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폐암에서 로봇을 이용한 폐절제술

        이현성,장희진,Lee, Hyun-Sung,Jang, Hee-Jin 대한기관식도과학회 2011 大韓氣管食道科學會誌 Vol.17 No.2

        MMinimally invasive surgery (MIS) for early stage lung cancer has been an important treatment modality. However, the ergonomic discomfort and counterintuitive instruments hindered the application of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VATS) to more advanced procedures. To improve the compliance with MIS, robotic surgery was adopted. This advance aimed to alleviate the shortcomings of VATS by maximizing the comfort of the surgeon while providing instruments that enabled technically demanding operations and three-dimensional views with increased freedom for intrathoracic movement owing to EndoWrist$^{(R)}$. In this session, we introduced the clinical applications and its results of robot-assisted thoracic surgery in the field of lung cancer surgery. In conclusion, robot-assisted pulmonary resection with lymph node dissection for lung cancer is safe as well as feasible, and it results in a satisfying postoperative outcome. Robot-assisted surgery may provide a good alternative to conventional open or thoracoscopic surgery for lung cancer, provided that the cost effectiveness and long-term prognosis are confirmed.

      • L 밴드용 2단 전력증폭기 설계

        이현성,박병우,진경수,정광호 ( Hyun Sung Lee,Byung Woo Park,Kyung Soo Jin,Kwang Ho Jeong ) 충북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1996 산업과학기술연구 논문집 Vol.10 No.2

        Abstract_Roman 'I'he design method of the two-stage power amplifier by using the S-parameters is presented in the frequency band of 0.125-1.8GHz. The used S-parameters of the HEMT and the BJT are meosured data by the vector network analyzer. The input/o

      • KCI등재

        해안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구성요소 및 특성 분석

        이현성(Hyun Sung Lee),정규상(Kyu Sang Jung),신서영(Seo Young Shi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4

        해안 공간에 대한 경제적 가치 창출의 기대와 문화적·공공적 사용이 증가됨에 따라 개발로 인한 자연성 훼손과 사용자 간의 충돌이라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외에서는 해양 공간관리를 위한 다양한 제도 및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해안 디자인 가이드라인도 그 중 하나로서 해안도시의 구조 및 축의 설정에서부터 특정 시설물의 형태 및 재질, 색채에 이르는 사항을 지시한다. 국내에서도 해안 공간의 이용 수요는 급증하였으나 관리와 환경 보호를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부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지방 정부기관에서 발행된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해안 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현황 및 선행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가이드라인의 목차와 세부내용을 통해 구성 체계를 파악하고, 해안 디자인 가이드라인에서 다루어야 할 디자인 대상과 고려되어야 할 특수한여건, 적용 가능한 공간 프로그램 등을 도출하였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만 블루 그린웨이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장소성을 고려한 해안 프로그램과 계획도, 도로디자인 지침과 통합 사인시스템 디자인 등을 제시하여 구체성이 높았다. 샌프란시스코 만 연안공간 공공접근디자인 가이드라인은 접근성 강화를 목표로 물리적, 시각적 접근을 위한 디자인 지침을 제시하였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스 해안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주거지를 유형화하여 각각의 지형·성장잠재력 등의 상황에 맞는 디자인 지침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본 카와사키시 임해부 색채 가이드라인은 공장 구조물에 대한 지구별 색채 범위 및 배색 예시를 제공하고 있다. 사례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해안 디자인 가이드라인개발의 고려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안의 풍토, 경관, 지형 등을 고려하여 일반 수공간과는 차별화된장기적 관점의 디자인 지침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해안 공간에서 자연과 인간, 거주민과 방문객 간의 충돌방지를 위하여 활동 구역의 경계를 명확히 해야 한다. 또한 개발 전 이용자의 수요 및 현황을 상세히 분석해야 한다. 셋째, 주변 지역과의 연계를 위한 통합적 해안 디자인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이는 물리적, 시각적, 내용적 디자인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해안 디자인 가이드라인에서 다루어야 할 디자인 대상과 도심과는 다른 특수한 고려사항들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로써 국내 해안 맞춤형 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Expectations are growing for the creation of economic value in the space coast. And cultural, public use has also increased. For this reason, the naturality has been destroyed and Conflicts has arisen between use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many countries are prepared for a variety of marine spatial management system and practices. Coastal design guidelines is one of them. It set structure, the axis of the coastal cities and provides guidance for specific facilities` design and materials, colors. Demands of use of coastal space are increasing in domestic, too. But there isn`t coastal design guideline.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draw some implications through development status and the preceding case analysis that based on paper documents published in internal and external local governments. We identified the structure of coastal design guidelines` system through contents and details and drew suitable design items, special circumstances to consider and applicable programs. The Blue Greenway Design guidelines of San francisco bay provides guidance for coastal program, plans map, integrated sign system, road design with consideration about the placeness. It is very specific. The Shoreline spaces public access design guidelines for the San Francisco Bay provides physical, visual approach methods to improve accessibility. The coastal design guidelines for NSW provides design guidance depending on the type of residence to consider the terrain and the growth potential of each. The last guidelines, Kawasaki-si coastal color guidelines provides the color range and coloration examples for plant facilities depending on the type of district. Case analysis considerations must be taken into account when developing coastal design guidelines are derived. First, the coastal climate, scenery, terrain, etc.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o this, differentiated long-term perspective of the design guidelines is needed. Second, the coastal areas of public use in the space boundaries should be clear in order to prevent conflicts between Natural vs. human and residents vs. visitors. In addition, the user`s demand and site`s status should be analyzed in detail before the development. Third, the integrated coastal design guidelines that considers the linkage with surrounding area are needed. To this, Physical, visual, content design plans can be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the specific design targets that must be guided in coastal design guidelines are derived. They are different from the city design guidelines` things. This study may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ment the domestic coastal design guidelines.

      • KCI등재

        골목공간 재생화를 위한 공공디자인 평가 연구

        이현성(Hyun Sung Lee),신혜정(Hye Jeong Shi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4

        이 연구의 목표는 기존 공학적이고 물리적 체계의 가로 환경 분석 방향에서 벗어나 공공디자인 관점으로 공간 환경을 분석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골목공간 재생화 사업을 유도하고 기초 연구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존의 도시 환경은 특히, 본 연구 대상지의 유형인 골목처럼 그 지역과 공간의 정체성을 더욱 명확히 하여 지역경제와 문화의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 연구 대상지는 새로운 대구시의 장소적 랜드마크 형성을 목표로 가톨릭타운과 연계하여 골목의 공간개선과 문화적 네트워크 구성을 목표로 하는 대구 남산동 화원둘레길이다. 이 곳은 2013년 국토해양부 주관 도시활력증진지역 개발사업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골목 보전의 정책적 장치도마련된 상태여서 지역 대표공간으로 조성되기 위한 기초적 분석과 연구 자료가 절실히 필요한 곳이다. 연구방법으로는 골목 공간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대구 남산동 화원둘레길에 대한 현황분석 및 공공디자인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골목 공공공간의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단계, 그 평가지표에 따라 골목공간을 분석 평가하는 세 단계의 연구 단계를 적용한다. 연구의 결과로서 대구 남산동 화원둘레길을 대상으로 골목공간에 대한 분석평가의 방법을 수립하였으며 또한 근대적 정체성이 남아있는 공간적 가치와 가톨릭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문화적 가치, 공간 경험의연출 분석을 통한 감성적 가치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대상지의 지속가능한 재생화 방안의 기초자료로서의 가치를 마련하여 지역 공간의 정체성을 강화와 골목 공간 보전을 통해 지역경제와 문화형성에 기여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표로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deviate engineeringexisting, from the direction of the environmentalanalysis next to the physical system and it is intendedto analyze the environment of the space point of viewof public design to induce regeneration of operationsalley space efficient, and provide basic research data. The existing urban environment needs to clarify theidentity of the place and the region for the role ofcultural resources as the local economy. The target area is Daegu Namsandong HwawonDullegil around in conjunction with the Catholic townaimed at the new local landmark in Daegu. the area wasselected to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2013 by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ndthe area has policy apparatus of the alley conservationalso provided. It is a place in desperate need of a spatialresearch material to be reclamation as a representativespace in Daegu. As a research method, it`s analysis of the situationof Daegu Namsandong Hwawon Dullegil around road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the alley place. Second, there is index of evaluation based on public design. finally, there is apply the research phase of the threephase to analyze and evaluate the alley place based onthe spatial index. As a result of research, this study have establisheda method of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alley spaceon Daegu Namsandong Hwawon Dullegil. In addition, I have derived the sensitivity value through the analysisof the production of space experience and culturalvalues of Catholic culture and spatial value of modernidentity. As a result, this study would establish a valueas a basis for sustainable regeneration of measures oftarget areas and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cultureand local economy through the conservation andstrengthen of alley space.

      • KCI등재

        해양 공간환경 디자인 개념과 유형에 관한 연구

        이현성(Hyun Sung Lee),정규상(Kyu Sang J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2

        해양과 연안의 경제적·환경적 가치가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해양의 천연자원을 채취·가공하거나 신에너지를 개발하는 산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관광, 휴양, 체험과 같이 해양 및 연안 공간을 활용하는 산업도 확장되고 있으나 공간환경의 개념이 지닌 특성상 물리적 대상물의 구현 외에 무형적 인간의 활동에 대해서도 고려하는 디자인적 측면의 심도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다시 말해, 해양공간에 대하여 개발과 기술의 물리적 대상 공간이라는 기존의 인식을 넘어 친수와 문화 가치의 대상 공간으로서 새로운 중요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해양공간이 지닌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측면의 다가치가 균형과 안정을 이루도록하는 해양 공간의 정온디자인을 실현해야 할 것이다.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미래 해양 공간의 가치창출 에 대비해 해양 공간환경 및 디자인의 개념에 대해 고찰,이를 바탕으로 해양 공간환경 디자인의 개념을 명확히 정립하고 해양공간의 유형을 구분, 제시함으로써 미래 해양디자인 산업에 대한 개념적 토대를 제공하고 해양공간의 가치적 대상공간에 대한 범주에 관한 기초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기본 어휘에 대하여 사전적 정의를 고찰하였으며 해양 디자인 관련 선행 논문, 연구에서 학자들이 언급한 개념 정의를 살펴보았다. 또한 법제처에 등록된 해양 및 경관관련 현행법의 비교를 통하여 해양 공간환경 디자인 적용에 있어 제도적인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국토해양부 등에서 발행한 국가 선행 연구 자료는 해양 공간환경에 대한 국가적 인식 및 연구현황을 분석하는 데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친수와 문화의 가치적 대상 공간으로서의 중요성과 해양 환경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해양공간환경의 유형을 사회, 생태, 산업, 문화의 4개 환경범주 하에 해양 휴양공간, 해양 체험교육공간, 해양 관광공간, 해양 커뮤니티공간, 해양 상업공간, 해양 정주공간, 해양 연구관리공간, 해양 SOC공간, 해양 생태보전공간, 해양 역사문화공간, 해양 방재·안전공간, 해양 수산업 공간의 12개 유형으로 구분, 제시하였다. 4대 가치에 따른 해양 공간유형들이 추구해야 할 목표와 지표에 관한 기본 방향도 연구 범위에 포함되며 이는 기존의 관련 제도에서 물리적 제어요소와 지침 등을 기준으로 해양 공간이 분류되고 구분된 한계를 보완하고, 지속가능한 해양지역의 활성화, 해양 문화 창조를 위한 새로운 관점과 범주의 기초를 위한 연구이다. As marine and coast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value of the oceans began to attract attention, it has been actively developing new energy and processing natural resources from the ocean. In addition, is expanding Industry taking advantage of using marine and coastal area such as tourism, recreation, adventure. However it is required research from design perspective considering intangible human activities with a characteristic physical object implementation. In other words, we need to be aware about new importance of marine space as the valuable space based on culture and ocean-oriented use beyond the physical target space based on technology and development. With marine space, environment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the approaches values of balance and stability to fulfill quietness of the ocean space design should be realiz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fine the concept of maritime spatial environment design and to provide conceptual basement about future maritime design industry, by presenting the types of ocean and the concept of maritime spatial environment design clearly. For this, Dictionary definition of a basic vocabulary was examined. And definition mentions of scholars in leading marine design-related papers, research were examined, too. Through a comparison of the current law related to ocean and scenic space, Ocean space environmental design issues in the application system was investigated. Previous data, etc. issued by the national ministry of the ocean-space environment for national recognition and has been used to analyze the status of research. In this research, considering ocean-oriented use and cultural importance as the target space and the character of the marine environment, it is presented 12 types of spatial patterns such as maritime leisure space, maritime experiential education space, maritime tour space, maritime community space, maritime commercial space, maritime housing space, maritime research space, maritime SOC space, maritime ecological space, maritime historical culture space, maritime disaster prevention space and maritime fishery space on the type of space, social, ecological, industri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the four categories consider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maritime environment. This research includes basic direction of goals and indicators about the marine space based on four values and also supplement the existing system of control elements in the physical standards and guidelines. This is basic research for the activation of sustainable marine areas, marine culture and a new perspective for the creation of the categ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