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COVID-19 대유행이 합계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분석: OECD 국가 간 비교를 중심으로

        임굉건,공현승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5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COVID-19 outbreak on fertility across countries. To achieve this, fertility decline rates were calculated for each country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epidemic,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rates and various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variables was analyzed. The study data were obtained from multiple sources and subjected to rigorous cleaning procedures to ensure data quality. Pearson correlation and linear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ive variables of interest, including GDP, GDP per capita, fertility decline rate, cumulative case rate, and cumulative death rate.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r = -0.440, p-value = 0.007) between the fertility decline rate and cumulative death rate. It suggests that countries with high fertility decline rat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ended to have lower cumulative death rates. Moreover, this study inferred that countries with lower fertility decline rates tended to have relatively low mortality rates due to the presence of solid social controls. Stringent social rules and norms, such as restrictions on social gatherings and mobility, were found to reduce the willingness and demand for marriage and childbearing, which may have contributed to lower fertility rates. Overall,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impact of the COVID-19 outbreak on fertility rates and highlights the role of social controls in shaping demographic outcomes during a pandemic.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mechanisms driving these relationships and develop effective policies to address the demographic implications of pandemics.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발생이 합계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COVID-19 발생 전후의 국가별 합계출산율 감소율 변화를 분석하고 합계출산율 감소율과 다양한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데이터의 단계별 분류를 통해 여러 출처의 데이터를 통합하였으며, 피어슨 상관분석과 선형회귀모형을 통해 각 변수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5개 변수(GDP, 1인당 GDP, 합계출산율 감소율, 누적 확진자 비율, 누적 사망자 비율)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합계출산율 감소율과 누적 사망자 비율 사이에는 음의 상관관계(r=-0.440)가 유의하게(p-value=0.007) 높게 나타났다. 이는 COVID-19 이후 합계출산율 감소율이 높게 나타난 국가들에서는 누적 사망자 비율이 낮은 요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합계출산율 감소율이 낮은 국가에서 강력한 사회통제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COVID-19로 인한 사망률이 비교적 낮았고, 또한 강력한 사회통제 하에서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의지 및 수요가 줄어드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고려인삼 수출과정에서의 장애요소 분석 – 중국, 홍콩, 대만에 대한 고려인삼 수출을 중심으로

        임굉건 고려인삼학회 2024 인삼문화 Vol.6 No.1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ssues in Korean ginseng exports through analyzing the ginseng market. Therefore, the study examined the current ginseng production status in South Korea and China, the major ginseng-producing countries in Northeast Asia, including cultivated areas, harvested areas, and production volumes. For South Korea, specific data on ginseng, such as average prices, operating costs, and production costs, were compiled to demonstrate the production competitiveness of Korean ginseng from a production perspective. Furthermore, as major ginseng-exporting countries, South Korea, China, and Hong Kong's export trends, including export quantities, export values, and export prices, as well as crucial export items and tariff rates, were summarized to showcase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Korean ginseng. Additionally,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consumption patterns of ginseng in China, Hong Kong, and Taiwan by presenting various cases and events in these countries. Based on information related to production, export, and consumption, this study identified obstacles in the ginseng export process, including market downturns, weakened price competitiveness of Korean ginseng, increased market share of competing products like Chinese and Western ginseng, a lack of promotion and marketing, and insufficient development and export of various ginseng products. In response, strategies for overcoming these obstacles were proposed, including diversifying exports, establishing effective production systems, enhancing quality and branding, strengthening promotion and marketing efforts, and developing various ginseng products.

      • KCI등재

        사람의 도시화: 중국 국가발전전략의 전환과 유동인구의 관리 및 육성

        김현정,임굉건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2022 亞細亞硏究 Vol.65 No.1

        As the Chinese Communist Party embarks on its second century, China’s internal migrants have been recently portrayed as key to national development under the newly launched “people-oriented” urbanization scheme. This massive shift is now enabling the so-called “floating population” to break the shackles of any mobility barriers and play a leading role in furthering China’s economic development. China’s policy on managing internal migrants has been remolded into a suitable tool to boost labor market performance and increase the availability of required talent or employees in each region. A “merit-based” migration system allows China’s talented youth to fully settle in large cities and other young migrants to obtain the hukou status if they meet the required criteria proposed by each local government. The Chinese government has also taken a further step towards the social inclusion of migrant workers by providing them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talent development or workforce training programs or granting them more welfare rights in their settled cities. It is hoped that collectively, these efforts will promote national growth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many young migrants in China. 새로운 100년을 맞이하여 중국 정부는 유동인구를 국가발전의 새로운 동력으로 삼는 ‘사람의 도시화’ 전략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이 거대한 전환 덕분에 유동인구는 도시-농촌 이원구조로 차별받던 과거에서 벗어나, 비로소 중국의 새로운 성장 패러다임으로의 이행 및 지식기반 경제의 발전을 이끄는 주체로 거듭나게 되었다. 중국에서 유동인구의 관리는 국가발전계획과 연동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정부는 지역별, 산업별, 기업별로 필요한 인력에 맞추어 유동인구를 재배치하고 있다. ‘점수적립제’라는 정책적 장치를 통해 국가 및 지역 발전전략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인구 이동은 유동인구에게 확장된 기회를 부여하고 있다. 또한, 청년세대 유동인구의 능력을 육성하거나 신노동자의 기술적 역량을 강화시킬 목적으로 설계된 ‘현대형 학도제’를 비롯하여 도시에서 이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사회복지 혜택을 확대하는 정부의 노력은 유동인구의 개인적인 성장 및 도시에서의 정착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 이로써, 능력기반의 점수 제도로 도시의 역량을 강화하면서도, 이와 동시에 기회에서 배제되는 개인들에게도 차별을 극복하고 성장할 수 있는 보완적 정책도 함께 마련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지역적 현상으로서의 플랫폼 노동: 중국 배달 플랫폼 “메이퇀와이마이(美团外卖)” 사례를 중심으로

        김현정,임굉건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3 아시아리뷰 Vol.13 No.3

        본 논문은 중국 배달 플랫폼 메이퇀와이마이의 사례 분석을 통해, 플랫폼 노동의 지역적 양상과 의미, 경험에 대해 논한다. 구체적으로, 플랫폼 노동이 전통적인 고용 노동자들의 보다 자유롭게 일하고 싶다는 기대에 부응할 방안으로 등장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여, 중국 사회에서 과연 플랫폼 노동이 확장된 자유를 보장하는지와 그에 따라 노동자들은 어떤 비용과 역경을 감내해야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중국 사회에 대한 조사 결과, 플랫폼 노동의 등장으로 말미암아 기존 고용 노동자들에게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유형의 일자리 선택지가 새롭게 생겨났고, 빈곤 가정의 수가 현저히 감소한 동시에 사회적취약 계층의 노동시장 진입이 예전보다 늘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른 한편, 여타 지역처럼 중국에서도 노동의 플랫폼화는 알고리즘을 수단 삼아 노동 과정 전반에 감시를 심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노동자들이 노조를 결성하기 어려운 상황을 초래하는 등 부정적인 사회 문제도 함께 야기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나아가, 본 논문은 중국의 플랫폼 기업이 단순히 경제적인 기능만을 담당하는 집단이 아닌, 정치적·사회적 조직으로도 역할하고 있음을 자세히 보인다. 메이퇀와이마이는 중국 정부에서 모범으로 설정한 사회 공익적 가치를 배달앱 노동자들에게 학습시킨다는 점에서 정치적 조직, 그리고노동자들에게 최소한의 사회적 권리를 보장하거나 더 나은 직업군으로의 이행을 위한 교육 및 훈련의 기회를 제공한다는점에서 사회적 조직으로 폭넓게 기능하고 있다. 이처럼 플랫폼 노동이 각 사회의 특수한 구조적·상황적 맥락 속에서 구체적인 양상으로 현실화된다는 점에 본 논문은 주목하며, 플랫폼 노동을 지역적 현상으로 접근·이해해야 마땅하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explores regional characteristics, meaning, and experience of platform labor by investigating a leading Chinese delivery platform company called Meituan Waimai. Specifically, we examine whether platform laborers are guaranteed more autonomy in Chinese society and what costs or hardships workers endure to gain said autonomy. We note that platform labor emerged as a solution to meet the needs of traditionally employed workers, who sought greater freedom in their work arrangements. Our findings reveal that the rise of platform labor expanded the range of employment options available to traditionally employed workers, significantly reduced the number of families in poverty, and made the transition into the labor market smoother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class. On the other hand, we observe that the platformization of labor in China, like in other regions, enables the algorithmic surveillance and control of laborers and potentially makes it difficult for workers to unionize. Moreover,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Chinese gig platform companies serve as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entities. Meituan Waimai plays a political role as it actively instructs its workers to align with the social values endorsed by the Chinese government. It also plays a social role by offering workers minimal social security and job education and training, thereby enabling them to pursue opportunities for better occupations. As such, platform labor takes on specific characteristics within the unique structural and situational contexts of each society. Therefore, platform labor should be examined and understood as a regional phenomen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