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령층의 부모수발 여부에 따른 삶의 만족도 변화에 대한 종단적 연구

        임정기(Jeong Gi Lim),홍은진(Eun Jin Hong) 한국노인복지학회 2011 노인복지연구 Vol.0 No.51

        본 연구는 2005년, 2007년, 2009년 국민노후보장 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부모수발행위가 삶의 만족도 및 그 변화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2005년 기준으로 만 50세 이상 가구원이 있는 전국 5,000여 가구와 그 가구에 속하는 8,600여 가구원이며, 분석방법은 조사년도별 횡단분석과 수발 여부별 삶의 만족도의 변화를 보고자하는 종단분석을 함께 실시하였다. 횡단분석에는 빈도 및 기술적 통계, 그리고 수발 여부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교차분석 및 집단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종단분석에서는 수발 여부가 삶의 만족도 변화양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잠재성장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기 부모부양 및 수발집단의 경우 모친의 생존여부가 부친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동거 여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부모 수발 여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가 나이 듦에 따라 가족이 수발의 필요성으로 다시 동거하게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는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동거부모의 건강상태 및 경제상태는 부친에 비해 모친의 건강상태를 훨씬 나쁘게 인식하고 있어 부모부양 및 수발에 있어 성별 차이에 따른 접근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다음 노인부양 및 수발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대체로 부모수발을 하고 있는 경우에는 여성이, 학력수준이 낮은 편이, 배우자가 있는 경우, 가구주인 경우, 도지역에 거주하는 경우, 가계소득이 낮은 경우, 가구원수가 많은 경우, 수발자의 평균연령이 높은 경우로 나타났다. 또한 수발하고 있는 경우에 수발자의 육체적 심리적 건강상태가 매우 나쁘거나 좋지 않은 편이라고 인식하는 비율이 다소 높았으며 삶의 만족도의 경우에는 다소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사대상자의 수발 여부가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종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잠재성장분석을 한 결과 부모수발 여부는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수발을 하고 있지 않은 집단이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기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는 수발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변화율에 있어서는 수발 여부별 개인차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즉 수발 여부는 노년기 초기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후 부모수발집단이 비수발집단에 비해 시간이 지날수록 삶의 만족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미성은 없었다. 따라서 수발하지 않는 경우가 수발하는 경우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은 편이며 수발하지 않는 경우 삶의 만족도 증가율이 더 크다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는 수발기간의 시간이 길수록 삶의 만족도가 더 크게 감소한다는 것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caring behavior for elderly parents on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data of the 2005, 2007 and 2009 Korea Retirement and Income Study. Approximately 5,000 households and 8,600 members of the households were investigated, and the selected households included members of ages 50 and above in 2005. A cross-sectional analysis was made by year, and a longitudinal analysis was conducted as well to keep track of the relationship of caring to change in life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case of the group of people who took care of elderly parents, the number of families with mothers who were alive was by far greater than that of families in which fathers were alive. There was an increase with the lapse of time in the number of people who lived with their elderly parents under the same roof, and there was a gradual decrease over time in the number of those who took care of their elderly parents. In regard to the factors affecting the maintenance and caring of the elderly, the average age of the caregivers who were female, less educated, had spouses, were the heads of households, resided in urban areas, had smaller income and a larger family was higher. Finally, the data of the longitudinal analysis were analyzed by utilizing a growth potential model to see how caring affected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whether to take care of elderly parents or not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and those who didn`t take care of elderly parents expressed higher life satisfaction.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those who didn`t take care of parents expressed higher life satisfaction, and that there was a greater increase in life satisfaction when they were not taking care of elderly parents. It seems to imply that there was a bigger decrease in life satisfaction when they took care of parents for a longer period of time.

      • KCI우수등재

        지역아동센터 운영자의 인식을 통해 본 지역아동센터의 기능과 역할

        임정기(Lim, Jeong-Gi),박현선(Park, Hyun-Sun),정익중(Chung, Ick-Jo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학 Vol.67 No.2

        본 논문은 우리나라 방과후 돌봄 체계의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는 지역아동센터의 고유한 기능과 역할에 대해 실무자들의 다양한 인식유형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하여 지역아동센터 실무자를 대상으로 시설 환경, 서비스 내용, 인력, 대상, 전달체계 측면으로 나누어 관련된 인식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아동센터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인식유형은 ‘전문인력 중심의 통합서비스 지향형’, ‘시설환경 기반의 보호서비스 지향형’, ‘학교연계 방과후서비스 지향형’, ‘개별맞춤형 기초사례서비스 지향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또한 지역아동센터 실무자들이 지역아동센터의 발전을 위해 인력의 중요성과 서비스 환경에 대한 지원, 서비스 내용의 차별성과 연속성, 전체 돌봄체계와의 공통성과 독자성을 찾아갈 수 있는 기능 모색으로 다시 나눠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그동안 실증적으로 검증되지 못했던 다양한 인식내용의 실체를 파악해 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지역아동센터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당사자들의 관점을 반영하고, 운영의 방향성에 대한 실천적 논의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며, 지역아동센터 모델과 운영에 대한 정책결정과 집행과정에 있어서 지원에 대한 구체적 방향성과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practitioners’ perceptions of functions and roles of community child center which plays a pivotal role in afterschool care in Korea. To achieve its purposes, we investigate environments, services, workers, service users, and delivery systems of community child center. As a result, 4 types of perception of community child center(service integration-oriented type focusing on professional workers, care-oriented type based on child care center's physical environment, delivering service-oriented type working in collaboration with schools, and individual case management-oriented type) were examined. These results were also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One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workers and supports for service environments. The other focused more on the functions of community child center to find commonality and originality in other afterschool care systems. This study can be valuable in understanding practitioners’ different perception on functions and roles of community child center which have not yet been confirmed statistically. The results allow us to apply diverse practitioners’ perceptions to the practice, and to elicit discussions regarding improved practice directions for managing community child center. It also can provide useful baseline data in policy decisions and enforcement.

      • KCI등재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의 케어매니지먼트 기능과 운영에 대한 인식연구

        임정기(Jeong Gi Lim),최명민(Myung Min Choi),김욱(Wook Kim) 한국사회정책학회 2011 한국사회정책 Vol.18 No.3

        본 논문은 노인장기요양보험 하에서 노인의 욕구에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케어매니지먼트의 수행체계에 대한 다양한 인식 유형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하여 국민건강보험공단 장기요양센터에서 등급판정 및 서비스 이용계획, 서비스 모니터링을 담당하는 요양직원을 대상으로 서비스 이용관리와 관련된 인식을 조사하였다. 우리나라 노인장기요양보험은 대상노인의 욕구에 맞는 적절한 서비스 이용과 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케어매니지먼트가 부재한 상황에서 보험자인 공단이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를 통하여 제한된 케어매니지먼트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케어매니지먼트를 수행하는 관련 직원은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의 역할을 무엇으로 규명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향후 노인장기요양보험 하에서의 케어매니지먼트 체계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공단의 케어매니지먼트 역할에 대해 표준화를 지향하는 집단과 개별화를 지향하는 집단으로 나눌 수 있었다. 표준화를 지향하는 집단은 현재의 제도체계에 좀 더 실용적인 기준을 더하는 ``기준 보완형``과 현재의 ``표준이용계획서 중시형``으로 나뉠 수 있었으며, 개별화를 지향하는 집단은 ``전문성 지향형``과 ``노인의 욕구 중시형``로 나뉠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그동안 실증적으로 검증되지 못했던 케어매니지먼트에 대한 다양한 인식내용의 실체를 파악해 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케어매니지먼트 관련 정책결정과 집행과정에 있어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perception types of long-term care managers who work in long term care center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s. Long-term care managers work for grade classification, service utilization plan and monitoring. So it is important for their perception to develop care management system in long-term care insurance. Therefor this study adopted Q methodology which is developed mainly to study on the subjective conceptualization of related people on research theme. This study found out four major types of perception on care management as role of present "standardized long-term care plan" in long-term care insurance scheme. They are the type of focusing professionalization of care manager, valuing on client- oriented needs, focusing standard criteria for care management, and insisting on more forcing present standardized care plan. Two of the former are types for care management as individualized professionalism and two of the latter are types for care management as standardized resource control. This research findings can be used to make clear understanding on diverse voices about care management. This kind of understanding would contribute to mutual understanding and clear communication to arrive positive consensus related to the matters of long-term care insurance.

      • KCI등재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 변화궤적에 관한 연구

        임정기(Jeong Gi Lim)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3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38 No.-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사회적 지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인집단의 다양성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여성노인과 농촌노인, 동년배 노인 등 노인집단 내 차별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노년기 삶의 여러 변수에 대한 종단적 연구가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를 종단적으로 분석하여 변화궤적을 탐색하고 이러한 영향이 농촌노인과 도시노인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한국노후패 널 1,2,3차년도 조사에 참가한 65세 이상 노인 3,906명을 대상으로 잠재성장모델과 다중집단분석을 하였다. 관련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 전체적으로는 삶의 만족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사회적 지지는 반대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관련변수를 통제하고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의 변화율도 삶의 만족도 변화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을 비교해 보면, 농촌노인의 경우 이웃이나 친구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변화가 클수록 삶이 만족도가 더 빨리 증가한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도시노인의 경우에는 삶의 만족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요인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농촌노인과 달리 도시노인의 경우에는 삶의 만족도 변화가 사회적 지지의 변화에 따라 크게 달라지지 않으며, 초기 삶의 만족도와 거의 유사하게 변화의 폭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노년기 삶의 만족도와 이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지지가 농촌노인과 도시노인들 사이에 차이점이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따라서 노인복지정책을 수립함에 있어서도 도시노인과 달리 농촌노인의 특성과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모델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rapidly aging society entails the increases of life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Social support influence their life satisfaction.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s of difference of the elderly between rural and urban area Including 3,906 individuals aged 65 and over who participated in the 3rd wave of Korean Retired and Income Panel Study, the current study aims to examine (1)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and (2) whether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vary by the rural or urban residence. Data were processed through potential growth model and multi-group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1) levels of both social supports in rural and urban elderly people are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whereas levels of social supports trajectory in urban elderly people are not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trajectory, (2)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by rural or urban residence of the elder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order to enhance levels of life satisfaction, social support should be strategically utilized by the elderly depending on their residence.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policy, suggest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 KCI등재

        우리나라 노인요양보장제도의 평가판정 도구에 관한 고찰 - 외국사례에 대한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임정기 ( Jeong Gi Lim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保健社會硏究 Vol.25 No.2

        본 연구는 2008년 도입될 노인요양보장제도의 근간이 되는 대상자 등급판정도구를 고찰해 봄으로써, 노인의 장기요양욕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체계와 그 체계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점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공적 요양보장제도가 사회적 정당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요양보호대상자의 판정 기준 및 절차에 대해 객관성과 합리성이 절대적으로 요구되어진다. 특히 공적요양보장제도가 조세제도에 의해서 자산조사 및 특정 욕구를 기준으로 제공되는 공적부조의 형태 보다는 보험제도에 의해 보편적 욕구를 기준으로 제공될 때 요양보호대상자 선정기준의 공평성이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요양인정 평가판정도구는 단순히 대상노인의 욕구를 평가하는 도구일 뿐만 아니라 대상노인의 임상적 기능평가에서부터, 서비스 계획과 자원(수가)의 분배까지 함께 고려되는 체계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요양보장제도를 실시하고 있는 주요 국가의 대상자 선정 평가판정체계 및 욕구사정도구를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평가판정도구 및 체계 개발에 있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외국 제도의 비교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전체 노인요양제도 내에서 평가판정도구가 자리 잡아야 하는 목표와 성격, 그리고, 이러한 목표와 기본 성격을 실행할 수 있는 체계 및 내용에 대한 분석, 그리고 향후 고려되어져야 할 부분에 대한 논의로 구성하였다. 우리나라의 평가판정도구에서 향후 고려되어져야 할 점으로는 첫째, 평가판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작업이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둘째, 평가판정도구와 노인욕구사정도구 및 케어플랜과의 관계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 셋째, 노인사정도구의 자율화와 표준화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제도의 효율성 및 비용효과성 면에서 정책결정자가 적정수준에서 결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평가판정도구와 관련하여 평가판정체계의 확립을 위한 논의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implications to develope Korean long-term care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instrument by analyzing foreign instrument comparatively. This study analyzed long-term care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instruments of Japan, Germany, Untied State, Austria, United Kingdom and Singapore. Throughout object of countries, these are founded. First of all, it is different that the purpose and using of instrument is adopted in each system in each country. Some countries adopt public system for long term care(ex, Japan, Germany, and Austria), they use instrument as classification just for care needs, so their instrument is composed parsimonious items. Other countries that have not public system for long term care adopt instrument as comprehensive needs assessment about clinical function. But they have common logic throughout every countries, when they related to benefit, the instruments are developed by service need(resource utilizing) that operationalize service(care) time. Considering Points in developing Korean long-term care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instrument are First, it should be verifie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instrument by getting continuous and numerous datum, Second it needs to be taken a triangular position about relationship among classification of grade, need assessment for functional status and care plan. Third it needs to be decided to adequate level of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about using compulsive or self-regulation instruments, and Forth, related to instrument, it should be discussed about long-term care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system. Finally, Korean instrument should to being consider not only assessing need of long term care but also evaluating clinical function, care plan, and benefit.

      • KCI등재

        의사결정분석을 이용한 우리나라 노인의 요양시설서비스 이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임정기(Lim Jeong Gi) 한국사회복지학회 2008 한국사회복지학 Vol.60 No.3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2차 시범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노인의 요양시설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론적 모형으로는 앤더선과 뉴만(Andersen and Newman)의 행동주의 모델을 토대로 하여 영향요인을 구분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의사결정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서비스 이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대상 노인의 서비스 이용의향이었으며, 이러한 선행요인 다음 중요한 요인으로 자원 요인(수발자 있음 및 동거가족 여부)으로 나타났다. 욕구요인으로는 인지장애가 있는 경우, 치매로 인한 문제행동이 있는 경우, 기본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있어 완전도움을 받아야 하는 경우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앤더슨과 뉴만의 행동주의 이론의 과정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즉 선행요인과 자원요인에 의해 서비스 이용형태가 달라지며, 이러한 선행요인과 자원요인은 욕구요인과 결합하여 실제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시설 서비스 이용 대상자의 욕구요인을 정확히 파악하여 이에 적절한 서비스 내용을 구축하고 지역사회 내 시설서비스 이용노인을 선별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service utilization of elderly residential care among long term care services recipients during long term care insurance pilot project period in Korea. Help-seeking Behavior model developed by Andersen and Newman(1973) was us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utilization residential care service among 1,939 long term care services recipients. Frequency and Decision Tree Regression analysis on SPSS 13.0 used. Analyses show strong significant factor is service preference(predisposing factors), and then significant factors are enabling factors such as co-residence type, household income. According to this results, need factors such as cognition disorder, problem behavior, ADL and IADL disabilities are affecting utilization behavior of elderly residential care services. These findings provid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bout how long term care service system would be settled in Korea. And these finding provide information about target-efficient long term care continuum system to policy makers and helping professional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노인부양에 영향을 미치는 가구특성 비교

        임정기(Jeong-Gi Lim),홍은진(Eun-Jin Hong),이주연(Ju-Yeon Lee)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0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가족동거노인가구와 노인단독가구의 차이점, 그리고 수발대상노인에 대한 가족수 발가구와 비가족수발가구의 차이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8년 서울시 복지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개인을 분석대상으로 삼은 분석과 65세 이상 노인을 포함한 가구를 분석대상으로 2차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카이제곱 검증과 이항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노인부양가족의 경우에는 사별한 여성 노인을 모시고 있는 경우가 높게 나타났고, 노인가구인 경우에는 노인부부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수발이 필요한 노인의 경우 대부분 가족이 수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가족이 수발하는 경우 다른 인력이 수발하는 경우보다 수발부담이 훨씬 높게 나타났다. 가족수발에 영향을 미치는 가구특성을 살펴보면, 가구원 수가 많은 경우, 가구소득이 낮은 경우, 수발부담이 높은 경우 동거가족이 수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구주가 취업한 경우, 가구주가 장애인인 경우, 여성노인인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비동거가족이 수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표성 있는 데이터를 사용했다는 점과 정책적으로 개입이 필요할 수 있는 가구형태에 초점을 맞추어 노인동거가구 및 수발가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potential differences between senior citizen households living with their families and elderly households (single or couple), and differences between senior citizen households with family and non-family caregiving, so that one could successfully make an empirical analysis on potential factors affecting such differences. In order to meet the goal, this study used reference data from Seoul Metropolitan Welfare Panel Survey of 2008 and thereby made a primary analysis on each of senior citizen at age 65 and over along with a secondary analysis on households which are living senior citizen at age 65 and over.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adopted chi-square test and binary logit analysis.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a relatively high rate of senior citizen households living with their families served and supported elderly widows, and relatively high rate of elderly house-holds consisted of elderly couples. It was found that most of elderly people who need support relied upon their family. Family caregiving households had to shoulder a greater caregiving burden than non-family caregiving households. According to an analysis on household charac-teristics affecting family caregiving, it was found that families had a high tendency to provide care and support for their senior parents when they had a large number of family members, low household income and high caregiving burden. When the household owners were employed or disable, and their parents were much advanced in age, non-family members had a high tendency to provide care and support for senior citizen. Conclusively, this study has its own significance in that it uses representative data on statistical basis; focuses on household types requiring governmental intervention via policy; and provides useful reference data for family caregiving households or non-family caregiving households.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판정기준에 대한 등급판정위원의 인식조사

        임정기(Jeong Gi Lim),최명민(Myung Min Choi),김욱(Wook Kim),김연수(Yeon Soo Kim),백경원(Kyung Won Baek),박익규(Ik Kyu Park)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9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판정위원을 대상으로 Q방법론을 적용하여 등급판정의 주요요인에 대한 인식유형을 나누어 보고, 각 인식유형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등급판정에 있어 의사소견서와 전문가적 판단을 중요하게 판단하는 “의료정보중시형”과 행동변화, 방임 및 학대, 정신과적 진단 등에 대한 요인을 중요하게 판단하는 “심리행동변화중시형”, 평가항목의 다양화, 의사소견서의 신뢰도 강화, 방문조사원의 전문성 강화, 등급판정위원회에 있어 심층면접과 관찰면접 보완 등에 대한 객관적 방법론을 추구하는 “객관적 방법론 중시형”, 가족수발자의 정서적 부담, 기존 서비스 이용내용, 개인 및 보호자의 생활정보 등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개별화 욕구 중시형”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그동안 실증적으로 검증되지 못했던 등급판정위원의 다양한 판정기준의 실체를 파악해 보았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등급판정 관련 정책결정과 집행과정에 있어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perception types of classification committee who are belong to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dopted Q-methodology which is developed mainly to study on the subjective conceptualization of related people on research theme. This study found out four major types of perception on classification criteria for long-term care needs, which are the types of focusing specialization and professionalization of clinical care diagnosis, valuing on psycho-behavioral factors, requesting objective information procedure, insisting on involvement of family care burden and environment factors of long-term care needs. This research findings can be used to make clear understanding on diverse voices of classification committee about long-term care need criteria for elderly people. This kind of understanding would contribute to mutual understanding and clear communication to arrive positive consensus related to the matters of long-term care needs for the elderly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