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저영향개발 기법의 효율적인 적용을 위한 전문가 인식 유형에 관한 연구

        이현지,이정아,유수진,전진형,Lee, HyunJi,Lee, Junga,You, Soojin,Chon, Jinhyung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3

        전 세계적으로 도시내 물관리 정책 적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대상지의 자연적인 물순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저영향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정책적으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저영향개발 기법의 이용 현황과 정책적 접근 방법, 개선사항 등에 대한 전문가적 견해의 인식 유형을 분석하고자 한다. 표본을 추출을 위한 전문가 심층 인터뷰는 31명의 LID와 관련된 공무원, 실무자, 연구원, 교수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모든 응답자는 28개의 Q-sort 진술문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응답 결과는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도출된 유형은 해당 진술문의 성격에 따라 다음과 같이 4개로 구분되었다: 정책시행 중시형, 전문가 이해 중시형, 매뉴얼 중시형, 그리고 실효성 중시형. 본 연구에서는 유형별 특성 분석을 바탕으로 국내에 적합한 저영향개발 기법의 적용을 위한 정책적 발전 방향을 논의하였으며, 저영향개발 기법의 적용 확대 및 효율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본 연구의 방법론 특성상 정량적인 연구결과 해석 시 연구자의 관점이 개입된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될 수 있으므로, 향후 정책 의사결정에 있어 유형별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상호 보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LID(Low-Impact Development) has received a great deal of attention in the field of urban water management. The spread of LID technologies as a natural drainage system has led to a rise in consider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policy in Korea. In this re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xperts' perception about utilization, applicability of policy, and improvements of LID by using Q-methodology. The sample included 31 experts who were government employees, landscape architects, researchers, and professors related to LID. All participants completed a 28-statement Q-sort task. Data was analyzed by using QUANL computer software. As a result of this study, four distinct experts' perceptions about LID are identified: Policy Enforcement Oriented Type, Expert Understanding Oriented Type, Manual Oriented Type, and Effectiveness Oriented Type. This study suggested appropriate directions related to LID technologies, and it is helpful to apply the domestic type's LID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LID in Korea. However, this study has a limit in which the viewpoint of the researcher intervenes: a complementary searcher is needed to verify the validity by type in policy decision-making.

      • KCI등재

        게임 디스플레이 종류와 안경착용 여부에 따른 영상의 인지된 특성, 프레즌스 그리고 피로도의 차이

        이현지,정동훈,Lee, Hyunji,Chung, Donghun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2 방송공학회논문지 Vol.17 No.6

        3D 영상 산업의 활성화와 함께 3D 영상이 적용됨으로써 유망한 산업 분야 중 하나가 게임이다. 2D에서 3D 그래픽으로 그리고 현재는 3D 입체영상으로 진화하면서 이용자에게 깊이감을 제공함으로써 더 큰 즐거움을 주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18세 이상 성인 중절반이 안경 또는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있을 정도로 안경 착용자가 많은 환경에서 3D 영상을 즐기기 위해서 또 다른 안경인 3D 안경을 착용해야 하는 것은 큰 불편이 아닐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게임에서의 입체영상 및 안경 착용여부가 영상의 특성, 프레즌스 그리고 피로도 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했으며, 실험결과 디스플레이와 안경착용의 상호작용효과는 프레즌스 구성요소 중 시간관여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2D 영상에서는 안경 착용자가 높은 반면 3D 입체영상에서는 안경 비착용자가 높게 인지하였다. 그리고 인지된 특성과 피로도 변인에서는 영상 여부의 주효과에서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된 특성 구성요소 중 선명도에서는 3D 입체영상 보다 2D 영상의 화질이 좋다고 평가하였으며, 피로도는 2D 영상 보다는 3D 입체영상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D images and videos are required viewers to wear 3D glasses. According to the data, about half of Korean people wear glasses or contact lens and this implies 3D video viewers may have a trouble due to putting a pair of 3D glasses atop their g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gamers' perceived characteristics, presence, and fatigue according to video gaming display (2D vs. 3D) and glasses whether wearing or not. The results show that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display and wearing glass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erceived presence, and the main effect of the displa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erceived characteristics and fatigue.

      • KCI등재

        한일 야구 구단 판매 상품 활성화 실태 비교

        이현지(Hyunji Lee),오치규(Chi-Gyu Oh)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6

        다양한 여가생활이 늘어나면서 그 중에서도 접근성이 좋은 스포츠 관람이 인기가 많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의 쾌거를 기록한 프로야구는 4대 구기 종목 중 단연 인기가 높다. 최근엔 중계권 수익과 더불어 구단에서는 다양한 판매 상품을 개발하여 수익을 얻고자 한다. 하지만 스포츠 상품 관련은 한국보다 일본의 프로야구단들이 더 앞서 있고 상품판매로 얻는 수익도 많다. 어떤 차이가 있어 양국의 상품판매가 차이가 나는 것인지 비교해보고자 한다. 국내 프로구단 최초로 흑자를 기록한 ‘롯데 자이언츠’와 일본 프로구단 중에서 40년 이상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히로시마 도요 카프’를 선정하였다. 구단의 매출액부터 오프라인, 온라인 숍, 그리고 상품 구성과 그 상품 구성에 영향을 끼친 요인을 비교하여 두 구단의 상품 구성의 차이점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분석 요인에는 총 3가지 요인을 선정해 분석하였다. 가격에 따른 요인에는 프로야구참여 관련특성 지출비용 변인과 각 구단의 상품가격대를 이용해 분석하였고, 대상에 따른 요인은 여성대상의 상품과 영 · 유아 대상의 상품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캐릭터 디자인에 따른 요인에서는 공식 캐릭터와 판매용 캐릭터의 비교를 통해 분석하였다. The significance of leisure activities is highlighted, and professional baseball games, which featured the 2008 Beijing Olympics gold medal, are very popular. In recent years, along with the revenue from broadcasting, the club has been trying to gain revenue by developing various licensing products and merchandising products. However, sports related products are more advanced than Japanese professional baseball teams in Korea, and there is a lot of revenue from product sales. We want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sales of their products.

      • Markov Transition Field를 적용한 RSSI 신호 기반 실내 위치 인식 연구

        이현지(Hyunji Lee),김규리(Guri Kim),구연우(Yeonwoo Gu),강지헌(Jiheon Kang),이재호(Jaeho Lee)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Wi-Fi 및 BLE 기반 핑거프린트 방식의 경우, 모바일 기기에서도 별도의 센서 없이 측위가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실내 측위 기술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내 환경에서의 RSSI는 주변 장애물과 다중 경로 효과에 의해 신호가 왜곡되고 세기가 약해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불안정한 RSSI 기반 실내 위치 인식 정확도 향상을 위해 non-GPS 실내 환경에서 BLE RSSI 기반 핑거 프린트 방식 실내 측위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검증 방안으로써 2m×3m 실내 공간의 8개의 AP에서 얻은 RSSI 신호를 시계열 데이터 이미지화 알고리즘인 Markov Transition Field로 변환하여 데이터셋을 구축했다. 제안된 모델은 변환된 데이터를 통해 범위 내의 위치를 분류하도록 학습된다. 실험 결과를 토대로, 테스트 정확도 97.6%, 98.2%를 나타냈으며 이는 이미지화 알고리즘의 CNN 적용이 우수한 성능을 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

      • 조선시대 掖庭署의 왕명 전달 활동과 그 의미

        이현지 ( Lee Hyunji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2023 韓國史論 Vol.69 No.-

        본 논문은 承政院 및 內侍府 중심의 공식적인 왕명 출납 체계 속에서 掖庭署가 수행한 비공식적 왕명 전달 활동의 양상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조선시대의 공식적인 왕명 출납 기구는 승정원이었다. 그러나 다양한 층위의 왕명을 승정원에서 모두 출납하는 것은 불가능했으므로, 실제로는 승정원 承旨뿐 아니라 내시부 承傳色과 액정서 司謁 역시 왕명 전달 업무를 분담했다. 단 내시부와 액정서의 업무는 왕명 전달 체계 속에서 명확히 구분되었으며, 액정서는 내시부의 속사가 아닌 국왕 직속 관서로서 업무를 수행했다. 조선 초기의 액정서는 관서의 명칭과 직명 등 여러 면에서 고려시대의 掖庭局과 유사했다. 개국 초 宮殿별로 인력이 나뉘어 있었던 액정서는 세종대와 세조대를 거치면서 점차 국왕과 왕비, 왕세자를 중심으로 통합되어갔다. 액정서 관원들은 궁중의 다양한 잡무를 수행했지만, 傳謁은 신료들의 계사 및 알현 요청과 그에 대한 국왕의 답변을 전달하는 업무로서 최고위직인 정6품 사알에게만 부여되었다. 사알은 外庭과 內庭 간의 연결이 요구되는 거의 모든 자리에 동원되어 군신 간의 소통을 보조했다. 조선 전기의 액정서 논의는 주로 실무적인 문제, 즉 사알이 승지와 승전색 사이에서 왕명 전달에 개입하는 문제를 둘러싸고 이루어졌다. 왕명 출납에 직접 관여하는 실무자들을 제외하면, 국왕과 일반 신료들은 대체로 승지와 승전색 중심의 왕명 출납을 선호했으며, 사알은 중요도가 낮은 사안만 제한적으로 전달해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조선 전기에는 액정서 관련 논의 역시 대개 일회성 언급에 그쳤을 뿐 확대되지 않았다. 반면 17세기에는 公私 인식의 문제가 더해지면서 국왕 대 신료의 대립 구도 속에서 액정서에 대한 논의가 전개되었다. 신료들은 宮府一體論을 내세워 액정서의 공사를 승정원을 경유해 처리할 것을 요구했고, 그 결과 인조대 이후로는 사실상 승정원에서 액정서에 대한 통제권을 갖게 되었다. 같은 시기에 제출된 柳馨遠과 丁若鏞의 액정서 개편론은 액정서를 비롯한 국왕의 사적 영역을 최대한 국왕과 신료들이 공유하는 공적 영역으로 포섭하고자 했던 조선 후기 신료집단 공통의 지향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액정서를 국왕의 사적 영역으로 간주하고 경계했던 신료들과는 달리, 조선 후기 국왕들은 직속 기구인 액정서를 각별하게 대우했다. 액정서 관원들이 문제를 일으킬 때면 국왕은 啓聞治罪의 관행을 내세워 직속 인력에 대한 존중을 강조했다. 반면 신료들은 이러한 국왕의 논리를 私意라고 비판하며, 공정한 사건 처리를 요구했다. 18세기의 국왕들은 강화된 왕권을 바탕으로 한층 적극적으로 액정서 관원들을 옹호했는데, 정조는 여기에 더해 傳命司謁을 신설함으로써 액정서의 기능을 더욱 강화했다. 정조는 직제 개편을 통해 기존에 없던 전명 기능을 사알에게 공식적으로 부여함으로써, 액정서가 공적 체계 속에서 사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했다. 전명사알은 정조대의 정책 기조를 계승한 고종 연간에 이르러 법제화되었으며, 이후 甲午改革으로 전면적인 관제개편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계속해서 운영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delivery of royal decrees(王命) by Aekjeongseo(掖庭署)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its implications. In the Joseon Dynasty, Seungjeongwon(承政院) was the official organization for receiving and distributing royal decrees. However, since it was impossible for Seungjeongwon to manage all the orders, not only Seungji(承旨) of Seungjeongwon but also Seungjeonsaek(承傳色) of Naesibu(內侍府) and Saal(司謁) of Aekjeongseo shared the task of delivering royal decrees. The duties of Naesibu and Aekjeongseo were clearly distinguished in the monarchical decree transmission system. Aekjeongseo performed its work under the king's direct control, not as a subordinate office under Naesibu. The officials of Aekjeongseo performed various chores of the royal court. Still, the mission of Jeonal(傳謁), the duty of conveying the king's response to the requests of courtiers, was assigned only to the highest-ranking official: Saal. Saal played its role in almost all places that required a connection between the outer and inner chambers(外庭·內庭) and assisted in communication between the king and his officials. Discussions regarding Aekjeongseo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ere mainly focused on practical matters, such as the issue of Saal intervening in the transmission of royal decrees between Seungji and Seungjeonsaek. Except for some officials directly involved in the delivery of royal proclamations, the king and general officials commonly preferred the transfer of royal decrees centered on Seungji and Seungjeonsaek; they believed that Saal should only deliver less critical issues. Therefor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discussions related to Aekjeongseo were usually limited to one-time problems and did not expand further. On the other hand, in the 17th century, as the issue of public-private (公私) recognition emerged, Aekjeongseo started to be discussed within the argumentative structure between the king and the officials. The courtiers called for the works of Aekjeongseo to be processed through Seungjeongwon, citing Gungbuilcheron(宮府一體論). As a result, Seungjeongwon finally got control of Aekjeongseo after King Injo's reign. The ideas submitted at the same time regarding the reorganization of Aekjeongseo clearly show the common aspiration of the courtiers' group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o sought to bring the king's private area, including Aekjeongseo, over to the public space shared by the king and his courtiers as much as possible. Unlike the courtiers who regarded Aekjeongseo as the king's private area, the k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showed a pleasant attitude toward Aekjeongseo. When officials at Aekjeongseo caused problems, the kings stood up for them by emphasizing respect for the servants under their direct control. On the other hand, the courtiers criticized the king's logic as private thoughts(私意) and demanded fair handling of the case. Based on the enhanced royal authority, the kings of the 18th century were more active in defending the officials of Aekjeongseo. In addition, King Jeongjo strengthened the function of Aekjeongseo by establishing a new post called Jeonmyeongsaal(傳命司謁). King Jeongjo laid the groundwork for the private use of Aekjeongseo in the public system by officially granting the unprecedented function of Jeonmyeong(傳命) to Saal. Jeonmyeongsaal finally got legislated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who aimed to inherit the politics of King Jeongjo; it continued to operate within Aekjeongseo until the Reform of 1894(甲午改革).

      • KCI등재

        동아시아 전통 의학의 세계화와 의료 헤게모니의 변동

        이현지(Lee, Hyunji) 한국이론사회학회 2013 사회와 이론 Vol.22 No.-

        본 논문에서는 한의학과 중의학의 전문화와 세계화라는 움직임을 통해서, 오늘날 세계 의료 시장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의료 헤게모니의 역동적 변동과정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한국과 중국정부가 한의학과 중의학의 세계화를 위해서 어떤 전략을 추진했는지 분석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한의사협회와 중의약회의 한의학과 중의학의 세계화를 위한 노력을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미국을 비롯한 해외 세계 전통 의약 시장의 성장과 현황을 파악해볼 것이다. 이를 통해서, 서구의학중심의 의료 헤게모니의 지각 변동이 어떤 형태로 일어나고 있는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의학과 중의학의 세계화 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해서, 근대 서구적 세계관과 동아시아의 전통적 세계관의 부침이라는 거대한 흐름을 파악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medical hegemony change of the world medical market through the globalization and the professionalization of Korean Oriental medicine and Chinese Oriental medicine. For this purpose, we want to analyse the globalization strategy of Korean Oriental medicine and Chinese Oriental medicine that was pursued by Korean and Chinese government. And we will look for the efforts to achieve the globalization of Korean Oriental medicine and Chinese Oriental medicine by the Korean Oriental medical association and the Chinese Oriental medical association. Next, the growth and current situation of the world traditional medical market including United States. Through these, we want to analyse the change of medical hegemony. This paper can contribute to understand the grand stream of the modern Western view of world and the traditional East Asian view of world.

      • KCI등재

        요양시설 사회복지사와 요양보호사의 죽음태도와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임종보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현지(Lee, Hyunji)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2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사회복지사와 요양보호사의 죽음태도와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임종보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D시와 K지역에 위치한 시설 사회복지사와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자료 312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사와 요양보호사의 죽음태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임종보호수행에서는 사회복지사가 요양보호사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준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사회복지사와 요양보호사의 연령과 경력, 교육수준을 통제한 후, 죽음태도와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임종보호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었으며,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요양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와 요양보호사의 임종보호수행의 질적 수준의 향상을 위한 실천적 함의와 후속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death attitudes and professional identity on the end-of-life care performance among social workers and car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purpos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12 social workers and carers working in long-term facilities located in D city and K province by utiliz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fessional identity and end-of-life care performance between social workers and carers. In addition, their death attitudes and professional ident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explaining their end-of-life care performance after controlling their age, length of work, and educational statu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possible implications for improving end-of-life care performance of care staffs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y were provided.

      •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교육훈련과 임종보호태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현지 ( Hyunji Lee )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사회과학논총 Vol.1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educational training and end-of-life care attitude on job satisfaction of carer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frail elderly. For the purpos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79 carer working in long-term facilities located in D. city by utiliz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carer``s educational experience and end-of-life care attitud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explaining their job satisfaction after controlling their age, length of work, income, job status and death experience. Next, after controlling their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carer``s educational training had more impact than end-of-life care attitude on their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possible implications for improving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of care staffs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y were provided.

      • 해수면 상승에 따른 하구 담수호 치수 지속가능성 평가

        이현지 ( Hyunji Lee ),강문성 ( Moon Seong Kang ),김지혜 ( Jihye Kim ),김석현 ( Seokhyeon Kim ),곽지혜 ( Jihye Kwak ),김시내 ( Sinae Kim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하구 담수호는 방조제를 건설하여 간척지 조성과 더불어 필요한 수자원 확보를 위해 조성된 인공호수로 수자원 공급과 더불어 홍수 조절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한편 기후변화는 수자원 관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바다와 인접한 하구 담수호의 경우 해수면 상승에 따라 배수갑문 방류 능력이 제한될 것으로 예상된다.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21)에서 제시한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를 살펴보면, SSP (Shared Socio-economic Pathway) 시나리오에 따라 1995년부터 2014년까지의 기간 동안의 해수면 수준을 기준으로 2100년까지 44~77 cm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해수면 상승에 따른 하구 담수호의 치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고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월호를 대상으로 유역 모형인 HSPF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 Fortran) 모형과 호소 모형인 EFDC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모형을 연계하여 간월호 수위 모의 시스템을 구축하고, SSP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미래 기상과 해수면 상승을 적용하여 담수호의 수위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해수면 상승에 따라 배수갑문을 통한 방류 시 제한이 생겨 미래 기간의 담수호 수위가 24~50 cm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홍수 발생 신뢰도, 회복도, 취약도 지표를 산정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지속가능성 지수를 산정하여 하구 담수호 치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하구 담수호 수자원 관리를 위한 방안 선정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