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사회적경제

        이해진,LEE Hae-Jin 지역사회학회 2015 지역사회학 Vol.16 No.1

        본 연구는 한국의 사회적경제의 제도화 과정을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제도화에 따른 정치화와 탈지역화의 문제에 대해 사회적경제의 지역화 관점에서 대응방안을 모색한다. 이를위해 사회적경제의 관계적-동태적 특성을 혼종성, 고유성, 이동성으로 포착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적경제의 제도화, 정치화, 지역화의 동학을 정치사회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한국 사회적경제의 제도화의 역사는 정부 주도적인 경로 의존성 속에서 시기별로 억압적 제도화, 헤게모니적 제도화, 신자유주의적 제도화 과정으로 전환되었다. 특히, 최근 사회적경제기본법의 제도화 국면에서는 사회적경제 담론을 선점하려는 정치권력의 정치적 아젠다 경쟁, 복지와 경제문제를 우회하려는 신자유주의적 통치전략, 그리고 이를 위한 통합적 정책추진체계 구축과 같은 정치과정들이 발견된다. 정치권력이 사회적경제를 정치적으로 전유하는 정치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반면에 이러한 정치화에 대응하는 사회적 경제 진영의 주도권과 통합적 대응은 미흡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 원인으로는 사회적경제의 제도화에 따른 사회적경제 조직의 분화, 역사적 발전단계 및 이해관계의 차이, 그로 인한 실질적인 연대 경험의 부재를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경제의 정치화와 탈지역화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지역사회를 진지로 삼아 대항 헤게모니를 구축하는 사회적경제의 지역화 전략을 제시했다. 이는 지역사회에 배태된 사회적 경제의 사회운동적 성격을 강화하고 아래로부터 사회적경제의 주체와 역량을 확대하는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hang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of social economy in Korea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e and civil society and provide alternative strategies of the localization of social economy as a response to the politicization of the current social economy. This article interprets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conomy as hybridity, originality, and mobility and analyzes the dynamics of institutionalization, politicization, and localization of social economy in terms of political sociology approach. Using this analytical framework, this study classified the process of the Korean institutionalization of social economy as oppressive institutionalization, hegemonic institutionalization, and neoliberal institutionalization, which have historically evolved.

      • KCI등재

        중규모 해양모형을 이용한 한반도 주변 해역 해양순환 재현

        이해진,안중배,Lee, Hae-Jin,Ahn, Joong-Bae 한국해양학회 2000 바다 Vol.5 No.3

        본 연구에서는 중규모 해양모형을 이용하여 주어진 한반도 주변 대기경계조건에 대한 해양모형의 반응을 연구하였다. 연구는 크게 스핀업(spin-up) 실험과 재현(reproduction) 실험으로 나뉘는데, 스핀업 실험은 해양모형을 스핀업시켜 기후학적 월평균 해양상태로 유도하는 실험으로 월평균 대기상태를 경계조건으로 하여 해양모형을 장기적분하였다. 재현 실험은 1980년${\sim}$1998년 동안(19년)의 한반도 주변 해역의 해양변동을 재현하고자 한 실험으로 이를 위하여 스핀업 마지막 해의 해양상태를 모형의 초기상태로 하고 그 기간 동안의 월평균 기상 자료를 경계조건으로 해양모형에 적용하여 19년간 적분하였다. 스핀업 실험에서 모형은 동해지역에서의 동한 해류의 이안, 극전선대(polar front)형성 그리고 소규모 에디들에 의한 냉수대의 형성과 황해지역에서의 연안역과 중앙부 사이에 남북으로 형성되는 수온전선 대 그리고 역풍류(Upwind Current)의 변화에 기인한 순환 구조의 계절적인 변동 등 한반도 주변해역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순환들을 잘 모사하였다. 또한 1982${\sim}$98년까지에 대한 재현 실험에서는 주어진 대기 경계조건에 따른 해면온도의 변동성과 기간동안 약 0.5$^{\circ}$C의 해면온도 아노말리의 상승을 관측과 유사하게 모사하였다. 따라서 실험은 모형이 주어진 경계조건에 대하여 해양의 평균적인 상태 뿐만 아니라 변동성도 잘 모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In this study, the oceanic responses to given atmospheric boundary conditions are investigated using a mesoscale ocean circulation model. The numerical experiments are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so called, spin-up experiment and the other is reproduction experiment. The spin-up experiment simulates climatic state of ocean by integrating the ocean model with upper boundary conditions of the monthly mean atmospheric climate data. In the reproduction experiment, for the reproduction of major oceanic changes around Korean Peninsula during the period of 1980-1998 (19 years), the model has been integrated under the boundary condition of the 19year monthly mean atmosphere data. The spined-up state of ocean generated from the spin-up experiment is assigned to the initial boundary condition of the reproduction experiment. In the spin-up experiment, the model properly simulates the major features of circulation structure around Korean Peninsula; such as separation of East Korean Warm Current (EKWC), formation of the polar front, cold water band associated with the small scale eddies in the East Sea, the formation of front along west coast, and the seasonal variation of circulation pattern caused by changing upwind current in the West Sea. In the reproduction experiment, the model has shown the interannual sea surface temperature variations and a warming trend of about 0.5$^{\circ}$C during the period around Korean Peninsula, as in the case of the observation.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model is capable of simulating not only the mean states but also the variabilities of ocean under the given atmosphere boundary conditions.

      • KCI등재

        결합상품 판매에 있어서의 법률관계와 소비자보호

        이해진 ( Hae Jin Lee ) 안암법학회 2012 안암 법학 Vol.0 No.39

        A bundled product represents more than 2 products being able to sell as a single unit of products at a specific price. When selling a bundled product, a seller can make it comprise either a tying product(s) and a tied product(s), or products with different brands (the principal and the subordinate or equal products). And a telecommunications company sells a bundled product by bundling its own wireless internet product with the latest modeled netbooks manufactured by famous computer makers. The discussions having been made over bundled products up to now mainly focus on the bundled products selling in the broadcasting and telecommu- nications areas. And, even relevant studies have concentrated on economic effects caused by bundling, calculation of prices of proper bundled products, and regulations of bundled products, Some studies on bundled products have been conducted in the management perspective, focusing on consumer response to bundled products and consumer sentiment, Various kinds of bundled products are expected to continued to be released, but laws and regulations applicable to the bundled products have yet to be establish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to resolve disputes over bundled products between interested parties. In the event where a supplier of a tying product directly purchases a product from a supplier of a tied product, and then a seller only sells the bundled product, if (ⅰ) the products are bundled under the responsibilities and rights of the supplier of the tying product; (ⅱ) the seller never engages in bundling; and (ⅲ) the seller does not agree to take any inventory liability of the products, the supplier of the tying product should be fully liable for the inventory of the products. But, if the seller leads the bundling and contracts product purchase agreements with multiple suppliers (the principal and the subordinate relationship, or equal relationship) to sell the bundled products, the seller should be liable for the inventory of the products. In the event where a seller emphasizes a tying product and neglects any explanation about a tied product in selling a bundled product, or in the event where a seller puts something only advantageous on advertisements and is silent about the disadvantageous, thereby giving a negative impact on a bundled product, in order for such an action to fall under the illegal deception accepted by Korean legal theories and judicial precedents, it should be as in the following case: interested parties should have not struck an agreement or should have struck an agreement under different terms and conditions if they had known the facts. Therefore, if a seller who has excellent information power strikes an agreement with the other party under deception by falling into silence about important information, the other party who is an weak party may avoid the contract. When there is any mistake in the main part of a tying product, and when there is no serious fault of a consumer about the mistake, it is possible to make full avoidance. But, when any error is not found in a tying product, and when some error is found in the part of a tied product and can be corrected, is it right to make full avoidance? If any errors of a sold tied product are not as serious as in achieving the purpose of an agreement: neither if a tying product does not work well due to any error of a tied product, nor if any error of the object is not able to be repaired at an inexpensive cost, partial avoidance is deemed to come into effect on some part of a legal action. Therefore, partial avoidance causes the effect of purchase and sale agreement on any product (for example, a tied product) with problems occurring during the agreement period to become null and void retroactively. But in this case, the effect on any product without problems still remains. As an effect of avoidance, relevant products should be returned, and unjust enrichment gained in the purchase and sale process should be returned as well. And, legal principles and product liability of a bundled product are so unclear that it is desirable for a seller to force a manufacturer or a supplier to take out product liability insurance. In this case, the insurance premium should be determined within a reasonable range of amount. If the insurance premium is not based on the risk level of a product and the sales of a product, but is set as an excessive amount for a product with no risk, such an action of determining the premium is considerably deemed to be abuse of a business position among unfair trade practices, because it is considered to be excessively disadvantageous to the manufacturer or the supplier.

      • KCI등재

        소비자에서 먹거리 시민으로

        이해진(Hae-Jin Lee) 비판사회학회 2012 경제와 사회 Vol.- No.96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에서 먹거리 시민이 실재하는지를 경험적으로 규명함으로써 먹거리 시민의 특성과 의의를 밝혀보려는 것이다. 나아가 먹거리 위험정치와 대안적 먹거리 체계의 주체로서 먹거리 시민과 먹거리 시민권 개념의 의의를 조명하고자 한다. 기존의 먹거리 정치와 대안 먹거리 운동의 담론이 규범적인 주체 논의에 머물러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경험적 조사자료를 활용해 먹거리 시민의 실태와 현실적 조건을 규명하는 것에서 부터 출발한다. 먼저 식품 소비집단의 유형을 먹거리 시민, 소비자/시민, 소비자 집단으로 분류한 다음, 먹거리 인식, 행동, 가치지향의 측면에서 먹거리 시민 집단의 분포와 특성을 다른 집단과의 차이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먹거리 시민 집단에는 40~50대 여성 주부들이 많았고, 교육과 직업, 소득수준 및 먹거리 위험인식과 시민행동 성향이 일반 소비자들보다 높았다. 이들은 농(農)가치성, 지역성, 생태성에 대한 가치지향에도 더 적극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재 먹거리 시민의 비중은 높지 않지만, 이들이 먹거리 체계의 변화를 위한 참여적 태도를 갖고 있는 점에서 먹거리 시민권의 가능성과 의의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먹거리 인식과 행동의 불일치를 보이는 다수의 소비자/시민 집단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먹거리 시민 형성의 모순적인 특성과 향후의 과제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소비자에서 먹거리 시민으로의 전환에 이르는 먹거리 주체 형성의 조건과 가능성을 건강, 가족, 젠더, 감정, 먹거리 파동, 참여경험 등의 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먹거리 정치와 주체화의 관점에서 먹거리 시민권 개념의 발전과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s of the food citizen. Using survey data on Korean food perception and behavior, this paper tries to identify the empirical reality of the food citizen. Further it has examined the possibility and the implications of the concept of food citizenship by investigating the role of the food citizen as a possible subject for the alternative food system in modern global food politics. Instead of normatively arguing the need for creating the food citizens,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the food citizen`s current features and conditions by analyzing the empirical data.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general food consumer groups are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categories including food citizen, consumer-citizen, and conventional consumer, based on the extent of food perception and behavior. Then, the distribu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od citizen are compared with other consumer groups. The results reveal that the food citizen group has more women and includes people who have a higher education level, higher incomes, more risk perception and more civic activism than the other groups. In addition, they have more rural and agricultural friendly value orientation, localism, and ecological mindset compared to other consumer groups. Even though the overall size of the food citizen group is small, it is worth noting that the food citizen group has very active participatory attitudes toward the changes of the food system. However, it is revealed that there is a discrepancy between food perception and the behavior in the consumer-citizen group and the group is contradictorily situated between the conventional group and the food citizen group. Also, this paper follows how the consumers evolve into food citizens and it confirms that such factors like health, family, gender, emotions, food incidents and active participation could be influential to the subjectification. Finally, this paper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 concept of food citizenship and the role of the food citizen, as a subject of food politics in terms of making changes to the current globalized industrial food systems.

      • KCI등재

        동시공학에 의한 Full Logic Deck Mechanism 개발 연구

        이해진(Hae Jin Lee),곽영만(Young Man Kwark),박영현(Young Hyun Park) 한국품질경영학회 2001 품질경영학회지 Vol.29 No.3

        Recently, industrial environments have been drastically changed. Customers require cheaper, better, stronger products more than ever. Thus companies have to satisfy the requirements of customers to be survived in this kind of industrial environments. To cope with these requirements from customers, engineers in industries must accept new paradigm and use some special tools for developing new product. This study has applied a Concurrent Engineering which would be good for shortening of product development period in developing of Full Logic Deck mechanism using in car audio. In this paper, a real case of systematic approach and successful story of Concurrent Engineering application in developing Full Logic Deck mechanism is illustrated.

      • KCI등재

        로컬푸드와 지역운동 네트워크의 발전

        이해진(LEE Hae-Jin),이원식(LEE Won-Sik),김흥주(KIM Heung-Ju) 지역사회학회 2012 지역사회학 Vol.13 No.2

        이 연구는 로컬푸드 연구의 지평을 넓히기 위하여, 로컬푸드 운동이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 대안적 지역발전을 추진하는 지역운동으로서의 가치와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로컬푸드를 매개로 지역운동을 재조직화하고 로컬푸드 거버넌스와 사회적 경제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대안적 지역운동을 전개하고 있는 원주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원주 로컬푸드 운동은 원주 지역운동의 특성인 생명농업과 협동조합운동의 역사와 경험으로부터 배태된 것이다. 이러한 로컬푸드 운동의 배태성은 2000년대 이후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젊은 지역운동 리더들의 전략 및 리더십과 결합되면서, 지역운동 네트워크의 조직화로 이어졌다. 이러한 원주의 지역운동 네트워크는 로컬푸드 운동을 통해 협동조합 지역사회, 로컬푸드 거버넌스, 사회적 경제의 지역화라는 새로운 형태의 지역운동으로 발전하고 있었다. 원주 사례는 로컬푸드 운동이 새로운 지역운동의 확산을 가능하게 하는 매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주었다. 로컬푸드 운동의 확장을 통해 지역자립경제, 지역복지, 지역거버넌스, 내생적 지역발전을 구축하는 토대를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다. 반면에 원주의 로컬푸드 운동 네트워크는 조직, 운동엘리트, 조합원의 범위를 넘어 지역주민의 참여와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는 데까지 확장되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 또한 지자체와 로컬푸드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과정에서도 과잉 제도화의 문제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었다. In order to extend the horizon of local-food researches, the study aims to show that local food movements has been working as local-based movements which pursued solutions to problems in local communities and promoted an alternative local development strategy as their core values and rationales. To accomplish this aim, the study analyses the case of Wonju city in which local movements are reorganized around local-food issues and governance structures and social economic networks are beginning to build leading to an alternative local movement. Wonju’s local food movement is embedded within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life-agriculture and cooperatives movement which are decades-long heritages of the local movements in Wonju. The embeddedness of local movement, combined with the strategies and leadership of those young activists of local movements who have been struggling to solve local problems, leads to organization of local movements networks. These networks of local movements in Wonju are developing into a new form of local movement combined with cooperatives communities, local food governances, and localization of social economies through local food movements. The Wonju case has confirmed that local food movements can be a medium by which diffusion of a new form of local movement is to be activated. That is to say, the Wonju case has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that an autarky of local economy, local welfare, local governance and endogenous local development can all be built on the same foundation, the expansion of local food movements. However, the case study has also revealed that the local food movements networks in Wonju have to go beyond current boundaries of organization, elite leaders, and rank-and-file members towards attracting residents participation and deriving local communities development. In addition, it has also been shown that the local food movements networks need to overcome the problem of over-institutionalization in the processes of developing local food governance structures with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농촌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농촌지역개발사업

        이해진(Hae Jin Lee) 한국농촌사회학회 2009 農村社會 Vol.19 No.1

        이 논문은 2000년대 들어서 한국의 농업 농촌정책 패러다임이 농업(부문정책)에서 농촌(공간정책)으로 이동하였다는 점을 강조하며 다음의 논점들을 분석하였다. 먼저,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시장개방 압력, 농업 구조조정 정책의 한계, 참여정부의 새로운 지역정책의 시도를 농촌정책 변화의 배경으로 해석했다. 특히 신자유주의적 농업정책을 정당화하고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농촌지역개발 정책이 활성화된 측면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농촌정책 패러다임 변화의 궤적을 검토하여 최근의 농촌정책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어서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사례를 통해 농촌 정책의 변화가 농촌지역개발사업으로 적용되고 실행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관료주의적이고 경로의존적인 정책생산구조 및 사업실행이 신자유주의적 경향성과 결합하면서 농촌지역개발사업의 실행과 한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았다. 농촌정책 사업이 의도한 목표와 의도하지 않은 결과 사이의 불일치에 주목하여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새로운 특성과 문제점을 조명하였다. 결론적으로 농촌공동체의 복원과 자생적 마을만들기로 나아가는데 농촌지역개발사업이 고려해야 할 정책 과제들과 후속 연구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aradigm shift in rural policy from agricultural policies to rural community policies and analyzes the following issues, The article interprets neo-liberal globalization, limits of agricultural restructuring policy, and new regional policy as backdrop for recent changes in rural policy. The paper ha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ent rural development policy through examining the rural policy trajectory. And then, through the case study of `Integrated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it seeks to highlight the process that the change of rural policy had been applied and implemented to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gram. In the process, the bureaucratic and path-dependent policy decision making systems and the tendency of the neo-liberalization are identified as important factors in mediating effective policy implementation and limitation. Then the paper considers disagreements between the intended goals and unintended consequences and highlights new aspects and problems brought about by the Project,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s some policy priorities and further research agendas for making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s progress towards endogenous community-building.

      • KCI등재

        로컬푸드운동을 사회적경제 생태계로 확장하기

        이해진(Lee Hae-jin),윤병선(Yoon Byeong-seon) 한국농촌사회학회 2016 農村社會 Vol.26 No.2

        이 논문은 로컬푸드운동의 발전전략을 사회적경제 생태계와의 연계를 확장하는 데서 찾고, 로컬푸드운동의 영역을 확장하는 사회화 전략으로 농식품시티즌십의 역할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로컬푸드운동과 사회적경제에 대한 시민-소비자들의 수요와 지지도를 측정하여 로컬푸드운동과 사회적경제의 상호 연계성과 농식품시티즌십이 로컬푸드운동을 사회적경제 생태계로 확장시키는 매개역할의 가능성을 경험적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했다. 경험적 분석자료는 2015년 『한국인의 식습관과 대안먹거리 인식조사』를 통해 수집된 1,300명에 대한 서베이조사를 활용하였다. 로컬푸드운동, 농식품시티즌십, 사회적경제의 관계를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적 방법을 활용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로컬푸드운동에 참여할수록 사회적경제를 지지하는 경향이 높다는 결과가 나타남으로써 양자의 상관성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로컬푸드운동을 체험하는 것은 농식품시티즌십을 함양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셋째, 농식품시티즌십이 높은 소비자일수록 사회적경제를 지지하는 경향이 높다는 사실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로컬푸드운동은 농식품시티즌십의 작동을 통해서 사회적경제 생태계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다고 추론할 수 있다. 로컬푸드운동을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발전시키는 매개전략으로 농식품시티즌십의 역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농식품의 생산에서 소비에 걸친 관계망과 집합적 실천을 바탕으로 기존의 농식품 시장경제 체계를 변혁시키는 농식품시티즌십이 적극적으로 조직됨으로써 로컬푸드운동과 사회적경제는 대안운동으로 확고히 뿌리내릴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development strategy of local food movement to expand linkage with social economy ecosystem, and examines the role of agri-food citizenship as socialization strategy beyond the boundary of local food movement. For this purpose, it measured citizen-consumer`s support for local food movement and social economy movement and examined the mutual linkage between the two, and analyzed empirically the role of agri-food citizenship as a linkage strategy of local food movement to social economy ecosystem. As an empirical analysis, the paper used a survey data of 1,300 people collected in 2015. Local food movement, agri-food citizenship, and social economy were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empirically that the more the citizen consumers prefer to the local food movement, the higher the tendency to support the social economy. Second, it showed that experiencing the local food move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cultivating agri-food citizenship. Third, it is analyzed that the higher the agri-food citizenship, the higher the tendency to support the social economy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uggests that the local food movement has the potential to develop into a social economy ecosystem through the operation of agri-food citizenshi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role of agri-food citizenship as an intermediary strategy to expand the local food movement to the social economic ecosystem. The local food movement and the social economy can be firmly rooted in the alternative movement when the agri-food citizenship that transforms the existing agri-food market economy system based on the relationship network and collective practice is actively organ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