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원위부 진행성 위암에서의 상장간막정맥(14v) 림프절 절제술의 적응증

        임정택,정오,김지훈,오성태,김병식,박건춘,육정환,Lim, Jung-Taek,Jung, Oh,Kim, Ji-Hoon,Oh, Sung-Tae,Kim, Byung-Sik,Park, Kun-Choon,Yook, Jeong-Hwan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3

        목적: 1998년도에 제정된 일본위암학회의 위암취급규약 영문판 제2판에 따르면 원위부 위암에 있어 2군에 속하는 림프절 중 14v (상장간막정맥) 림프절도 포함되어 있으나 조기 위암에서는 14v 림프절의 절제가 제외되는 등 상황과 술자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제되고 있다. 저자들은 원위부 진행성 위암에 있어 14v 림프절의 전이 정도를 조사하여 14v 림프절 절제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 림프절의 절제 적응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4월부터 2005년 8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외과 위암팀에서 원위부 위암으로 수술 받은 환자 중 수술장에서 육안적 소견으로 진행성 위암으로 판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일본위암학회의 위암취급규약 영문판 2판에 정의된 D2 림프절 곽청술을 시행하고 림프절의 구획을 표기하였다. 각 림프절 구획의 위암 전이 여부를 확인하여 전이율을 계산하고, 6번 림프절의 양성율과 14v 림프절 양성율의 상관 관계와 14v 림프절 양성군과 음성군을 비교하여 14v 림프절 전이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였고 환자의 예후에 대한 장기 추적은 하지 않았다. 결과: 전체 환자는 50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56 ($30{\sim}80$)세, 남녀비는 1.63 : 1이었다. 47명(94%)에서 위원위부 절제술과 위십이지장 문합술을 시행하였고 3명(6%)에서는 위원 위부절제술과 위공장문합술을 시행하였다. D2 림프절 곽청술을 시행 후 림프절의 전이율이 가장 높았던 림프절은 3번(위소만부) 림프절과 6번(유문하림프절)이 54%)로 가장높았고 14v 림프절의 전이율은 10%로 다른 2군 림프절 중 7번 9번 림프절의 전이와 비슷하였다. 14v 림프절 양성군과 음성군을 비교하였을 때 전이된 림프절의 수와(평균 25.4개 vs 4.91개, P<0.001) 6번 림프절의 전이된 림프절 수에서(평균 6.5개 vs 1.42개, P<0.001) 차이를 보였고, 14v 양성군은 UICC 병기 3기 이상으로 음성군에 비해 진행된 위암인 경우가 많았다. 결론: 위암의 상태가 진행되어 있고 6번 림프절이 양성일수록 14v 림프절로의 전이 가능성이 높았다. 따라서 수술장 소견에서 3기 이상, 6번 림프절이 양성일 경우 14v 림프절의 절제가 필수이다. 그러나 14v 림프절 절제의 유용성에 대한 판단은 14v 림프절 절제하지 않은 군과 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여 재발과 생존율 분석을 통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urpose: According to the 2nd English Edition of the Japanese Gastric Cancer Association (JGCA) in 1998, in case of distal gastric cancer, the 14v (superior mesenteric vein) lymph node (LN) is included in the N2 group. However, in Korea, a modified radical gastrectomy is performed, and a 14v LN dissection is not done as a routine procedure. Thus, we investigated the rate of metastatic 14v LNs, evaluated the necessity of dissection of the 14v LN, and searched for indications of 14v LN dissect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April 2004 to August 2005, we enrolled th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having advanced gastric cancer in the distal third portion of the stomach. We peformed a distal gastrectomy with D2 lymph node dissection as defined in the 2nd English edition of the JGCA classification. We calculated the positive rate of metastatic LNs of each station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ve rates of No.6 LNs and 14v LNs. We also compared the positive 14v LN group with the negative 14v LN group. Results: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was 50, the mean age was 56 (range $30{\sim}80$) years, and sex ratio (Male/Female) was 1.63 : 1. In 47 (94%) cases, distal a gastrectomy with gastroduodenostomy was done, and in the remaining 3 (6%) cases, a distal gastrectomy with gastrojejunostomy was done. The most frequently metastatic LNs were nos. 3 and 6 (54%). The metastatic rate of the f4v LN was 10%,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LN no. 9. In the comparison of the 14v positive group with the 14v negative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s of metastatic LNs (mean 25.4 vs 4.91, P<0.001) and the numbers of metastatic no. 6 LNs, (mean 6.8 vs 1.42, P<0.001), and if no. 6 LNs were metastatic, the possibility of metastasis to the 14v LN was 19.2%. In the 14v positive group, all cases were more than stage 3 by the UICC 6th edition. Conclusion: In cases of advanced cancer with metastasis to the no. 6 IN, there was a good chance of metastasis to the 14v LN. Thus, in the operative field, if the tumor is advanced to more than stage 3 by the UICC classification and the no. 6 LN is metastatic, a 14v LN dissection is necessary. However, the usefulness of a 14v LN dissection should be evaluated prospectively through an analysis of tumor recurrence and long-term survival.

      •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과 개복 위절제술의 비교 분석

        임정택,김병식,정오,김지훈,육정환,오성태,박건춘,Lim, Jung Taek,Kim, Byung Sik,Jeong, Oh,Kim, Ji Hoon,Yook, Jeong Hwan,Oh, Sung Tae,Park, Kun Choon 대한위암학회 2007 대한위암학회지 Vol.7 No.1

        목적: 정기 검진을 통한 위암의 조기 발견으로 조기위암은 늘어나는 추세이며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맞춤 수술로서 국내에서도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본 교실에서도 2004년 4월부터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을 시작하였으며, 2005년 1년간 122예의 복강경보조 위절제술을 시행하여 임상병리적 특징과 수술결과에 대하여 개복술과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교실에서 조기위암으로 2005년도에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을 시행한 119예와 2005년도 1~3월까지 개복 위절제술을 받은 126예를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징, 수술 후 경과, 합병증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양 군 간에 환자들의 연령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복강경군에서 여성의 비율이 더 많았고 신체비만지수가 더 높았다. 수술에 소요된 평균시간은 복강경군이 더 오래 걸렸으며(239.2 vs 123.3분, P<0.001), 첫 번째 가스배출은 복강경군에서 빨랐고(3.05 vs 3.70일, P<0.001), 식이의 진행도 복강경군에서 빨랐다(물: 2.86 vs 3.22일, 미음: 3.87 vs 4.19일, 죽: 4.84 vs 5.26일, P<0.001). 합병증 발생은 복강경군에서 4.9%로 개복군의 9.5%보다 적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고(P=0.179), 퇴원도 복강경군에서 빨랐으나(7.73 vs 8.25일)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229). 절제된 림프절의 수는 복강경군에서 평균 23.9개, 개복군에서는 23.1개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63). 복강경 수술 중 개복술로 전환 한 예와 양 군 모두 합병증으로 재수술 한 경우와 사망한 경우는 없었다. 결론: 복강경보조 위절제술이 개복술에 비해 수술 시간이 길지만, 기타 식이의 진행이나 획득한 림프절의 수나 합병증의 발생 등에서 우세하거나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복강경보조 위절제술도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는 술식이며, 종양학적으로 용인될 수 있다고 생각되나, 표준수술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무작위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here has been increased the number of early gastric cancer and laparoscopy-assisted gastrectomy (LAG), due to early detection through mass screening program. We started the LAG in April 2004 and performed 119 cases of gastric cancer in 2005, so we report a surgical outcome compared with that of open gastrectomy (OG). Materials and Methods: 119 patients underwent LAG in 2005, and for open group, 126 patiens of early gastric cancer were selected sequentially from January 2005 to March 2005. We compared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postoperative courses and complications between two group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e, a length of hospital stay, distal resection margin and a number of retrived lymph nodes. The operation time was longer in LAG group (239.2 vs 123.3 mins, P<0.001) and a diet progression was faster in LAG group (first flatus: 3.05 vs 3.70 days, SOW: 2.86 vs 3.22 days, liquid diet: 3.87 vs 4.19 days, soft diet: 4.84 vs 5.26 days, P<0.001). But there was no difference statistically in postoperative discharge date (7.73 vs 8.25 days, P=0.229). The additional requirement of analgesic injection was less frequent in LAG group (2.97 vs 4.92 times, P<0.001). The harvested lymph nodes were similar in both groups (23.9 vs 23.1, P=0.563). A complication rate was lower in LAG group (4.9% vs 9.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P=0.179). There was no mortality in both groups and no conversion to open gastrectomy in the LAG group. Conclusion: LAG can be performed safely and accepted in view of curative procedure in treatment of early gastric cancer. But we need the follow up of long-term period to evaluate the survival rate and recurrence, and a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study should be done to establish that LAG will be a standard operation for early gastric cancer.

      • 나이브 베이지안 분류자와 메일 주소 유효성 검사를 이용한 스팸 메일 필터링 시스템

        임정택(Jung-Taek Lim),김형준(Hyung-Joon Kim),강승식(Seung-Shik Kang)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본 논문에서는 가중치가 부여된 나이브 베이지안 분류자와 스팸 메일의 특성을 이용한 주소 유효성 검사를 결합하여 필터링하는 방식의 스팸 메일 필터링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주소 유효성 검사를 통해 스팸 메일을 효율적으로 필터링 할 수 있으며, 나이브 베이지안 분류자에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분류를 할 수 있다. 또한, 각 요인의 중요도에 따라 다른 비중을 부여함으로써 메일의 특성을 고려한 필터링 환경을 구현하였다. 실험에서는 제안하는 요인들이 실제로 필터링 성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최적의 시스템 성능을 측정하였다.

      • 한·가나 관계 현황 및 전망

        임정택 ( Lim Jung-taek ) 한국외교협회 2022 외교 Vol.143 No.0

        가나는 민주주의가 안정적으로 정착한 대표적인 모범국가로서, 안정적인 정세와 풍부한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일차산품 위주의 수출 구조를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경제 구조로 전환함으로써 서아프리카의 경제 강국으로 부상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최근 국가부채의 누적으로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하는 등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이를 극복해야 하는 과제도 안고 있다. 대외정책 면에서 가나는 지역 정세 안정에 역점을 두고 지역 공동체에 적극 참여하는 한편, 경제적인 실리를 추구하며 다양한 국가들과 협력관계를 증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가나는 유엔을 비롯한 국제무대에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올해 수교 45주년을 맞이한 한-가나 양국관계는 수교 이래 정치, 경제, 개발 협력을 포함 여러 방면에서 비약적으로 발전해 왔다. 가나는 민주주의 가치를 공유하고 평화ㆍ안보에 관한 공동의 인식을 가진 우방 국가로서 국제무대에서 우리 입장을 확고히 지지하고 있고, 경제ㆍ통상 면에서도 우리의 주요 무역 파트너로서 서아프리카 시장 진출의 관문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가나는 우리의 ODA 중점협력국으로서 주요 개발협력 대상국이기도 하다. 가나는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 사무국 소재지로서 안정된 정세를 바탕으로 서아프리카를 넘어 인구 13억, 총 GDP 3조 4천억 달러의 아프리카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우리나라는 앞으로도 가나와 경제ㆍ통상 관계를 비롯한 우호협력 관계를 지속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Ghana is often considered a model nation for Africa with a stable democracy and is now striving to transform itself, building on its political stability and an abundance of natural resources, from an economy dominated by the export of raw materials into a value-added economy with the aim of emerging as an economic power in West Africa. Currently, Ghana is tasked with addressing economic challenges such as a soaring public debt, which has led the government to seek a financial assistance from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In terms of foreign policy, Ghana is actively engaging with regional partners to bring about regional stability; making efforts to enhance cooperation with different countries as a way of pursuing economic interest; and vigorously engaging with international fora such as the United Nations. This year marks the 45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Ghana. Korea and Ghana have since built a strong relationship through comprehensive and rapid development of exchanges and cooperation in the various fields of politics, economy, and development cooperation, etc.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Ghana is based on a shared value of democracy as well as a common commitment to peace and stability, which explains why Ghana has been a friendly nation showing firm support to Korea in international fora. On the economic front, Ghana is Korea’s important trade partner that serves as the gateway to the West African market. Ghana is also recognized as one of Korea’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riority partner countries. As the host country of the African Continental Free Trade Area (AfCFTA) Secretariat, Ghana is expected to become the international gateway to the African market embracing 1.3 billion people and a combined GDP of 3.4 trillion US dollars. In this regard, Korea would do well to continue to build friendly and cooperative ties with Ghana including in the areas of economy and trade.

      • KCI등재

        Sub-GHz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0.18 μm CMOS 전력증폭기

        임정택(Jeong-Taek Lim),최한웅(Han-Woong Choi),이은규(Eun-Gyu Lee),최선규(Sun-Kyu Choi),송재혁(Jae-Hyeok Song),김상효(Sang-Hyo Kim),이동주(Dongju Lee),김완식(Wansik Kim),김소수(Sosu Kim),서미희(Mihui Seo),정방철(Bang-Chul Jung),김철영(Ch 한국전자파학회 2018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9 No.11

        본 논문은 0.18 μm CMOS 공정을 이용한 Sub-GHz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전력증폭기 설계에 관한 내용이다. 가상 접지 노드를 용이하게 형성하며, 출력전력을 키울 수 있는 차동구조로 설계하였으며, breakdown으로 인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cascode 구조로 설계하였다. 또한 출력전력과 Power Added Efficiency(PAE)가 최대가 되도록 트랜지스터 게이트 폭을 결정하고, matching network으로 인한 손실이 최소화하기 위해 EM simulation을 통하여 balun을 최적화하였다. 제작된 전력증폭기는 크기가 2.14 ㎟이며, 860~960 MHz의 주파수 범위에서 49.5 dB 이상의 이득과 26.7 dBm의 최대출력을 가지며, 최대효율은 20.7 %이다. A power amplifier for subgigahertz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0.18-μm CMOS technology is presented. It is designed as a differential structure to form easily a virtual ground node, to increase output power, and to design a cascode structure to prevent breakdown. The transistor gate width was determined to maximize the output power and power-added efficiency(PAE), and the balun was optimized through electromagnetic simulation to minimize the loss caused by the matching network. This power amplifier had a gain of more than 49.5 dB, a saturation power of 26.7 dBm, a peak PAE of 20.7 % in the frequency range of 860 to 960 MHz, and a chip size of 2.14 ㎟.

      • 도장돈에 있어서 돼지천공개선충 (Sarcoptes scabiei var. suis)의 감염률 조사

        이방환,임정택,윤충근,Lee Bang-Whan,Lim Jung- Taek,Yoon Chung-Kun 대한수의사회 1984 대한수의사회지 Vol.20 No.1

        Seasonal infestation rate of Sarcoptes scabiei var suis were surveyed in 560 slaughter pigs of Kwangju area by means of microscopical detection of eggs and mites from ear scrapings, supplementing morphological observation of the mites. The results were su

      • 개복 위절제술에 경험이 풍부한 술자에 의한 복강경 보조하 원위부 위절제술의 Learning Curve

        김지훈,정영수,정오,임정택,육정환,오성태,박건춘,김병식,Kim, Ji-Hoon,Jung, Young-Soo,Jung, Oh,Lim, Jeong-Taek,Yook, Jeong-Hwan,Oh, Sung-Tae,Park, Kun-Choon,Kim, Byung-Sik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3

        목적: 조기위암 치료에 있어서 복강경 위암 수술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정착하고 있다. 기존에 시행하고 있던 개복에 의한 위절제술에 익숙한 경험 많은 외과의사들은 복강경 위암 수술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기술적으로 습득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음을 느끼며 복강경 수술에 소극적 자세를 취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저자 등은 개복 위절제술에 경험이 풍부한 외과의사에 의한 복강경 위절제술의 learning curve를 결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4월부터 2006년 3월까지 한 명의 술자에 의하여 수술전 조기 위암(cT1N0)으로 진단 받고 복강경 보조하 원위부 위절제술(LADG) 및 $D1+{\beta}$ 림프절 곽청을 시행 받은 6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복강경 위절제술 시행을 위하여 전문팀을 구성하였다. 대상 환자를 6명씩 한 그룹으로 총 10그룹(마지막 그룹은 8명으로 구성함)으로 나누어 각 그룹의 평균 수술시간을 비교하여 learning curve 극복 전후의 나이, 성별, 수술 후 합병증, 절개창의 길이, 수혈유무, 적출된 림프절 개수, 수술 전 후 혈색소 변화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수술 시간을 분석한 결과 여섯 번째 그룹 (31st case)부터 수술 시간의 Plateau를 보였다. 이에 저자들은 learning curve 극복시점을 30th case (7개월)로 간주하였으며 극복 전후 집단 간의 평균 수술시간을 분석하였을 때 각각 $239.0{\pm}69.7$분과 $170.0{\pm}32.6$분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양 군 간 평균나이, 성별, BMI, 수술 전후의 혈색소 수치변화, 적출된 림프절 개수 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절개창의 길이, 수혈유무, 수술 후 합병증 유무도 양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저자들의 LADG learning curve 극복은 30예(7개월)로 다른 보고보다 일찍 도달할 수 있었다. 이는 개복 수술의 풍부한 경험, 전문 수술팀 구성, 그리고 단기간 집중적인 시술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laparoscopy assisted gastrectomy has been increasingly reported a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early gastric cancer. However, expert surgeons, who have performed a conventional open gastrectomy for a long time, tend to have a negative attitude toward laparoscopic procedur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arning curve of a laparoscopy assisted distal gastrectomy (LADG) for a surgeon expert in performing an open gastrectomy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have an effect on a LADG.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April 2005 and March 2006, 62 patients underwent a LADG with D1+beta lymph-node dissection. The 62 patients were divided into 10 sequential groups with 6 cases in each group (the last group was 8 cases), and the time required to reach the plateau of the learning curve was determined by examining the average operative times of these 10 groups. Other factors, such as sex, BMI, complications, transfusion requirements, the number of retrieved lymph nodes, and change of postoperative hemoglobin level, were also analyzed. Results: With the $5^{th}$ group (after 30 cases), the operative time reached a plateau (average: 170 min/operation). The differences between before the $30^{th}$ case and after the $31^{st}$ case with respect to changes in the postoperative hemoglobin level, the number of retrieved lymph nodes, the transfusion requirements, and the complications rate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operative time, experience with 30 LADGs in patients with early gastric cancer is the point at which the plateau of the learning curve (7 months) is reached. Abundant experience with a conventional open gastrectomy and a well-organized laparoscopic surgery team are important factors in overcoming the learning curie earli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