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부 공진기 레이저 구현을 위한 평면도파로 격자 제작

        임종훈,임군,이경식,송정환,조재걸,정선태,오윤경,Lim, Jong-Hoon,Lim, Gun,Lee, Kyung-Shik,Song, Jeong-Hwan,Cho, Jae-Geol,Jung, Sun-Tae,Oh, Yun-Kyung 한국광학회 2004 한국광학회지 Vol.15 No.6

        평면도파로 (Planar Lightwave Circuits)를 수소처리한 후 격자를 제작하였다. 성장특성 분석 결과 격자는 거듭제곱식 (power law)에 따라서 성장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격자의 성장특성을 이용하여 외부 공진기 레이저용 평면도파로 격자를 설계하고 제작한 결과 예상치와 거의 일치하는 격자특성을 얻을 수 있었고, 제작된 격자로 구현된 외부 공진기 레이저에서 ∼40dB의 인접모드억압비(side mode suppression ratio)를 갖는 단일모드 발진을 관측할 수 있었다. Bragg gratings were fabricated in Ge-doped silica planar lightwave circuits (PLC) for different writing conditions to study the growth characteristics. The refractive index modulation of the gratings grew in the PLC with total fluence F according to the power law $\Delta$n=A $F^{B}$.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C gratings formed for external cavity lasers match closely to those predicted by the power law. The oscillation spectra of the FP-LD with a Bragg grating grown in the PLC waveguide were also presented.d.

      • KCI등재

        소아에서 플러스옵틱스 에스09로 측정한 굴절력의 신뢰성과 유용성

        임종훈,배지현,신승주,Jong Hoon Lim,Gi Hyun Bae,Seong Joo Shin 대한안과학회 2014 대한안과학회지 Vol.55 No.7

        <b>Purpose:</b> To compare the refractive measurements obtained using a photorefractor (PlusoptiX S09, PlusoptiX GmbH, Germany) with those obtained using cycloplegic refraction in children. <b>Methods:</b> We assessed the refractive status of 268 eyes in 134 children. The values acquired via photorefraction with a PlusoptiX S09 device we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by cycloplegic retinoscopy. Hyperopia (≥+3.5 D), myopia (≥-3.0 D), with the rule or against the rule astigmatism (≥-1.5 D), and oblique astigmatism (≥-1.0 D) were set as diagnostic criteria for refractive amblyopia risk factors (RARFs). The difference in the detection of RARFs by the two methods was the main outcome measure. <b>Results:</b> The average spherical refractive power was -0.81 ± 1.68 D for PlusoptiX S09 versus -0.26 ± 2.00 D for cycloplegic retinoscopy (average difference -0.54 ± 0.61 D; <em>p</em> < 0.001). The average spherical equivalent was -1.20 ± 1.62 D for PlusoptiX S09 versus -0.64 ± 1.94 D for cycloplegic retinoscopy (average difference -0.56 ± 0.62 D; <em>p</em> < 0.001). The average cylinder power was -0.79 ± 0.93 D for PlusoptiX S09 versus -0.76 ± 0.94 D for cycloplegic retinoscopy (average difference -0.03 ± 0.33 D; <em>p</em> = 0.135). Even though cycloplegic retinoscopy is considered the gold standar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detecting RARFs with the PlusoptiX S09 were 88.0% and 96.3%, respectively. <b>Conclusions:</b> PlusoptiX S09 is a relatively useful method for detecting RARFs, but the device tends toward myopic shift compared to cycloplegic refraction, and hyperopia is underestimated.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7):1071-1076

      • KCI등재

        빛간섭단층촬영에 따른 당뇨황반부종의 형태학적 분류와 치료 후 임상경과

        임종훈,김인혁,배지현,김하경,배소현,Jong Hoon Lim,In Hyuk Kim,Gi Hyun Bae,Ha Kyoung Kim,So Hyun Bae 대한안과학회 2014 대한안과학회지 Vol.55 No.2

        Purpose: To analyze the optical coherence tomographic patterns and clinical courses of patients with diabetic macular edema (DME) after treatment. Methods: The charts of 65 patients with DME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Baseline optical coherence tomographic patterns of DME were categorized into the 4 groups: group 1 (9 eyes, 13.8%) showed diffuse retinal thickening, group 2 (21 eyes, 32.3%) had cystoid macular edema (CME), group 3 (13 eyes, 20.0%) demonstrated serous retinal detachment (SRD) and group 4 (22 eyes, 33.9%) had combined CME and SRD. Treatments for DME included intravitreal bevacizumab/ triamcinolone injection, focal laser photocoagulation and vitrectomy. During 12 months of follow-up, changes in the patterns of DME were assessed. Additionally, the central retinal thickness (CRT) and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were measured at baseline, 6 and 12 months. Results: During 12 months of follow-up, 21 eyes (32.3%) showed changes in the DME pattern: 2 eyes (22.2%) in group 1, 3 (14.3%) in group 2, 4 (30.8%) in group 3 and 12 (54.5%) in group 4. A significantly greater proportion of eyes with changes in DME pattern underwent vitrectomy compared with those without changes in DME pattern (p = 0.01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RT among the 4 groups; group 4 demonstrated the largest CRT at baseline, 6 and 12 months (p < 0.001, 0.002 and 0.029, respectively).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CVA among the 4 groups at baseline, 6 or 12 months (p = 0.879, 0.375 and 0.246, respectively). Conclusions: Clinical courses varied according to the tomographic patterns of DME after treatment, and the poorest anatomic outcome was found in group 4. Change in tomographic pattern of DME was correlated with the treatment of DME, which might suggest a poorer outcome in those patients than in the patients who maintained their DME patterns.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2):222-229

      • KCI등재

        미국의 대통령제에 관한 연구

        임종훈(Jong-Hoon Lim) 한국헌법학회 2017 憲法學硏究 Vol.23 No.4

        우리나라의 대통령제 정부형태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시작된 개헌논의와 관련하여, 대통령의 단임 규정 등 대통령제의 구체적 내용을 어떻게 설계하는 것이 적절한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미국의 대통령제 운영에 대한 경험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미국에서 대통령제 정부형태가 200여 년 동안 기본 틀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는 것은 대통령 정부형태 자체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라는것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우리나라에서도 대통령제가 성공하기위해서는, 미국의 예를 참고하여, 지방분권을 강화하고, 국회의원들의 자율성을 확보하여 국회와 행정부간의 견제와 균형이 명실상부하게 루어지도록 하며, 대통령에게 집중된 많은 권한을 국회 등에 분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우리나라 헌법은 대통령의 임기를 5년 단임으로 하고 있는데(헌법 제70조), 이것이 여러 가지 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주장과 관련하여, 미국에서도 4년 중임 제도를 6년 단임제 등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수많은 시도가 1820년대부 터 1980년대까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현행 4년 중임제도가 수정헌법 제22조로 채택된 이후 유지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비록 한국과 미국 간에 존재할 수있는 정치문화의 차이 등에도 불구하고, 대통령제 정부형태에서는 4년 중임제가 상대적으로 합리적인 제도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미국에서 대통령 임기와 관련하여 4년 중임제에 대한 대안으로 단임제를 검토하면서, 5년 단임제보다는 6년 단임제가 주로 검토되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에서도 굳이 단임제를 계속 채택한다면, 5년 단임제보다는 6년 단임제가 보 다 바람직하다. 6년 단임제 하에서는 12년 마다 국회의원(4년 임기) 선거와 동시에 대통령선거가 실시될 수 있으나, 5년 단임제 하에서는 20년 마다 동시 선거가 가능하게 됨에 따라 6년 단임제 하에서 상대적으로 분점정부의 가능성을 축소시 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지극히 상대적이기는 하나, 6년 단임제가 5년 단임제보다 행정부의 안정성과 정책의 지속성을 확보해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넷째, 조약의 체결ㆍ비준에 대한 상원의 동의권을 완화 내지 변경하기 위해서 많은 개헌시도가 있었으나, 이 또한 성공하지 못한 채, 행정협정을 활용하거나 신속처리 제도(Fast Track)를 활용함으로써 행정부가 조약 체결에 관하여 입지를 확대한 것은 헌법 개정 없이 의회와 행정부 간의 갈등을 해결하였다는 점에서 참고할만하다. 마지막으로, 미국의 수정헌법 제25조는 부통령이 대통령의 권한을 대행해야하는 ‘대통령의 직무수행불능상태’에 대한 판단절차와 판단권자가 상당히 자세하게 규정하고 있는데(미국헌법 수정 제25조 제3항 및 제4항) 비하여, 우리나라 헌 법 제70조(“대통령이 …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에서는 이에 관한 자세한 규정이 결여되어 있어서 실제로 이러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혼란이발생할 수 있다. 헌법의 완결성을 위해서 미국의 수정헌법 제25조를 참고하여 이 에 관한 보완이 필요하다. The National Assembly began to debate the pending issue of amending the Constitution by setting up a select committee in January 2017. The most hot issue that has triggered the debate in Korea is about whether we have to change the current presidential system or not. This paper examines carefully how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troduced the presidential government system which did not exist on earth in 1787, how the presidential system has been changed ever since and what attempts have been made in vain to change the system. This paper concludes that we can learn several valuable lessons from the American experience for our efforts to change the presidential system in Korea. First, the presidential government system can be a successful government system in any nation including Korea, given that the system has survived successfully for more than 200 years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some prerequisites are to be met for the system to succeed. For example,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s should work properly. Second, four-year two term presidency is better than the one that allows a single term of five or six years, given the American experience.. Third, all attempts to amend the clause for the Senate to consent treaties have failed and in return, the Presidents rely more on the executive agreements rather than treaties and refer to the fast track procedure for trade issues. This is an example that shows how to tackle the constitutional issues without amending constitutional provisions. Finally, we need to add a constitutional provision as to who decides the incumbent President not to be capable of carrying out his or her duties and what procedure should be followed in deciding that in reference to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ⅩⅩⅤ of the U. S. A.

      • KCI등재
      • KCI등재
      • Post-NAFTA 체제에 관한 에세이: USMCA와 멕시코

        임종훈(Jong-Hoon Lim),류용규(Yong Kyu Lew)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경영연구소 2020 글로벌경영연구 = Journal of global business research Vol.32 No.1

        2018년 북미 3개 국가 간 합의된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nited States-Mexico-Canada Agreement: USMCA)’이 2020년 7월 1일 부로 발효될 예정이다. 본 논문은 북미자유무역협정(North America Free Trade Agreement: NAFTA) 출범 전후로 이들 국가 간의 무역협정이 멕시코의 경제에 미친 영향과 새롭게 발효되는 USMCA가 멕시코 산업에 어떠한 영향을 끼칠지 조망한다. 구체적으로 논문은 NAFTA 협정 이전의 멕시코 경제 실태를 살펴본 후, NAFTA 협정으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해서 알아본다. 이후, NAFTA가 멕시코의 자동차산업, 마킬라도라 산업, 농업부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고, USMCA 타결이 향후 멕시코 산업에 미칠 파급효과에 대해 논한다. 본 연구는 NAFTA와 USMCA, 그리고 이들 자유무역협정 체제와 멕시코 경제·산업에 대한 이해 수준을 제고시킨다. United States-Mexico-Canada Agreement (USMCA) that has been agreed between the three North American countries in 2018 will take effect from the beginning of July in 2020.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s of the North America Free Trade Agreement (NAFTA) and USMCA on the economy of Mexico. More specifically, this research examines the economic status of Mexico before the NAFTA agreement, and then explains the positive and negative economic ripple effect of the NAFTA. Afterwards, it looks into the impact of NAFTA on Mexico’s automotive, Maquiladora, and agriculture sectors, and discusses some of anticipating impacts of the USMCA treaty on the Mexico economoy. The study helps to enhance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NAFTA and USMCA issues on Mexico and industrial sectors, thus offering useful insights on the post- NAFTA regime.

      • KCI등재
      • KCI등재

        행정부특권(Executive Privilege)에 관한 비교헌법적 연구

        임종훈(Jong Hoon Lim)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16 世界憲法硏究 Vol.22 No.2

        미국에서는 전통적으로 행정부특권(Executive Privilege)이라고 하여 대통령이나 정부가 헌법상 부여된 중요한 권한을 행사하는 과정에서 국정에 관하여 내부적으로 주고받은 대화나 보고의 내용 등은 의회나 법원 등 다른 기관으로부터 공개나 제공을 요구받을지라도 이를 거부할 수 있는 특권이 인정된다는 이론이 확립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이나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등에서 국가안보에 관한 사항이나 정부 내의 의사결정 과정에 있는 사항을 공개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행정부특권 이론의 단초를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좁은 의미의 행정부특권 이론이 적용되는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대통령이 참모들과 비공개로 나눈 대화의 내용 등에 대하여 국회나 법원이 제출을 요구하거나, 일반국민이 공개를 요구할 경우, 행정부특권 이론에 따라 공개를 거부할 수 있는지 여부 등에 관하여는 정립된 이론이 없다. 그런데 ‘세월호’ 사건이 발생했던 날에 대통령비서실이 박근혜대통령에게 서면보고했던 자료를 공개하라며 녹색당이 제기한 정보공개청구소송 사건에서, 서울행정법원은 2016년 3월 23일 청와대는 보고 내용을 공개할 필요가 없다고 판결했다. 이 판결에서 재판부는 사고 당일 청와대가 생산ㆍ접수한 정보의 ‘목록’ 등은 공개하라고 판시하면서도, 대통령과 대통령비서실장 사이의 의사소통 기록물은 공개될 경우 “업무의 공정한 수행 등에 현저한 지장을 초래한다고” 인정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 정보로서 공개할 필요가 없다고 판시하였다. 실정법규정의 해석을 통하여, 대통령이 참모들로부터 받은 보고를 공개할 경우 업무의 공정한 수행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고 법원이 판단한 것은 미국법에서 인정되고 있는 행정부특권 이론과 맥을 같이 한다. 비록 이번의 판결이 1심 판결이기는 하나, 대통령이 참모들로부터 받은 보고에 대하여 정보공개거부를 인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상급심판결의 결과와 상관없이, 우리나라에서도 행정부특권 이론이 성립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미국의 행정부특권 이론에 관하여 소개한 다음, 우리나라에서 행정부특권 이론을 주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서울행정법원의 판결과 실정법 규정을 중심으로 검토할 것이다. 그런 다음 한미 간의 행정부특권에 대한 접근방법의 차이와 비교법적 검토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다만, 이글에서는 행정부특권에 속하는 사항 중 외교ㆍ국방 등 국가안보 분야에 속하는 정보를 공개하지 않을 특권은 제외하고, 좁은 의미의 행정부특권에 속하는 사항이라고 할 수 있는 대통령과 대통령의 참모들 간에 주고받거나 오고간 보고나 대화 등에 국한하여 행정부특권 가능성을 검토할 것이다. 연구 방법도 한국과 미국의 학술 이론보다는 양국의 판례와 실정법 규정을 중심으로 검토를 진행하고자 한다. In the United States, Presidents beginning with George Washington have invoked executive privilege on various grounds. This paper examines how the executive privilege to protect candor and confidentiality in internal deliberations in the Executive works in Korea and in the U. S. by closely comparing court decisions and relevant statutes of the two countries. In deciding whether President-involved information is privileged in the United States, a court balances the moving party’s need for the information in the pending litigation against the public interest to be promoted by protecting candor and confidentiality in the communications with the President. This paper examines the leading case in this area, United States v. Nixon to see how the balancing test applies. In Korea, in March 2016, Seoul Administrative Court decided a case involving the incumbent President’s communications with his aids. The case was brought by Korean Green Party after a ferry called ‘Sewol’ capsized on the morning of April 16, 2014, killing 304 passengers aboard. The court decided that the reports about the calamity presented to the President by her aids on the day when the calamity took place was not subject to disclosure. Deciding the case, however, the court relied on the pertinent provisions of the Korean Freedom of Information Act, not on the doctrine of Executive Privilege. By interpreting the pertinent clause of the Act in a more active way. the court reached the same conclusion as the Unite States courts did based on the doctrine of Executive Privilege. This paper found out the difference of approach in deciding the same kind of cases involving the Executive Privilege between a common law court and a civil law court even in the field of constitutional law. In spite of the different approach, however, the outcome is roughly the same. And we can justly expect that the two different legal system will keep influencing each other in the field of executive privilege in the future.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