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중보건증진, 개인의 선택권, 환경보호 가치의 충돌로 인한 정책옹호연합의 형성과 변화

        임원희,김희정,강민아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3 생명윤리정책연구 Vol.7 No.2

        In this paper, we applied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CF) to analyze the policy changes surrounding the fluoridation program in Korea. While fluoridation programs were actively purs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Korea to promote preventive public health efforts, opponents raised questions on the safety of the fluoride and argued that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violates individuals’ right to refuse fluoride treatment. Opponents, especially environmentalists, also raised issues with potential harms to environment. As commonly found in the ACF analysis, a diverse array of coalitions were formed, taking positions on the fluoridation program, based on their core values surrounding the issue, such as public responsibility to protect health and prevent diseases of vulnerable groups versus protection of individual rights and environment from potential harms. To note, we were able to find coalitions’ persistent and active efforts to influence decision-making process with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regarding the effectiveness, safety, and efficiencies of the fluoridation program. The prominent role of knowledge transfer and validation should be evaluated further in future research to understand the impact of such strategies.

      • 색채추상(POST-PAINTERLY ABSTRACTION)에 관한 복식디자인 표현 연구 : 작품 제작을 중심으로

        임원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2 硏究論叢 Vol.23 No.-

        색채는 조형예술의 전 분야에 걸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시각적 어휘 중 하나이며, 미술에 있어 색이 단순히 한 요소로서 여겨지던 종전과 달리 색 그 자체의 근원적인 의미와 순수성을 추구한 색채 추상은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여러분야의 추상미술에 직접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대 복식의 경향에서 색이 중요한 주제의 하나로 두드러짐에 따라 이러한 색채 추상을 복식에 조형적으로 적용시켜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색을 근원적으로 추구한 색채추상의 원리를 규명하여 그 조형성을 복식 디자인에 실용적으로 재구성하여 적용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색채추상의 개념과 특성을 알아본 후 복식에 있어 영향을 살펴보고 색채추상이 지니는 조형성을 복식디자인에 적용시켜 그 의미를 재해석한 내용을 모티브로 작품을 제작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 조사와 작품 제작을 병행하였고, 분석 대상으로 제시된 작품은 1점 이며 분석 대상에 나타난 색채추상의 특징을 조형예술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그 시각적 특성을 실용성을 고려하여 복식에 표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식의 전체 실루엣을 하나의 화면으로 보는 시각은 복식에 색채추상의 조형원리인 색채 표현의 극대화를 이루었다. 둘째, 색채를 조형을 위한 단지 한 요소가 아닌 사물의 본질을 보고 다양한 원색을 사용하여 색채만이 표현할 수 있는 강렬한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세째, 염색과 패치워크 기법으로 다양한 원색의 극단적인 만남을 이루었다. 네째, 색채추상의 원리를 복식에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기능과 필요성이라는 목적을 바탕으로 색채의 시각적 이미지를 형성하면서 복식의 조형성을 추구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상악 제1 및 제2소구치의 발치공간 폐쇄기전에 대한 3차원 유한요소 해석의 비교 연구

        고신애,임원희,박선형,전윤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7 No.6

        교정 치료에서 발치공간 폐쇄는 치열을 이루는 모든 치아의 연속적인 이동으로 이루어지므로 그 기전은 복잡하다. 특히 전치부 치축을 적절히 유지하면서 구치부 고정원을 조절하는 과정은 정교함을 요하기 때문에 입체적 분석을 통한 치아이동 양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유한요소 분석은 초기 응력분포를 관찰하여 치아 이동 양상을 예측해 보는데 그쳤지만 이러한 양상만으로 정확한 치아이동 결과를 추정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유한요소 모델을 이용하여 상악 제1소구치 및 제2소구치 발치공간 폐쇄 시 전치부와 구치부의 입체적인 이동 양상을 단계별로 비교하여 그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자연치의 크기 및 형태를 갖는 상악 치아들과 브라켓, 교정용 호선 및 치조골부를 3차원 레이저 스캐너로 스캐닝한 후 사면체 요소의 유한요소모델을 제작하였다. 0.017" x 0.025" 스테인레스 강 호선에 제작된 bull 루프 후방에 10˚의 gable bend를 부여하고 한 번에 2mm씩 12회 활성화시켜 발치공간을 폐쇄시켰다. 그 결과 제1소구치를 발치한 경우 제2소구치 발치에 비해 전치부의 후방 이동량이 많았으며 구치부의 전방 이동량은 더 적게 나타났다. 전치부에서는 제1, 2소구치 발치 모두 비슷한 미약한 정출을 동반하였고 치축의 변화량은 제1소구치 발치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제2소구치 발치 시 고정원의 협측 이동량이 더 크게 나타났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closing extraction spaces between maxillary first premolar and second premolar extractions using 3-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FEA). Methods: Maxillary artificial teeth were selected according to Wheeler's dental anatomy. The size and shape of each tooth, bracket and archwire were made from captured real images by a 3D laser scanner and FEA was performed with a 10-noded tetrahedron. A 10˚ gable bend was placed behind the bull loop on a 0.017" x 0.025" archwire. The extraction space was then closed through 12 repeated activating processes for each 2mm of space. Results and Conclusions: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retraction of anterior teeth was less for the second premolar extraction than for the first premolar extraction. The anterior teeth showed a controlled tipping movement with slight extrusion, and the posterior teeth showed a mesial-in rotational movement. For the second premolar extraction, buccal movement of posterior teeth was highly increased.

      • KCI등재

        하악의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 식립 부위에서의 피질골 두께와 치근간 거리 : 3차원으로 재구성한 CT 영상을 이용한 연구

        임주은,임원희,전윤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8 No.6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의 식립 부위에 대한 연구는 주로 구치부 치근사이 공간에 집중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치에서 구치에 이르는 치아간의 피질골 두께와 치근간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 식립 시에 참고 할 수 있는 임상적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성인 28명(남자 14명, 여자 14명)의 CT를 V-works 4.0 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으로 전환하였다. 중절치에서 제2대구치에 이르는 모든 치아 사이를 치간 접촉점을 지나면서 교합 평면에 수직이 되도록 잘라 90° 단면을 형성한 후 치조정으로부터 높이를 달리하여 0, 15, 30, 45° 의 각도를 주어 피질골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또한 치조정으로부터 2, 4, 6 mm 높이에서 교합 평면에 평행하게 잘라 90° 단면을 만든 후 치근간 거리를 측정하였다. 피질골의 두께는 전치부에서 구치부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5-6과 1-1 사이, 6-7과 1-1, 1-2, 2-3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05). 치조정으로부터 2 mm 높이를 제외한 대부분의 위치에서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피질골의 두께가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4 - 6 mm 높이에 식립시 30 - 45˚ 이상의 각도를 부여해야 피질골 보유량(engage 양)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치근간 거리 측정 결과 4-5, 5-6, 6-7 사이가 치근 손상 없이 미니 임플랜트를 식립하기에 적절한 위치라고 볼 수 있었고, 1-1과 1-2 사이는 미니 임플랜트 식립을 위한 충분한 치근간 거리를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로 볼 때 피질골과 미니임플랜트의 접촉면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치조정에서 치근단부로 4와 6 mm 되는 부위에서 30˚ 또는 45˚ 로 식립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clinical guidelines to indicate the best location for mini-implants as it relates to the cortical bone thickness and root proximity. Methods: CT images from 14 men and 14 women were used to evaluate the buccal interradicular cortical bone thickness and root proximity from mesial to the central incisor to the 2nd molar. Cortical bone thickness was measured at 4 different angles including 0°, 15°, 30°, and 45°.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rtical bone thickness between the second premolar/ first permanent molar site, central incisor/central incisor site, between the first/second permanent molar site and in the anterior reg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rtical bone thickness was also found when the angulation of placement was increased except for the 2 mm level from the alveolar crest. Interradicular spaces at the 1st/2nd premolar, 2nd premolar/1st permanent molar and 1st/2nd permanent molar sites are considered to be wide enough for mini-implant placement without root damage. Conclusions: Given the limits of this study, mini-implants for orthodontic anchorage may be well placed at the 4 and 6 mm level from the alveolar crest in the posterior region with a 30° and 45° angulation upon placement.

      • KCI등재
      • SCOPUSSCIEKCI등재

        Orthodontic treatment of an impac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with dilacerations

        Chun, Youn-Sic,Lim, Won-Hee,Kim, Hye-Jin 대한치과교정학회 200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7 No.2

        Impaction with a severely dilacerated root is seldom reported, especially in the maxillary incisor. It is probably because of the high clinical difficulty associated with bringing the dilacerated tooth into proper position, and the high chance of failure due to ankylosis, external root resorption, and root exposure after orthodontic traction. Even the successful cases may need periodontal surgery to improve the unesthetic gingival shape. However, it has previously been reported that an impac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was successfully treated by proper crown exposure and orthodontic traction. This article presents a case of an invertedly impacted maxillary right central incisor with a developing dilacerated root, which was aligned into proper position after orthodontic traction composed of two stages of a closed eruption technique. 심한 치근 만곡을 동반한 매복은 흔하지 않으며, 특히 상악 전치의 경우에 그러하다. 이는 외과적 노출과 교정적 견인이 임상적으로 매우 어려우며, 치근유착, 치근의 외흡수, 교정적 견인 후 치근 노출 등의 위험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비록 성공적으로 치료된 증례라 하더라도 치은의 심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치주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본 증례보고는 발육중인 만곡된 치근을 가진 역위 매복된 상악 중절치의 closed eruption technique를 이용한 교정 치험예를 소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