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교사 역할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분석

        이혜정(Hye-Jeung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4

        본 연구목적은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중등교사의 역할을 분석,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교직과정을 이수 중인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반성적 글쓰기를 실시하고, Colaizzi의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중등교육의 의미를 공감과 발견으로, 중등교사의 역할을 공감과 소통을 통한 꿈의 발견과 이의 실현을 위한 교과전문가로 여기고 있었다. 이러한 인식 형성은 경험과 이상의 불일치라는 과거 학교교육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1세기 예비교사들의 중등교사 역할 인식은 기존 교직관에 비추어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삶의 맥락에 주목한 지속적인 인식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중등교사 역할은 학교현장에서 요구되는 역할과는 다르며 이로 인해 이들이 학교현장에서 겪게 될 정체성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중등교육 개선이 요구된다. 셋째, 예비교사들의 반성적 성찰자로서의 면모는 교사전문성을 위한 정체성 확립 및 교육개혁의 근간으로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이를 위한 다양한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넷째, 임용고시준비로 운영되는 현 예비교사 교육과정에 대한 교수자, 예비교사들의 반성과 함께 제도적 차원에서의 개선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iew of pre-service teachers’ about middle school teacher’s role using reflective writing. Pre-service teachers considered meaning of education is sympathy and discovery. Therefore they considered middle school teacher’s role is discoverer of dream and subject master. The consideration of pre-service teachers’ about education and middle school teacher’s role was affected by their schooling experience.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the view of pre-service teachers’ about teacher’s role must not judgement according as former grouping on teaching profession. Second, The view of pre-service teachers about middle school teacher’s role is different with reality. So middle school management should be improve to minimize foreseeing dilemma. Third, To do improve pre-service teachers’ reflecting thought, various opportunity should be supported. Forth, it is need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reflection for pre-service teachers’ curriculum.

      • KCI등재

        교권침해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분석

        이혜정(Hye-Jeu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3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교권침해로 인한 교육위기의 심각성에 주목하여 예비교사들의 교권침해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대한 인식체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 소재 D대학교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대학생 85명을 대상으로 반성적 글쓰기를 실시하고, 이를 원인연쇄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예비교사들은 교권은 교육실천을 위한 법적 권리이자 사회적으로 부여된 윤리적 권리로 규정하면서 교사의 권리 및 학생의 학습권 보장과 사회유지를 위해 필요한 교육의 권리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권침해의 원인은 법적 규정 미비 및 실효성 여부, 과거 강압적 교육으로 인한 교사에 대한 불신, 입시위주 교육으로 사교육에의 의존 심화, 저출산으로 인한 내 아이 중심주의, 교사의 사회적 지위하락에 따른 사회적 인식의 변화로 공교육에 대한 불신과 학부모 이기주의가 근간을 이루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해결방안은 정부차원의 법적 보완과 공교육 강화, 학교차원의 책무성 강화와 교권교육, 교사차원의 소명의식과 소통, 사회차원의 상호존중의 문화 형성을 제안하였다. 결론 첫째, 교권은 가르침을 위한 힘의 기반이자 사회적으로 부여된 윤리적 권리이지만 인격함양자라는 교사의 역할에 주목함으로써 교권의 윤리적 성격에 초점을 두고 있었으며 둘째, 교권은 전문가로서 교사에게 주어지는 당연한 권리이지만 교사의 책임감을 강조함으로써 교사를 교권의 주체적 존재로 인식하고 있었고 셋째, 교권과 학생인권 간 대척적 관점을 비판하고 상호조화와 균형을 강조하여 교권의 학생인권과의 관계성에 주목하고 있었다. 한편, 교권침해의 원인은 사회구조적 측면에서 찾는 반면 해결방안은 상호존중을 본질로 하는 교육공동체 형성이라는 교육내적 측면에 주목함으로써 교권에 대한 인식체계가 교육의 본질에 대한 내면적 성찰을 통해 형성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iew of pre-service teachers about teachers rights paying attention to the seriousness of the educational crisis caused by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Methods For this, reflective writing was used for 85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enrolled D university locate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Results Pre-service teachers defined teaching rights as a legal right for educational practice and an ethical right socially granted for teaching given to teachers. They recognized that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occurred by lack of legal regulations to protect teachers when the teachers rights is violated, distrust of the coercive teachers experienced in school education in the past, intensifying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for children’s college entrance, excessive protection of children due to low birth rate and the change in the social perception of the role of teachers. They suggested that teachers rights could be restored through establishing the legal supplementation for teachers rights and strengthening the status of public education, strengthening the role of principal as a teacher's guardian, supporting the formation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throughout society and trying to have a sense of vocation for teaching by teachers themselves. Conclusions Frist, Pre-service teachers paid more attention to an ethical right arising from the nature of teaching as a personality cultivation than to a legal right given because of being a professional. Second, They recognized teachers as subjective beings in the teaching rights by emphasizing the responsibility of their teaching themselves. Third, They emphasized that teaching rights and student human rights should maintain mutual harmony and balance In light of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in education. Forth, It shows that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about teachers rights is being formed through internal reflection on the nature of education in that they find the cause of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in terms of social structure, while the solution is a formation of an educational community based on mutual respect.

      • KCI등재

        대학생들의 대학교육의 의미에 대한 인식 분석

        이혜정(Lee Hye-Je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 사회변화에 따른 대학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한 방안으로 대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대학교육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광역시에 소재하는 한 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교육의 의미에 대한 반성적 글쓰기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대학 생활을 통해 학문적 전문성과 학습의 자율성, 자유와 책임, 어울림을 통한 사회적 성장을 경험하는 반면, 과목선택의 제한과 학점부담, 취업위주 운영으로 불만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사회요구로 인한 취업 위주의 대학 구조조정과 교육과정 운영을 우려하였으며, 대학의 교육적 본질을 학문탐구와 인격함양으로 여기고 있었다. 따라서 대학이 교육적 본질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대학운영이 학습자를 중심으로 대학이 주체가 되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결론으로 첫째, 대학생들은 대학의 현실적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교육적 본질 회복을 위한 정체성 확립을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둘째, 대학생들의 대학의 교육적 본질에 대한 인식이 대학 생활을 통해 형성된다는 점에서 대학이 수행하는 중요한 교육적 기능에 주목할 필요가 있고 셋째, 대학의 교육적 본질과 정체성 확립을 위한 대학 차원에서의 진지한 고민과 방향설정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iew of undergraduates about mraning of university education. For this, reflective writing was used for 73 undergraduates who were enrolled university located in D metropolitan.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was appear that undergraduates went to experience specialties and autonomy as to learning, freedom and responsibility on their behaviors, and social growth through interaction with various peoples during university life. On the other hand, they were frustrated in that their subject options were really limited and felt so much pressure by obtaining higher grades. Above all they were dissatisfied with a university operating job-oriented business. Undergraduate had a perception that educational essences of university were pursuit on academics and character building of students. For recover educational essence of university, it is need that university must operate more autonomously and consider need of student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shows are follows. Fitst, undergraduates are more important university identity establishment for educational essence recovery than realistic needs for job. Second, it is showed that university carry out educational function in the way that undergraduates had become aware of educational essence of university through life experiences in university. Third, it is need that administrators of university must be seriously consider to draw up plan for establishing identity of university.

      • KCI등재

        행정실무사 제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개선 방안 탐구

        이혜정(Hye-Jeung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8

        본 연구는 행정실무사 제도 운영 실태에 대한 교원들과 행정실무사들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내 초·중등학교 교원들과 행정실무사들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원들과 행정실무사들은 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었으며, 교원업무경감 효과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운영 실태에 대해서는 업무분담은 ‘일방적’, ‘자발적’, ‘협의’의 방식으로, 업무성격은 ‘교원지원’과 ‘잡무’로 구분하고 있었으며, 업무분장에 대한 행정실무사들의 불만과 구성원들 간 갈등이 나타나고 있었다. 제도 시행의 성과로는 교원역량 강화, 행정실무사들의 정체성 확립, 수업 중심으로의 학교문화변화가, 문제로는 업무분담 기준의 모호성, 업무분담 시스템 부재, 구성원들의 역량 부족, 구성원들 간 소통 부재, 형식적 연수로 나타났다. 개선방안에 대한 결론으로 교사전문성 향상을 위한 학교문화로 변화, 교장 리더십의 중요성, 학교현장의 실상을 반영한 업무분장 마련, 행정실무사들에 대한 동료의식 강화, 역량강화를 위한 맞춤식 연수 제공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ays for effective operation of System of Administrative Executive Staffs(SAES) by analyzing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Administrative Executive Staffs(AES). To do so, FGI was used on teachers and AES, in Gyeonggi-do. As a result, teachers and AES agreed with SAES’ management and positively evaluated SAES’ performance in diminishing teachers’ administrative duties. AES classified methods of works-division into ‘one-way’, ‘voluntary’, ‘discussion’ and distinguished ‘trivial-works’ from ‘support-teaching works’. SAES’s positive outcomes were strengthening teachers‘ competencies, establishing AES’s identity, changing school atmosphere to focused-instruction. But there were also problems as workload sharing’s ambiguity, absence of system for workload-share, poor competencies of members, lack of communication among members, etc. Several ways for the successive operation of SAES are as follows; principal’s understanding and positive mind on SAES, offering manual of work-division reflecting the school’s real condition, teachers’ consideration on AES, offering proper training by considering one’s ability.

      • KCI등재

        대입전형과 사교육의 관련성에 대한 교원인식 분석

        이혜정(Lee Hye-Je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8

        본 연구는 대입전형과 사교육의 관련성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충남 지역 D시에 소재하는 일반계 고등학교 7개교의 교원들을 대상으로 2018년 1월과 2월, 2회에 걸쳐 질적 연구 방법인 FGI를 시행 하였다. 연구 결과, 교원들은 사교육은 개인적, 사회적, 교육적 요인이 상호 복합적으로 연계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대입전형과 사교육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상반된 견해를 보였다. 학생부종합전형의 사교육 절감효과에 대해서는 부정적 견해가 더 많았다. 개선방안으로는 정부주도의 정책수립 및 추진 지양, 대입전 형의 평가기준과 결과의 공개, 대입전형 평가요소와 학교교육과정과의 일치, 학교교 육과정 개선을 위한 교원들의 노력과 의지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결론으로 사교육과 대입전형의 관련성 평가는 학교, 학생, 평가 방식 등 실제 영향력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사교육 절감을 위해서는 대입전형의 평가요소와 고교교육과정과의 일치도및 평가방식의 타당도 확보가 필요하며, 사교육 유발 요인은 복합적이지만 학교혁신을 통해 교육의 본질적 역할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teachers opinions about relation between university admission system and private education. To do so, FGI was used and subjects of the study were teachers of 7 high schools in D city.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had a view that private education’s causing factors were personal factors, social factors and educational factors. And they understanded that private education was occurred connecting these factors in a complex way. Second, teachers held opposing viewpoints about the relation between university admission system and private education. Third,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of high school records had no effect in reducing the private education. Forth, the policy of university admission system should be planned and promoted by considering the opinions of the school, not government-led. And university should announce clearly for students and parents the evaluation’s bases and results of university admission system The discussion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It is worth noting that the relation between university admission system and private education affected by mixed-reality based situation. Second, for reducing privation education, it is need to correspond evaluation factors of university admission system with curriculum of high school. Third, it is important to concern on school renovation for establishing high school’s identity.

      • KCI등재

        대학생의 원격교육 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미 탐색

        이혜정(Lee Hye-Je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2

        목적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원격교육을 대학생들의 학습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그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D시에 소재하고 있는 사립대학 재학생 79명의 원격교육경험에 대한 수업성찰지를 분석하였다. 결과 대학생들은 시⋅공간적 자유로움과 함께 바뀐 교육환경에 대한 불안과 적응의 어려움을 겪게 되며, 자기주도학습을 체험하게 되면서 학습에 대한 자기관리와 책임의 중요성도 인식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방식에서는 학습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평가에서는 공정성과 변별력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다.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책임이, 교수자의 학습자에 대한 배려와 의사소통능력이, 대학의 시스템 구축과 학습자 요구 수렴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교육은 이전과는 달라진 교육방법으로 대학생들에게 자신의 학습에 대한 객관적인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며 둘째, 자기주도학습 체험을 통해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자기관리와 책임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고 셋째, 교수자-학습자 간 상호작용의 의미를 학문공동체적 관점에서 조망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넷째, 향후 대학은 학습자들의 교육에 대한 요구에 민감해야 하고 나아가 대학교육의 주체로서 대학생의 정체성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xploring the educational meaning of undergraduates’ experiene in distance education. Methods For this, class reflection paper was used for 79 undergraduates who were enrolled university located in D metropolitan. Results It was appear that undergraduates went to experience not only more freedom timely and spatially but difficulty adapting to changed learning environment by distance education. Also they came to realize the responsibility for learning themselves and importance of self-management in learning by experience self-direct learning. Undergraduates preferred convenience and efficiency in learning method and the fairness and discrimination in evaluation. In order to operate distance education, efficientlly, students should be participate in class actively and teachers must be sensitive to the learning situation of students. Also system for distance education must be build and students needs for learning should be supported at school level. Conclusions First, distance education is a different way of learning than before which allows undergraduates to objective reflect on their learning. Second,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experience through distance education, undergraduates realize the importance of self-management and responsibility for learning. Third, distance education provides undergraduates with the opportunity to realize the meaning of interactions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 from an academic community perspective. Forth, in the future university administrators must be sensitive to the needs of learners for education and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dentity of undergraduates as the subject of university education.

      • KCI등재

        공교육 내실화를 위한 교사 전문성 신장방안 탐색

        이혜정(Hye-Jeung L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0 열린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공교육내실화를 위한 한 방안으로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의 의미와 방안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교사의 견해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우리 사회 학교교육은 높은 학업성취도 이면에 심한 학력격차와 학교교육에 대한 낮은 만족도로 인해 학교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반성과 함께 공교육내실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교사 전문성 신장은 교직의 전문적 특성에 비추어 필요할 뿐 아니라 학교교육의 질을 좌우하는 주요요인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 하다. 연구결과 학교교육의 문제는 정부정책의 비일관성과 관리위주의 시도교육청의 역할, 행정위주 학교운영과 교사의 소극성, 대학입학위주 학교교육관 및 학력위주의 사회분위기가 지적되었다. 교사 전문성 신장방안으로는 교수능력향상을 위한 여건의 조성, 수업중심 학교운영 패러다임으로의 변화, 그리고 교육본질 회복을 위한 지원체제의 구축으로 제시되었다. 무엇보다 교사의 전문성은 교사의 교수능력향상에서 찾을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교사 전문성 신장 방안은 교사의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어야 하고, 교사 전문성 신장은 교사를 대상으로 하되 교사의 참여와 노력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ays of the improvement of teachers' profession to achieve the internal stability of the public education. In order to do that this study discusses the issue based on teachers' point of view. The school education in our society has received both expectation and dissatisfaction based on contradictory evaluation at the same time. Due to the fact that there is a growing academic ability gap and low satisfaction with the school education although the overall academic achievement has increased, it is necessary that the school education should go through self-reflection and ensure its internal stability in general. Furthermore, in order to satisfy the demand for the intensive educ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level of global and national tendency, the school education should aim to change for qualified improvement. The role of teacher in the school education is critically important, so that the improvement of teachers' profession. Also it is a crucial factor to the qualification of the school educ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problems of the school education have been found in terms of the inconsistent policy of the government, the role of the local educational office which focuses on preferred-administration, the school operation which focuses on administration, teachers' passiveness, the school philosophy focusing on university entrance and the social atmosphere concentrating in achievement ability. Several ways for the improvement of teachers' profession have been suggested. They are as follows; creating the condi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eachers' teaching ability, the change of paradigm for the operation of the class-centred school, the establishment of the supporting system in order to recover the nature of the school education. Most of all, teachers' profession can be found in the teaching ability which is the main job for teachers.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the teachers' profession is to increase the teachers' teaching ability. The ways of progressing teachers' speciality is significant in the point of that it enhances the quality of teaching. The improvement of the teachers' specialization should target the teachers, and also it should be carried out with the teachers' participation and efforts.

      • KCI등재

        대학생들의 조별발표수업 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미 탐색

        이혜정(Lee Hye-Je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9

        본 연구는 대학교에서 조별발표수업의 교육적 유용성에 주목하여 학습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한 대학교의 교직과정 이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2018년도 2학기 8~13주자까지 조별발표수업을 시행한 후 반성적 글쓰기를 실시, 이를 분석하였다. 반성적 글쓰기 분석 결과, 학생들은 조별발표수업에 대해서는 부담감과 불안감, 과제수행과정에 서는 시간조정과 내용이해, 발표 준비에 대한 책임감으로 어려움을 겪는 반면 협업을 통한 학습 효과와 집단 지성 경험, 소통과 배려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은 조별발표수업을 통해 학습에 대한 성찰, 교사되어보기, 사고의 재구성을 경험하고 자신감과 책임감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별발표수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조원들 간 관계형성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조별발표수업의 교육적 의미는 학생들로 하여금 협력을 통한 지적 성장, 소통과 배려의 중요성 인식, 그리고 성찰과 감사라는 인격적 성숙을 경험하게 한다는 점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교에서의 조별발표수업은 학생들에게 학습적 측면에서의 유용성 뿐 아니라 지적, 인격적 성숙을 통한 전인적 성장이라는 교육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ing educational meaning of the team presentation class for undergraduates using reflective writing. For this study, undergraduates of 57 participated in team presentation clas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appear that the most of participants were unwilling to do team presentation class because of anxiety on team members’ faithfulness and burden on group work. During the performance of team presentation class, they had a hard time to set up a time all meet together and a difficult time understanding the assigned contents as learner. On the other hand,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nd sympathy in people’s relationship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and experienced collective intelligence by exchanging opinions with each other. Second, team presentation class offered the opportunity to participants as follows; the review on self-learning, being teacher and expanding one’s thoughts through thinking’s reconstruction through group discussion. Third, educational meaning of team presentation clas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to lead the intellectual growth, to realize the value of communication and to consider in relationship, and to guide the character’ maturity of learn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eam presentation class is an effective learning-method to improve students’ learning capacity in university and moreover it clearly play a important role to accomplish educational nature as intellectual growth and maturity in character.

      • KCI등재
      • Lim의 성격유형 검사와 자기효능감 검사의 관계

        김정남(Kim Jeung Nam),김경순(Kim young Soon),이혜정(Lee Hye Jung)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6 韓國敎育論壇 Vol.5 No.2

        이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Lim의 성격유형검사(LCSI)와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한 후 두 검사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봄으로써 중학생의 성격특성을 이해하고, 성격유형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LCSI의 하위요인과 자기효능감 검사의 하위요인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도전성, 사교성, 신중성, 안정성과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도전성, 사교성, 신중성, 안정성과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용성과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LCSI의 네 가지 유형에 따른 자기효능감 검사 하위요인의 일원변량분석 결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분석형, 표출형, 주도형, 우호형 순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표출형과 분석형이 우호형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표출형이 주도형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LCSI(Lim's Charater Style Inventory) through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LCSI and Self-Efficacy Inventory. LCSI and Self-Efficacy were given to 281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and correlation anaylsis and one-way ANOVA were applied to data proces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LCSI can examine the middle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relatively well and LCSI and self-efficacy are correlated. Among five factors of LCSI, 'Challenging', 'Sociability', and 'Prudence' showed that Lim's theoretical hypothesis is correct. But 'Acceptability' was found that it is opposite relation with self-efficacy. Second, among LCSI's four character types, the most active and desirable type in general self-efficacy relations was IT and among LCSI's four character types, the most active and desirable type in social self-efficacy relations was EF. IF was found to be the most vulnerable type, while IT and EF had no problems in self 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LCSI and Self-Efficacy Inventory.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ing stud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