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ry Matter Yield and Nutrients Uptake of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Grown with Different Rates of Livestock Manure Compost

        임상선,이상모,이승헌,최우정,Lim, Sang-Sun,Lee, Sang-Mo,Lee, Seung-Heon,Choi, Woo-Jung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2010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3 No.4

        To investigate the growth and nutrient uptake response of sorghum${\times}$sudangrass ($S{\times}S$) hybrid to different rate of livestock manure compost,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grassland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ix treatments were laid out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triplicates; control (no input), synthetic fertilizer (20 g N $m^{-2}$ and 20 g $P_2O_5\;m^{-2}$), compost 1 (3.4 g N $m^{-2}$ and 3.6 g $P_2O_5\;m^{-2}$), compost 2 (6.8 g N $m^{-2}$ and 7.2 g $P_2O_5\;m^{-2}$), compost 4 (13.4 g N $m^{-2}$ and 14.4 g $P_2O_5\;m^{-2}$), and compost 6 (20.2 g N $m^{-2}$ and 21.6 g $P_2O_5\;m^{-2}$). Ninety days after treatment, above-ground parts of the plants were harvested and measured for dry matter yield (DMY) and amounts of nutrients (N and P) uptake. Synthetic fertilizer application achieved the greatest DMY (2.4 kg $m^{-2}$) and nutrient uptake (38.3 g N $m^{-2}$ and 15.3 g $P_2O_5\;m^{-2}$). Increasing compost application rate tended to enhance DMY accumulation and nutrient uptake (P<0.01), but DMYs of compost 4 (1.9 kg $m^{-2}$) and 6 (1.8 kg $m^{-2}$) treatments were not different.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application compost alone may not achieve DMY of $S{\times}S$ hybrid compatible to synthetic fertilizer application. As nutrient uptake efficiency data showed that availability of compost P could be better than SF, it might be a strategy to apply compost as P source with supplementary N application such as liquid manure, SF or green manure if necessary considering availability of N input and the yield goals. 가축분 퇴비 시용 수준에 따른 수수${\times}$수단그라스 ($S{\times}S$ hybrid)의 수량 및 양분 (N, P)흡수 변이를 조사하기 위해 전남대학교 부속 농장 초지에서 3반복 난괴법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6개 처리 (무비구, 화학비료관행구, 퇴비 1, 2, 4, 6 수준)를 두었는데, 화학비료관행구의 비료 처리량은 질소 20 g N $m^{-2}$과 인산 20 g $P_2O_5\;m^{-2}$이고, 가축분 퇴비는 6 수준을 기준시비량 (20.2 g N $m^{-2}$과 21.6 g $P_2O_5\;m^{-2}$)으로 두고 퇴비 1, 2, 4 수준은 그 비율대로 감비하였다. 처리 90일 후 최종 지상부 건물중과 양분 (N, P) 흡수량을 조사하였다. 화학비료 처리구의 건물중 (2.4 kg $m^{-2}$)과 질소 (38.3 g N $m^{-2}$) 및 인산 (15.3 g $P_2O^5\;m^{-2}$) 흡수량이 가장 높았으며, 퇴비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건물중과 양분 흡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P<0.01). 하지만, 퇴비 4와 6 수준의 건물중은 각각 1.9 kg $m^{-2}$과 1.8 kg $m^{-2}$으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가축분 퇴비 단독 시비로는 화학비료와 대등한 건물 생산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다. 양분흡수효율 분석 결과에 의하면 퇴비의 인산흡수 효율이 화학비료보다 높았기 때문에, 퇴비를 인산 급원으로 시용하고 부족한 질소는 농가의 비료자원 수급 가능성과 목표 수량을 고려하여 액비, 화학비료, 녹비 등으로 공급하는 것이 적절한 시비 전략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朴殷植의 『渤海太祖建國誌』의 검토

        임상선(Lim, Sang-sun) 한국사학사학회 2004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10

        Balhaethaejogeongukji which was written by Park eun-sik in 1911 has many meanings in Balhae(渤海) history. Above all Balhaethaejogeongukji is the first book that dealt with Balhae history after the practical science period. This book means on the subject of the establishment of Balhaethaejo but also really described the whole Balhae history from the founding to the early 9th century. And this book dealt with various fields which included politics, society, culture, customs, diplomacy, geography and so on in the whole Balhae history. Second in the situation that had national rights taken away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Balhaethaejogeongukji studied the whole Balhae history with Koguryo(高句麗) which was an extension of noticing Manju(滿洲) area for life and an independence movement. Park eun-sik told it was important that we knew our history to recover our race and nation and the system followed Dangunchosun(檀君朝鮮), Koguryo and Balhae.Third it is different that Park eun-sik described the whole Balhae history on a survey on the other hand Chin chae-ho(申采浩)'s description about Balhae stayed the step on the theory of knowledge. It is a lot of analogous contents between Chin chae-ho's Doksasinron(讀史新論) was published in 1908 previous Park eun-sik and Park eun-sik's Balhaethaejogeongukji. Finally understanding Balhae history of Park eun-sik succeeded to previous realist and affected the study about Balhae history of contemporary and after nationalism historians greatly. Recognizing Nambukjo(南北朝) of Balhae and Shira(新羅) was affected by Yu dekgong(柳得恭), Kim jeng-ho(金正浩) and Kim taek-young(金澤榮). Men who recognized and emphasized that Balhae acceded to Koguryo and had great importance in Korean history were Yu dek-gong, Kim taek-young, Jang ji-yeon(張志淵), Chin chae-ho and so on. And Park eun-sik exerted great influence on recognizing Balhae of Shin gyu-sik(申圭植), Jang do-bin (張道斌), Kwon duk-gyu(權悳奎), Hwang ui-don(黃義敦) and Kim sang-gi(金庠基) after Balhaethaejogeongukji.

      • KCI등재

        渤海人의 契丹 內地로의 강제 遷徙와 居住地 檢討

        임상선(LIM Sang-sun) 고구려발해학회 2013 고구려발해연구 Vol.47 No.-

        渤海 멸망 이전 契丹의 遼東 지역 점유 과정으로부터 928년 東丹國의 遷徙에 이르기까지 渤海 지역에서 契丹 內地로의 渤海人의 천사를 『遼史』 地理志를 중심으로 검토해 보았다. 발해가 멸망하기 이전에 거란 지역에서 발해인이 거주한 곳으로는 上京道에서는 臨潢府의 潞縣, 饒州의 長樂縣이 있다. 東京道에서는 遼州, 同州의 東平縣·永昌縣, 瀋州 소속 巖州의 白巖縣, 廣州, 銀州, 辰州가 있었다. 926년 발해 멸망 직후, 발해인이 천사된 지역으로는 上京道에서 臨潢府의 長泰縣, 定?縣, 保和縣, 宣化縣이고, 祖州의 長?縣, 懷州의 扶餘縣·顯理縣, 慶州의 富義縣, 永州의 長寧縣·義?縣, 饒州의 臨河縣·安民縣에 발해인이 있었다. 東京道에서는 通州의 扶餘縣·顯義縣·强帥縣, 龍州의 黃龍縣·遷民縣, 韓州가 있고, 이밖에 중경도 錦州 소속의 巖州도 발해 포로로 이루어진 주였다. 928년 12월부터 거란은 後患을 염려하여 옛 발해 지역에 있던 東丹國과 그 주민을 거란 지역으로 천사시켰다. 발해 上京龍泉府는 東京遼陽府의 遼陽縣·仙鄕縣·鶴野縣·析木縣·興遼縣, 그리고 湖州와 渤州로 천사되었고, 中京玄德府는 盧州·鐵州·興州는 발해와 거란의 주의 명칭이 같고, 거란 崇州는 발해 榮州를 잘못 표기한 것으로 생각된다. 東京龍原府의 慶州가 거란에서는 開州로 명칭이 바뀌었고, 나머지 鹽·穆·賀 3州는 명칭이 바뀌지 않은채 옮겨졌다. 西京鴨?府의 神州는 거란에서는 ?州로 개칭되고, 나머지 桓州, ?州, 正州는 명칭이 바뀌지 않았으며, 南京南海府의 沃州는 거란에서는 海州로 바뀌고, 해주의 소속 주인 耀州와 嬪州는 남경남해부의 椒州와 晴州가 명칭이 바뀌어 옮겨간 것이다. 5경 이외에 遂州와 信州는 발해의 懷遠府에 있던 주민이 옮겨간 곳이고, 발해의 특수한 주인 ?州·銅州·涑州의 3개 州도 천사되었다. 『요사』 지리지에서 천사 시기를 밝히지 않고, ‘本 무슨 무슨 곳 --- 故縣’, 혹은 ‘故縣’ 만으로 표시된 州, 縣은 東丹國이 천사될 때의 주, 현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천사된 戶는 각 府·州·縣의 지배적 집단이었을 가능성이 높고, 그 호수는 모두 발해인이라 하더라도, 이것이 각 부·주·현의 전체 호수라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This study reviewed the Balhe People’s deportation from their Balhae territory to the inland of Gulran during the period from the Gulan tribal’s occupation on the Liadong region before the Balhe’s fall to the nation Dongran’s deportation in 928 around the geographic book 『The Khitans’ History』 As the areas that Balhae people had resided in Khitan’s ruling region before the Nation Balhae fell, there were Ro-hyun in Limwhang-bu, Sanggyeong-do and Jangak-hyun in Yo-ju. In Donggyeong-do, some Balhae people lived in Ryo-ju, Dongpyung-hyun and Yeongchang-hyun in Dong-ju, Baekam-hyun in Am-ju govered by Sim-ju, Gawng-ju, Eun-ju, and Jin-ju. Immediately after the Nation Balhae fell in 926, some Balhe people were forcibly moved to Jangtae-hyun, Jeongpae-hyun, Bowha-hyun and Seonwha-hyun in Limwhang-bu, Sanggyeong-do, Jangpae-hyun in Jo-ju, or Buyeo-hyun and Hyeon-rhiyun in Whoi-ju, Buihyun in Geyong-ju, Jangneyong-hyun and Woipung-hyun in Yeong-ju, or Limha-hyun and Anmin-hyun in Yo-ju. In Donggyeong-do, as the regions where the Balhae people lived, there were Buyeo-hyn and Hyunwoi-hyun and Gangsu-hyun in Tong-ju, Whangryonghyun, Cheonmin-hyun in Yong-ju, and Han-ju. Besides, Am-ju governed by Geum-ju, Junggyeong-do was made of Balhae captives. Sine Decemer in 928, the Khitan government forcibly moved the people of nation Dongran which had founded in the former Balhae’s territory to some regions governed by the Nation Khitan in order to prevent Dongra’s people’s resistance. The residents in Sanggyeong Yeongcheon-bu, the capital of former Balhae were forcibly moved to Royang-hun, Seonhayng-hyun, Hakya-hyun, Seokmokhyun, and Hongro-hyun in Donggyeong Yoyang-bu, and some residents were forcibly moved to the regions of Ho-ju and Bal-ju. It is considered that the Ro-ju, Cheol-ju, and Heung-ju, the adminstrative districts of Junggyeong Hyunduk-bu might have the same names with Nation Khitan’s regions, and Sung-ju under the Nation Khitan might mistakenly been written the Yeongju under the Nation Balhae. Gyeong-ju in Donggyeong Yongwonbu changed its name into Gae-ju under the Nation Khitan, and the 3 states of Yeom-ju, Mok-ju and Ha-ju remanied their names. Shin-ju in Seogyeong Aprok-bu changed its name into Rok-ju under the Nation Khitan, and the rest s3tates of Whan-ju, Pung-ju and Jeong-ju remained their names. Ok-ju in Namgyoeng Namhae-bu was changed its name to Hae-ju under the Nation Khitan, and the both states of Yo-ju and Bin-hu governed by Hae-ju were the names changed from Cho-ju and Cheong-ju governed by Namgyeong Namhae-bu. Besides the 5 gyeongs, the both states of Su-ju and Sin-hu were the regions where the Balhae residents living lived in Hhoiwon-bu under the Nation Balhae were forcibly moved into, and the residnets in 3 states specially managed by the Nation Balhae were forcibly moved to Yeongju, Dong-ju, and Sok-ju. Jus and Hyuns written in form of former 00 hyun or simply a former hyun not being writing the deportation period in the geographic book 『The Khitans’ History』 are considered as the jus and hyuns at the time when the residents of Nation Dongran were forcibly moved. But only it is very possible that forcibly moved houses(戶) might be the ruling groups of each Bu(府), Ju(州) or Hyun(縣), and even though the number of forcibly moved houses(Ho) might be composed of all Balhae people, they couldn’t be considered the number of total houses in each Bu, Ju or Hyun.

      • KCI등재

        토양 수분 변동 조건에서 시비 및 유기물 투입에 따른 CO<sub>2</sub>와 CH<sub>4</sub> 방출 특성

        임상선,최우정,김한용,Lim, Sang-Sun,Choi, Woo-Jung,Kim, Han-Yong 한국환경농학회 2012 한국환경농학회지 Vol.31 No.2

        논 생태계를 모의하여 토양에 투입된 비료의 종류(AS, PMC, HV)와 토양 수분 변동조건(습윤기간, 전이기간, 건조 기간)으로 구분하여 $CH_4$과 $CO_2$ 플럭스를 조사하였다. $CH_4$ 플럭스는 0~13.8 mg $CH_4$/m/day의 범위에서 변화하였으 며, 시기적으로 습윤기간 초기와 전이기간과 건조기간 경계 시점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CO_2$ 플럭스는 습윤 초기에 최대 치를 보이고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전이기간에 다시 상승하 였다. 최종토양의 탄소함량 변화는 대조구에서-5.4%이었고, 비료 처리구에서는-7.5~-16.4%이었다. HV 시용은 타 비종 에 비해 $CH_4$과 $CO_2$ 플럭스를 증가시켰는데, 이는 녹비작물 이 가축분 퇴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분해성으로 배양 초기 에 유기물 분해에 의해 $CH_4$과 $CO_2$ 발생량이 높았기 때문이 다. AS나 PMC 처리구에서 $CH_4$ 플럭스가 대조구에 비해 낮았는데, 이는 AS의 ${SO_4}^{2-}$와 퇴비에 함유된 산화형 물질($Fe^{3+}$, $Mn^{4+}$, ${NO_3}^-$)과 같은 전자 수용체에 의해 습윤기간 중 이들 물질이 전자수용체로 활용되어 $CH_4$ 생성이 감소할 수 있음 을 의미한다. PMC와 HV의 탄소 손실률을 비교하면, HV와 같은 이분해성 유기물에 비해 PMC와 같은 난분해성 유기물 의 시용이 토양 탄소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는 HV와 같은 녹비 작물이 질소 공급의 측면에서 화 학비료를 대체할 수 있지만, 화학비료 시용에 비해 $CH_4$ 발생 이 증가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따라서, 이분해성 유기물(녹비 작물)과 난분해성 유기물(가축분퇴비)을 혼합 시용할 경우 양 분공급과 탄소저장량 증대에 모두 유리할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Agricultural inputs (fertilizer and organic inputs) and water conditions can influence $CH_4$ and $CO_2$ emission from agricultural soil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gricultural inputs (fertilizer and organic inputs) under changing water regime on $CH_4$ and $CO_2$ emission from a soil in a laboratory incubation experiment. METHODS AND RESULTS: Four treatments were laid out: control without input and three type of agricultural inputs ($(NH_4)_2SO_4$, AS; pig manure compost, PMC; hairy vetch, HV). Fertilizer and organic inputs were mixed with 25 g of soil at 2.75 mg N/25 g soil (equivalent to 110 kg N/ha) in a bottle with septum, and incubated for 60 days. During the first 30-days incubation, the soil was waterlogged (1 cm of water depth) by adding distilled water weekly, and on 30 days of incubation, excess water was discarded then incubated up to 60 days without addition of water. Based on the redox potential, water regime could be classified into wetting (1 to 30 days), transition (31 to 40 days), and drying periods (41 to 60 days). Across the entire period, $CH_4$ and $CO_2$ flux ranged from 0 to 13.8 mg $CH_4$/m/day and from 0.4~1.9 g $CO_2$/m/day, and both were relatively higher in the early wetting period and the boundary between transition and drying periods. During the entire period, % loss of C relative to the initial was highest in HV (16.4%) followed by AS (8.1%), PMC (7.5%), and control (5.4%), indicating readily decomposability of HV. Accordingly, both $CH_4$ and $CO_2$ fluxes were greatest in HV treatment. Meanwhile, the lower $CH_4$ flux in AS and PMC treatments than the control was ascribed to reduction in $CH_4$ generation due to the presence of oxidized compounds such as ${SO_4}^{2-}$, $Fe^{3+}$, $Mn^{4+}$, and ${NO_3}^-$ that compete with precursors of $CH_4$ for electrons. CONCLUSION: Green manure such as HV can replace synthetic fertilizer in terms of N input, however, it may increase $CH_4$ emission from soils. Therefore, co-application of green manure and livestock manure compost needs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achieve satisfactory N supply and to mitigate $CH_4$ and $CO_2$ emission.

      • KCI등재

        항온 배양 논토양 조건에서 비산재 처리에 따른 CH<sub>4</sub>와 CO<sub>2</sub> 방출 특성

        임상선,최우정,김한용,정재운,윤광식,Lim, Sang-Sun,Choi, Woo-Jung,Kim, Han-Yong,Jung, Jae-Woon,Yoon, Kwang-Sik 한국토양비료학회 201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5 No.5

        비산재 혼합에 의한 $CH_4$과 $CO_2$ 방출 저감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질소 ($(NH_4)_2SO_4$) 무처리구와 처리구를 두고 비산재를 0, 5, 10% 수준으로 혼합한 후 토양 수분 변동조건 (습윤기간, 전이기간, 건조기간)에서 60일간 실험실내 항온배양실험을 통해 $CH_4$과 $CO_2$ flux를 분석하였다. 전체 항온배양기간 중 평균 $CH_4$ flux는 $0.59{\sim}1.68mg\;CH_4\;m^{-2}day^{-1}$의 범위였으며, 질소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flux가 낮았는데, 이는 질소 처리시 함께 시용된 $SO_4^{2-}$의 전자수용체 기능에 의해 $CH_4$ 생성이 억제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질소 무처리구와 처리구에서 비산재 10% 처리에 의해 $CH_4$ flux가 각각 37.5%와 33.0% 감소하였는데, 이는 물리적인 측면에서 미립질 (실트 함량 75.4%)인 비산재 시용에 의해 통기성 대공극량이 감소되어 $CH_4$ 확산 속도가 저감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생화학적 측면에서는 비산재의 $CO_2$ 흡착능에 의해 $CH_4$ 생성의 주요 기작 중 하나인 이산화탄소 환원에 필요한 $CO_2$ 공급이 억제된 것도 원인 일 수 있다. 한편, 전체 항온 배양 기간의 평균 $CO_2$ flux ($0.64{\sim}0.90g\;CO_2\;m^{-2}day^{-1}$) 역시 질소 무처리구가 질소 처리구보다 높았다. 이는 일반적으로 질소 시비에 의해 토양 호흡량이 증가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상이한데, 본 연구에서 질소 처리에 의해 활성화된 미생물에 의해 $CO_2$ flux 최초 측정 시점 (처리 후 2일째) 이전에 이미 상당한 양의 $CO_2$가 이미 방출되어 실측 flux에 반영되지 못했기 때문으로 설명이 가능했다. $CH_4$과 유사하게 $CO_2$ flux도 비산재무처리구에 비해 비산재 10% 처리구에서 약 20% 감소하였는데, 이는 비산재의 원소 구성 중 Ca과 Mg과 토양수내 탄산이온의 탄산염 ($CaCO_3$과 $MgCO_3$)화 반응에 의한 $CO_2$ 침전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비산재 처리에 의한 $CH_4$과 $CO_2$ flux 감소에 의해 지구온난화지수 역시 비산재 10% 처리구에서 약 20% 감소하였다. 따라서, 비산재는 논 토양에서 $CH_4$과 $CO_2$ 방출 저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재 벼 재배 포장에서의 실험을 통한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To estimate potential use of fly ash in reducing $CH_4$ and $CO_2$ emission from soil, $CH_4$ and $CO_2$ fluxes from a paddy soil mixed with fly ash at different rate (w/w; 0, 5, and 10%)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fertilizer N ($(NH_4)_2SO_4$) addition were investigated in a laboratory incubation for 60 days under changing water regime from wetting to drying via transition. The mean $CH_4$ flux during the entire incubation period ranged from 0.59 to $1.68mg\;CH_4\;m^{-2}day^{-1}$ with a lower rate in the soil treated with N fertilizer due to suppression of $CH_4$ production by $SO_4^{2-}$ that acts as an electron acceptor, leading to decreases in electron availability for methanogen. Fly ash application reduced $CH_4$ flux by 37.5 and 33.0% in soils without and with N addition, respectively, probably due to retardation of $CH_4$ diffusion through soil pores by addition of fine-textured fly ash. In addition, as fly ash has a potential for $CO_2$ removal via carbonation (formation of carbonate precipitates) that decreases $CO_2$ availability that is a substrate for $CO_2$ reduction reaction (one of $CH_4$ generation pathways) is likely to be another mechanisms of $CH_4$ flux reduction by fly ash. Meanwhile, the mean $CO_2$ flux during the entire incubation period was between 0.64 and $0.90g\;CO_2\;m^{-2}day^{-1}$, and that of N treated soil was lower than that without N addition. Because N addition is likely to increase soil respiration, it is not straightforward to explain the results. However, it may be possible that our experiment did not account for the substantial amount of $CO_2$ produced by heterotrophs that were activated by N addition in earlier period than the measurement was initiated. Fly ash application also lowered $CO_2$ flux by up to 20% in the soil mixed with fly ash at 10% through $CO_2$ removal by the carbonation. At the whole picture, fly ash application at 10% decreased global warming potential of emitted $CH_4$ and $CO_2$ by about 20%.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fly ash application can be a soil management practice to reduce green house gas emission from paddy soils. Further studies under field conditions with rice cultivation are necessary to verify our findings.

      • KCI등재

        북방지역 種族의 繼承關係 검토

        林相先(Lim, Sang-Sun) 고구려발해학회 2014 고구려발해연구 Vol.50 No.-

        고구려와 발해의 주민이었던 ‘靺鞨族’을 비롯하여 女眞族, 滿洲族이 隋·唐·渤海 시기, 遼·金 시기, 그리고 淸에 이르기까지 상호 종족적으로 계승관계가 있는지에 대하여 검토하여 보았다. 수와 당 나라 시기의 말갈족은 발해 시기에는 발해에 참여한 ‘靺鞨’(粟末靺鞨 등)과 발해에 속하지 않은 ‘黑水靺鞨’로 구분된다. 遼나라 때에는 黑水靺鞨을 女眞이라 하고, 遼籍에 올라가 있는 여진(熟女眞)과 요적에 올라가지 않은 여진(生女眞)을 구별하였다. 渤海人은 女眞과 구별될 뿐 아니라 대체로 漢人과 유사한 대우를 받았다. 金 왕조는 자신의 선조가 遼代에 여진(그 중에서도 生女眞)이고, 발해 시기에는 흑수말갈, 그리고 그 이전의 勿吉이라 인식하였다. 금 태조 阿骨打가 ‘女眞과 渤海가 한 집안’이라 한 것은 遼 치하의 발해인으로부터 협조를 얻기 위한 목적에서의 언급일 뿐이며, 오히려 발해에 참여한 말갈과 여진의 전신인 흑수말갈 사이에는 어떠한 동류, 동족 의식도 보이지 않는다. 『三朝北盟?編』과 『大金國志』에서 女眞이 黑水靺鞨의 후예이면서 渤海의 別族이라 한 것은 흑수말갈이 발해와 族‘이 다르다’는 의미이다. 청대 滿洲族의 先祖 인식을 엿볼 수 있는 『欽定滿洲源流考』는 자신들을 黑水靺鞨, 女眞의 후손이라고 할 뿐, 발해에 참여한 粟末靺鞨과는 아무런 계승인식을 보이고 있지 않았다. 이상의 검토 결과, 靺鞨 → 渤海 → 金(女眞) → 淸(滿洲族)이 수미일관 종족적 연계를 갖고 있다는 주장은 중국의 正史 등의 기록에서는 그 합당한 논거를 발견할 수 없었다. This research paper examines that Malgal race(靺鞨族), which was the member of Goguryeo and Balhae, Yeojin race(女眞族), and Manjok race(滿族) had succession relationships one another in the term of races during Sui Dynasty(隋), Tang Dynasty(唐), Balhae Dynasty(渤海), Liao Dynasty(遼), Jin Dynasty(金) and Qing Dynasty(淸). Malgal race in the period of Sui and Tang Dynasties split over, in Balhae period, Sogmal Malgal(粟末靺鞨) which had participated in Balhae, and Heuksu Malgal(黑水靺鞨) which didn’t belong to Balhae. In the era of Liao Dynasty, Heuksu Malgal was named Yeojin(女眞) and distinguished from Balhae people. Jin Dynasty(金) regarded its ancestor had been Malgal in the period of Sui Dynasty and Tang Dynasty, Heuksu Malgal in the period of Balhae, and Saengyeojin(生女眞) in the age of Liao which was not listed on the register of Liao Dynasty among Yeojin. Manjok race, which founded Qing Dynasty, asserted only that they were offsprings of Heuksu Malgal and Yeojin, and they had no perception of succession with Sogmal Malgal which took part in Balhae.

      • KCI등재

        발해의 왕도 顯州와 中京치소 西古城의 관계

        임상선(LIM Sang-Sun) 고구려발해학회 2010 고구려발해연구 Vol.37 No.-

        발해의 초기 왕도였던 顯州와 中京의 치소로 비정되는 西古城의 관계를 문헌과 고고학적 성과를 중심으로 정리해 보았다. 舊國에서 현주로의 천도는 늘어난 영토의 효율적인 통치와 국력의 상승에 따라 天寶중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서고성이 발해시기 도성이 있던 현주인지에 대해서는 학계의 논의가 일치되지 않고 있다. 특히, 용두산고분군(용해고분군)에서 정효공주 이외에 文王과 簡王의 皇后墓등이 발굴되면서 서고성의 존재에 대하여 새로운 논쟁이 제기되고 있다. 서고성에서 발해 早期에 속하는 유물이 발견되지 않고, 주변에 있는 유적 증에서는 河南屯古城에서만 초기의 유물이 발굴되고 있다. 그렇다면, 현주성의 유지는 서고성이 아니고 하남둔고성이고, 이 성은 王都로서의 역할을 마친 후, 서고성에 수반하는 陸園이 되었다고도 추정하기도 한다. 현주가 서고성이 아니라 하남둔고성에 있었다고 한다면, 현주 시기에는 단지 府만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발해에서는 府가 먼저 생기고, 京이 뒤에 생긴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현재 알려진 부의 명칭은 방위적인 개념보다는 그곳의 과거의 명칭을 연용한 경우가 많고, 특히 경은 방위적인 개념이므로, 발해의 영역이 어느 정도 확정된 상태에서 정해진 것이 아닐까. 그런 의미에서 동경, 서경, 남경, 중경, 상경의 명칭이 생긴 것으로 볼 수 있겠다. 즉 경은 부에 비해서 뒤에 붙여졌을 가능성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서고성의 축조시기를 알기 위해서는 정효공주를 비롯한 유적의 절대편년을 알 수 있는 고분이 발굴된 용해고분군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현재 용해고분군에는 정효공주를 위시하여 그 이후의 왕족이 묻혔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렇다면, 이 고분군의 편년은 8세기 말 이후가 되고, 서고성이 현재와 같은 규모를 갖추게 되는 것은 대략 9세기 전반 이후로 추정된다. This paper concentrated upon literatures and archeological results about the relation between Hyeonju(顯州), Balhae’s initial capital, and Seogo Fortress(西古城) designated as Junggyeong(中京)’s county seat. The transfer of the capital from Guguk(舊國) from Hyeonju is shown to be achieved due to efficient ruling of extended territories and growth of national power. Currently, the academic world hasn’t shown the agreement of their opinions about whether Seogo Fortress was Hyeonju where castles were located in the period of Balhae. Particularly, according to excavation of tombs of Munwang(文王)’s Empress and Ganwang(簡王)’s Empress, in addition to Princess Jeonghyo(貞孝), in Yonghae(龍海) Ancient Tomb, a dispute has been newly aroused on the existence of Seogo Fortress. Remains in the early period of Balhae haven’t been discovered from Seogo Fortress, and initial remains are being excavated only from Henandun Fortress(河南屯城) in neighboring remains. Then, it is presumed that Hyeonju Fortress was located in Henandun Fortress, instead of Seogo Fortress, and this became a mausoleum zone belonging to Seogo Fortress after completing the Royal Capital’s role. If Hyeonju had been located not in Seogo Fortress but in Henandun Fortress, it is thought that there would have been only Bu(府) for the period of Hyeonju, the capital. It can be thought that Bu was first formed and then Gyeong(京) in Balhae. Generally, the name such as Bu, that has been currently known, used its past name continuously, instead of showing directional concepts. Particularly, as Gyeong has a directional concept, maybe it was determined in a state that territories of Balhae were determined to some extent, wasn’t it? In that sense, it can be understood that names such as Donggyeong(東京), Seogyeong(西京), Namgyeong(南京), Junggyeong and Sanggyeong(上京) were called. In other words, it is thought that Gyeong might be called later, in comparison with Bu.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struction period of Seogo Fortress, it is necessary to concentrate on Yonghae Ancient Tomb from which tombs were excavated, whose absolute chronologies of remains could be recognized including the tomb of Princess Jeonghyo. Now, it is assumed that in Yonghae Ancient Tomb, royal families were buried, starting with Princess Jeonghyo. Then, it is assumed that the absolute chronology of the Ancient Tomb was determined as the period after the end of 8th century, and Seogo Fortress was formed in a scale equivalent to the present about after the first half of 9th century.

      • KCI등재

        『帝王韻紀』에 보이는 北方王朝 인식

        임상선(Lim, Sang-Sun) 한국사학회 2011 史學硏究 Vol.- No.103

        10세기에서 13세기에 이르는 시기 渤海, 遼, 金, 그리고 元으로 이어지는 북방지역 왕조에 대한『帝王韻紀』의 인식을 검토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제왕운기』는 현존 사서중 가장 적극적으로 발해를 한국사의 체계속에 편입하였으며, 그 중에서 발해가 나라를 들어 고려에 귀부한 것을 높이 평가하였고, 925년 발해 유민의 고려 내투에 대한 기사는『제왕운기』가 1차 사료이다. 이승휴가 발해를 한국사 체계에 포함시킨 이유는 당시의 대내외 정세하에서 단군을 위시한 민족의식 고양과 일정한 관련이 있을 것이다. 거란족의 遼는 병사는 강하고 나라는 부귀하여 천만 명 騎兵으로 中朝를 제압하였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여진족의 金은 고려를 조상 나라라 하고, 양국은 형제 관계였다며 요에 비하여 비교적 긍정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몽골의 元은 해와 달같이 성한 나라라 하며 찬탄과 경이의 대상으로 바라보고 있는데, 이러한 이승휴의 인식은 당시 원이 중원을 통일한 세계제국이었고, 고려왕실과 혼인 관계에 있었던 것이 밑바탕에 깔려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원에 대한 서술이 분량상으로 이전의 왕조와 별반 다르지 않고, 오히려 적은 것은 의아스러운 점이다. 또한, 『제왕운기』에는 사실과 다른 부분이 있는 등, 중국사에 대한 이해 수준은 높지 않은 듯 하다. ?『제왕운기』는 중국 역대 왕조를 ‘正統’의 관점에서 정리하였다. 새로운 왕조를 개창하였더라도, 개국 이후의 시기가 짧고 다시 이전의 왕조로 돌아갈 경우에는 정통 국가가 아니라고 보았다. 힘으로 즉위한 경우 正脈을 이어 천하를 통일하면 ‘정통’이라고 하며, 遼를 五代와 달리 傍傳으로 취급하고, 北宋의 정통은 金에게 전해졌다고 하며 南宋을 제외하였다. 이와 같은 이승휴의 정통관은 元과의 관계에서 그 배경을 찾을 수 있다. 『제왕운기』에 보이는 중국 왕조 정통론이나 檀君을 시작으로 하는 통사적 한국사 체계는 그 후 고려 후기와 조선 시대의 역사서술과 정통론 논의에 큰 영향을 주었다. The result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Jewangunki』 for the dynasties in the northern region that is connected to Balhae (渤海), Liao (遼), Jin (金) and Yuan (元), in the period from 10 to 13 century is as follows. 『Jewangunki』 incorporated Balhae in the system of Korean history the most actively among existing histories. Inter alia, it highly appreciated that Balhae obeyed to Goryeo(高麗) of their own accord by taking the nation, and as for the record of immigration of wandering people of Balhae to Goryeo in 925, 『Jewangunki』is the primary historical records. The reason that Lee, Seung Hyu (李承休, 1224∼1300) included Balhae in the system of Korean history might have a certain relation with enhancing national consciousness including Tangun (檀君) under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uations. Liao (遼) of the Kitan put emphasis on domination of dynasty in central districts (中原王朝) with ten million mounted troops by that soldiers were powerful and the nation was wealth. Jin (金) of Jusen described more positively compared to Liao for which Goryeo is the land of forefathers and both countries were in the relationship of brotherhood. Yuan (元) established by Mongols watched it as the object of admiration and wonder for it was the prosperous nation like the sun and the moon. It is considered that the recognition of Lee, Seung Hyu like above was based on that Yuan was the world-wide empire that unified the region of central district and in the marriage relationship with royal family of Goryeo. Only, the description for Yuan was not particularly distinct from previous dynasties in the amount, rather that it is fewer is strange. In addition, the thing that there are parts that were different from the historic facts in 『Jewangunki』etc, it seems that the research level for the Chinese history was not on a high level. 『Jewangunki』arranged the Chinese dynasties in history in the point of view of authenticity. In spite of that new dynasty was derived, in a case that the period after foundation of country is short and returns to the previous dynasty, it was not authentic country. In a case that ascending the throne, it is called that ‘authenticity’ when unified the world by acceding to the proper line (正脈), and handled Liao as a side story (傍傳) unlike Wudai (五代, five dynasties) and excluded Namsong (南宋) for the authenticity of Northern region was passed down to Jin. The view of authenticity of Lee, Seung Hyu could be found its background in the relation with Yuan. The syntactic system of Korean history that begins to authentic theory of Chinese dynasties or Tangun appeared in 『Jewangunki』 had a great influence on historical presentation and discussion of authentic theory in the latter part of the Goryeo dynasty and Joseon(朝鮮) dynasty.

      • KCI등재

        깔개물질의 종류에 따른 한우-경종 결합 농가의 양분순환 구조 분석

        임상선(Sang-Sun Lim),곽진협(Jin-Hyeob Kwak),박현정(Hyun-Jung Park),이선일(Sun-Il Lee),이동석(Dong-Suk Lee),김용순(Yong-Soon Kim),윤봉기(Bong-Ki Yun),김선우(Sun-Woo Kim),최우정(Woo-Jung Choi) 한국토양비료학회 2008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1 No.5

        본 연구에서는 깔개물질에 의한 양분 유입 및 축사 내 분뇨 방치 및 퇴비화 과정 중 발생하는 양분손실이 양분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전남 지역 한우 농가(사육두수 100두, 경지 면적 2.5 ha) 를 대상으로 사료 → 가축 → 분뇨 → 퇴비 → 토양 → 사료의 양분순환구조를 분석하였다. 분뇨에 의해 발생한 질소와 인산을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톱밥을 깔개물질로 사용할 경우 질소 1.6%, 인산 3.1%, 왕겨의 경우 질소의 14.2%와 인산 27.4%가 추가로 공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양분수지 또는 양분순환구조 분석에서 깔개물질의 종류와 사용량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양분순환구조의 가장 큰 특징은 우사내 분뇨의 야적기간(21일)과 퇴비화 기간(90일) 동안에 발생하는 물질과 양분의 손실이었다. 톱밥퇴비의 경우 이 기간 동안 질소의 78.4%, 인산의 9.5%가 손실되었으며, 왕겨퇴비의 경우 각각의 손실률은 81.6%와 10.3%였다. 톱밥 퇴비의 물질 및 양분 손실률이 낮은 것은 톱밥의 C/N 비와 난분해성인 리그닌 함량이 높아서 유기물 분해가 상대적으로 느리게 일어났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기존의 양분 수지 연구는 대부분 분뇨 발생 시점의 양분함량을 기준으로 계산하였지만,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분뇨 발생 이후부터 농경지 시용 이전까지 발생하는 양분손실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깔개 물질의 특성을 고려하여 야만 정확한 양분수지 구명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nutrient cycling structure of a small farm (cattle of 100 heads and arable lands of 2.5 ha) in Jeonnam provinc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utrients input by the addition of bedding materials (sawdust and rice hull) and nutrients loss before the application to the soils (the period during manure storage in the feedlot and composting process) on nutrient cycling structure. Sawdust and rice hull added as bedding materials increased N by 1.6% and 14.2% and P2O5 by 3.1% and 27.4%, respectively, relative to the amount of nutrients produced by excre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addition of nutrients via bedding materials should be considered for better estimation of nutrient balance. The most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the nutrient cycling structure was loss of mass and nutrients during the storage (21 days) and composting period (90 days). During this period, 78.4% of N and 9.5% of P2O5 was lost from sawdust compost; meanwhile, the percentages of loss for rice hull compost were 81.6% and 10.3%, respectively. A lower percentage of nutrients loss in sawdust compost than that in rice hull compost was attributed to the relatively slow decomposition rate of organic materials in the sawdust compost which has higher C/N ratio and lignin contents.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estimation of nutrient balance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nutrient contents in the final compost being applied to the lands rather than the amount of nutrients contained in the livestock excretion. In addition, the effects of bedding materials on nutrient losses should be also taken into accou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