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결절성 경화증 환자에서 발생한 출혈성 양측성 신혈관근지방종

        임원준,모태규,도복태,석욱,김명준,김병호,허방 고신대학교(의대)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1999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14 No.1

        We report a case of bilateral angiomyolipoma (AML) with massive left perinephric hemorrhage in a patient with tuberous sclerosis. The left renal mass was radiologically diagnosed as a typical angiomyolipoma with perinephric hemorrhage. The perinephric hemorrhage is probably due to spontaneous rupture of AML. Spontaneous perinephric hemorrhage is an uncommon entity and even rarer when the underlying cause is from the kidney. The perinephric hemorrhage resolved with conservative treatment, leading to the preservation of kidney.

      • 결정성 경화증 환자에서 발생한 출혈성 양측성 신혈관근지방종

        임원준,모태규,도복태,석욱,김명준,김병호,허방 고신대학교 의학부 1999 高神大學校 醫學部 論文集 Vol.14 No.1-2

        We report a case of bilateral angiomyolipoma(AML) with massive left perinephric hemorrhage in a patient with tuberous sclerosis. The left renal mass was radiologically diagnosed as a typical angiomyolipoma with perinephric hemorrhage. The perinephric hemorrhage is probably due to spontaneous rupture of AML. Spontaneous perinephric hemorrhage is an uncommon entity and even rarer when the underlying cause is from the kidney. The perinephric hemorrhage resolved with conservative treatment, leading to the preservation of kidney.

      • KCI등재후보

        주민참여형 CPTED 툴킷 개발에 관한 연구

        임원준(Lim, Won-Jun) 한국공공디자인학회 2021 공공디자인연구 Vol.1 No.-

        현재 공공기관의 디자인 사업은 결과물위주의 사업에서 시민의 참여를 바탕으로 하는 디자인사업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공공디자인 사업에서 참여디자인의 비중과 주민참여 워크숍의 실행이 점차 확대되며 참여디자인을 도울 수 있는 도구중 하나인 툴킷에 대한 연구 또한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주민참여형 CPTED 사업의 효과적 실행을 위한 툴킷의 개발을 위해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CPTED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요소를 활용하여 문제제기를 위한 문제카드, 문제 해결을 위한 실행카드를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카드를 배치할 수 있는 문제정의 워크시트와 문제해결 워크시트를 개발하였다. 각각의 카드와 시트를 활용하여 CPTED 워크숍을 진행하고 워크숍 이후 참여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행하여 CPTED에 대한 이해도와 CPTED 사업의 참여의지의 변화를 측정하여 CPTED사업에서 툴킷의 사용 효과에 대해 검증한 결과 툴킷을 이용한 워크샵 이후 CPTED에 대한 이해도와 참여의지 향상에 효과가 있으며 주민의견을 반영하거나 직접적인 참여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urrently, design projects of public institutions are changing from outcome-oriented projects to design projects based on civic participation. As the proportion of participating designs and the implementation of resident participation workshops in public design projects are gradually expanding, research on toolkit, one of the tools to help participating designs, is also increasing. This study derived CPTED elements based on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toolkit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resident-participatory CPTED projects, produced problem cards for problem solving, and developed problem-defined worksheets and problem-solving worksheets for deploying produced cards. Using each card and sheet, CPTED workshops were conducted and surveys were conducted on participants after the workshop to measure their understanding of CPTED an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CPTED projects.

      • KCI등재

        건설업 사고 발생원인 파악을 위한 사고 분석 모델 개발

        임원준 ( Won Jun Lim ),기정훈 ( Jung Hun Kee ),성주현 ( Joo Hyun Seong ),박종일 ( Jong Yil Park ) 한국안전학회(구 한국산업안전학회) 2019 한국안전학회지 Vol.34 No.1

        Accident analysis models were developed to improve the construction site safety and case studies was conducted. In 2016, 86% of fatality accidents occurred due to simple unsafe acts. Structure related accidents are less frequent than the non structure related causes, but the number of casualties per accident is two times higher than non structure one. In the view of risk perception, efforts should be given to reduce accidents caused by low frequency - high consequence structure related causes. In case of structure related accident, structural safety inspection and management (including quality), ground condition management / inspection technology, and provision of risk information delivery system in case of non structure related accident were proposed as a solution. I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safety related stakeholder, the main problem were the lack of knowledge of controller and player, loss of control due to duplicated controls, lack of communication system of risk information, and relative position error of controller and player.

      • KCI등재

        2세대 공공디자인 툴킷에 관한 연구 -서울시 공공디자인 사업을 중심으로-

        임원준 ( Lim¸ Wonjun ),장영호 ( Jang¸ Youngho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6

        (연구배경 및 목적)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디자인 씽킹을 비롯한 다양한 디자인방법론이 대두되며 기존지식의 충실한 수행보다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조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공공디자인 분야에서도 디자인 툴킷의 개발과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부분 사용되고 있는 디자인 툴킷은 해외 기업에서 만들어진 학습매뉴얼 타입의 툴킷 또는 이를 모방하거나 참고한 툴킷으로, 공공디자인 사업과는 연계성이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공공디자인 영역에서의 디자인 툴킷 사용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공공디자인 툴킷으로 구분, 현재 공공디자인 툴킷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새로운 디자인 툴킷 개발의 전망과 방향성 제시를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으로 분류되는 사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툴킷을 공공디자인툴킷으로 정의하였으며 가이드라인, 체크리스트 등으로 분류할 수 있는‘매뉴얼 툴킷’과 유저의 사용방법에 따라 다양한 결과물을 도출해낼 수 있는‘매니풀레이티브 툴킷’의 두 가지 유형으로 공공디자인 툴킷을 구분하였다. 구분된 공공디자인 툴킷의 현황과 구성을 분석하여 현재 공공디자인 툴킷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2세대 공공디자인 툴킷 개발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범죄예방환경디자인, 유니버설디자인의 경우 가이드라인, 체크리스트 등과 같은 매뉴얼 툴킷을 적용하여 운영하고 있지만 매니풀레이티브 툴킷은 사용되고 있지 않았고, 사회문제해결디자인, 도시 및 시설물디자인의 경우는 조작가능한 특성을 가진 툴킷이 사용되고 있지만 그 형태가 다양하지 않아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하거나 하는 구성주의에 기반을 둔다고 보기는 어렵다. 공공서비스디자인의 경우 매니풀레이티브 툴킷이 상대적으로 활성화되어있지만 대부분의 툴킷이 디자인 씽킹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에 기초하고 있어 툴킷 자체의 특이점이나 차이점을 찾아보기 어렵다. (결론) 따라서 2세대 공공디자인 툴킷의 개발을 위해서는 디지털 매체의 활용으로 장소의 제약이 없거나 유저가 직접 툴킷의 구성을 변경, 보완하여 사용하는 등의 전망이 기대되며 공공디자인 유형별 디자인 방법론의 적용과 유저간 다양한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등 공공디자인 툴킷 영역의 확장가능성을 가질 수 있으며 4차 산업 기술과 접목시킨 형태의 공공디자인 툴킷의 개발이 필요하다.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various design methodologies including design thinking are emerging and it is becoming more important to create new ideas than to faithfully following existing norms and knowledge. In the public design filed, design toolkits are also being developed and utilized. However, most of the design toolkits used in the field are learning manual-type toolkits made by overseas companies, or toolkits made by imitating or referring to them. Therefore, they seem to lack in connectivity with public design projec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use of design toolkits in the public design area, classify them into public design toolkits, analyze the problems of current public design toolkits, and present the prospects and directions of new design toolkit development (Research Method) In this study, toolkits used in the public design projects are classified as public design toolkits, which are divided into two types such as “Manual toolkit” that can be classified by guidelines, checklists, etc. and “Manipulatory toolkits”that can produce various results according to the user's usage. This study presented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2nd generation public design toolkit that improves the problems of the current public design toolkits by analyzing the status and composition of the classified public design toolkit. (Results) The crime prevention environment design and universal design used Manual toolkits such as guidelines and checklists, but they did not use manipulative toolkits. In case of social problem solving design and urban and facility design, various toolkits with manipulative characteristics we reused, but the forms are not diverse, so it is difficult to say that it is based on constructivism that generates new ideas. In the case of public service design, the manipulative toolkits are relatively actively used, but most of the toolkits are based on a service design methodology rooted in design thinking, so it is difficult to find the singularities or differences of the toolkit itself. (Conclusion) Therefore, for the development of the 2nd generation public design toolkit, it is expected that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location due to the use of digital media, or that the user directly changes and supplements the composition of the toolkit. It can have the expandability of the public design toolkit domain, such as applying the design methodology for each type of public design and enabling interactions among user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ublic design toolkit in the form of grafting with 4th industrial technology.

      • KCI등재

        Space Syntax 기반 여성의 안전한 여가활동 경로 추천 애플리케이션

        임원준(Won-Jun Lim),이강희(Kang-Hee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0 No.1

        본 논문에서는 Space Syntax 이론을 적용한 여성의 안전한 여가활동 경로를 추천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하고 구축한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일반적인 네비게이션이 우선순위로 가지는 최단시간, 최단거리 탐색과는 다르게,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 경로를 탐색하게 된다. 접근성, 지역 간 상호관계 등을 바탕으로 추천경로를 생성하고 여성의 여가활동에 있어 다양한 위험요소를 염두에 두게 된다. 결과적으로 Space Syntax 알고리즘을 통해 여성 사용자들의 주관적 선택사항이 적용된 자기맞춤형 경로를 선택 가능하게 한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implement an application that recommends safe paths for outdoor leisure activity of women based on Space Syntax theory. Compared to general navigation systems which focuses on the shortest time or the shortest distance, the proposed application makes safe paths the first priority. It generates path recommendation with regard to accessibility of travel time and correlation of regions and considers various risk factors for searching for the safest path. Concludingly, the employed Space Syntax algorithm enables the women users to select their own customized paths.

      • Space Syntax기반 여성의 안전한 여가활동 경로 추천앱

        임원준(Won-Jun Lim),박수아(Su-A Park),박민주(Min-Joo Park),이강희(Kang-Hee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본본 논문에서는 Space Syntax 이론에 기반하여 여성의 안전한 여가활동 경로를 추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이 어플리케이션은 접근성, 지역 간 상호관계 등을 바탕으로 한 계산을 통해 추천경로를 만든다. 이는 일반적인 네비게이션이 가지는 최단시간, 최단거리 탐색과는 차별성을 가지며,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 경로를 탐색한다. 오늘날 늘어난 여가시간에 따라 사람들의 레저 활동이 많아지며, 따라서 여성의 경우도 참여율에 높아진다. 이 때 여성의 경우 안전적 문제에 있어 레저 활동 장소까지의 경로를 추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레저활동과 여성안전에 관련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위험요소를 염두에 두어 계산을 통해 안전한 경로를 제공하는 알고리듬으로 주관적 선택사항을 적용하여, 자기맞춤형 경로를 선택 가능하게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