 법무・검찰개혁위원회 권고안, 법무부의 자체 법안들을 주요 내용들을 분석하고 비교한다. 끝으로 이 공수처 법안들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함께 공수처 법안들의 개선 방향을 모색해 본다. There have been adverse criticisms on the political neutrality of the exercise of investigation and indictment power by the Prosecutions Office against the high-ranking officials in Korea. Due to this, the distrust against the Prosecutions Office among Korean people has been expanded. Now, according to a public survey, about 82% of Korean people wants to have the High-Ranking Officials Corruption Investigation Agency separate from the Prosecutions Office.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the desirable contents of the High-Ranking Officials Corruption Investigation Agency Act by the legislative review of the concerned bills which are submitted in Congress now. To achieve the aim, this paper examines the legislative background and progress of the High-Ranking Officials Corruption Investigation Agency Bills from the 15th Congress to the current 20th Congress at first. Then, it analyzes and compares the four major bills on the High-Ranking Officials Corruption Investigation Agency. Finally, this paper will evaluate the bills and explore their desirable reform directions.

      • KCI등재
      • KCI등재

        법관인사제도의 바람직한 개선방안 - 관련 법원조직법 개정안들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임지봉 한국입법학회 2021 입법학연구 Vol.18 No.1

        많은 국민들은 법관인사제도를 일반 국민의 일상생활과는 무관한 법원 내부의 문제로 알고 있지만, 사실은 법관인사제도야말로 국민의 ‘신속한 재판을 받을 권 리’를 비롯한 재판청구권의 실현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고, ‘법관의 독립’이 보장된 법원에 의해 공정한 재판을 받기 위해서도 국민들이 더 많은 관심을 가져 야 할 중요한 사법제도이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우리 법관인사제도의 현황과 문 제점을 분석하고 그 단기적, 중·장기적 개선방안들을 제시하여 국민의 재판청구권 실현을 극대화할 수 있는 법관인사제도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사법 의 민주성’과 ‘사법의 독립성,’ 권력분립원리, 사법권 독립과 사법적극주의 등 법관 인사제도와 관련된 여러 헌법적 원리들을 살펴보고, 이 헌법원리들의 관점에서 현행 법관인사제도의 현황과 문제점들을 분석해본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진단 위 에 그 단기적 개선방안으로 법관인사위원회 구성 개선을 위한 최기상 의원 대표발의 법안, 사건배당의 개선방안, 지방법원·고등법원 판사에 대한 이원적 인사시스템 확립, 법원행정처 폐지 등의 쟁점들을 검토해본다. 중·장기적 개선방안으로는 사법 행정위원회 제도와 그 관련 법안으로 국회에 제출된 이탄희 의원 대표발의 법안을 검토해본다. 또한 끝으로 법관인사제도의 근본적 해결책으로서 법원과 법관 수의 증원 필요성을 고민해본다. Many people think that the judicial personnel system is a matter of internal affairs of the judiciary separate from the daily lives of ordinary persons. However, the judicial personnel system is really important for th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a trial prescribed in Art.27 Sec.3 of Korean Constitutional Law.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s and the problems of the current judicial personnel system and suggesting the short-term and long-term reform measures to maximize th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a trial. To achieve the aim, this paper will overview the concerned constitutional principles including judicial accountability, judicial independence, separation of powers and judicial activism at first, and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s and the problems of the current judicial personnel system in the perspective of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Based on the analyses, this paper will examine the revised bills of Judicial Organic Act on the Judicial Personnel Committee introduced by the Congressman Ki-sang Choi as a short-term reform measure, and the revised bill of Judicial Organic Act on the Judicial Council introduced by the Congressman Tan-hee Lee as a long-term reform meas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