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휘발성 메모리의 인접 비트라인 간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비트라인 프리차지 방법

        이태윤(Taeyun Lee),정성욱(Seong-Ook Jung) 대한전자공학회 2022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1

        In NAND flash memory, which is a representative non-volatile memory, the bit-line pitch has been reduced to increase the degree of integration. This results in increased coupling between adjacent bit-lines, which increases the bit-line pre-charge time. In this paper, we propose Minimum Bit-line Current Control (MBCC), a novel bit-line pre-charge scheme that shortens the bit-line pre-charge time. MBCC reduces the range over which bit-line voltages are formed to reduce the amount of bit-line voltage variation caused by coupling between adjacent bitlines. MBCC implemented with an addition of 0.015% die area and 3% read operation current improves bit-line pre-charge time by 70.4%.

      • KCI등재

        국지예보모델과 위성영상을 이용한 극상림 플럭스 관측의 공간연속면 확장 및 우리나라 산림의 일일 탄소흡수능 격자자료 산출

        김근아 ( Gunah Kim ),조재일 ( Jaeil Cho ),강민석 ( Minseok Kang ),이보라 ( Bora Lee ),김은숙 ( Eun-sook Kim ),최철웅 ( Chuluong Choi ),이한림 ( Hanlim Lee ),이태윤 ( Taeyun Lee ),이양원 ( Yangwon Lee ) 대한원격탐사학회 2020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6 No.6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이 커지면서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상쇄시킬 수 있는 산림의 탄소흡수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기후변화협약에 따라 국가의 산림 탄소흡수량을 국지적인 수준에서 과학적이고 정밀하게 산출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과 일기상 자료를 함께 활용함으로써 산림 광합성의 민감한 일변화를 반영하고, 안정된 산림으로서 대표성을 가지는 광릉숲(Gwangneung Forest) 극상림(climax forest)의 플럭스관측 자료를 참조하여 GPP(gross primary production) 재현 모델을 수립하고, 수종 및 임령에 따른 탄소흡수량 조견표를 적용하여, 우리나라의 국지지역에 최적화된 Tier 2.5 수준의 일일 탄소흡수능 격자자료를 산출하였다. 2013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1,095일간의 실험에서, 일일 기준탄소흡수능(reference amount of CO<sub>2</sub> absorption, RACA) 산출 모델은 상관계수 0.948의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으므로, 향후 Tier 3 수준의 일일 실제탄소흡수능(actual amount of CO<sub>2</sub> absorption, AACA)을 정확히 산출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상세산림조사 자료와의 결합이 필요할 것이다. As recent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s become more serious, the importance of CO<sub>2</sub> absorption by forests is increasing to cope with the greenhouse gas issues. According to the 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it is required to calculate national CO<sub>2</sub> absorptions at the local level in a more scientific and rigorous manner. This paper presents the gridded expansion of forest flux observations and mapping of daily CO<sub>2</sub> absorption by the forests in Korea using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data and satellite images. To consider the sensitive daily changes of plant photosynthesis, we built a machine learning model to retrieve the daily RACA (reference amount of CO<sub>2</sub> absorption) by referring to the climax forest in Gwangneung and adopted the NIFoS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lookup table for the CO<sub>2</sub> absorption by forest type and age to produce the daily AACA (actual amount of CO<sub>2</sub> absorption) raster data with the spatial variation of the forests in Korea. In the experiment for the 1,095 days between Jan 1, 2013 and Dec 31, 2015, our RACA retrieval model showed high accuracy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48. To achieve the tier 3 daily statistics for AACA, long-term and detailed forest surveying should be combined with the model in the future.

      • KCI등재

        라즈베리파이와 MQTT를 이용한 스마트 가드닝 구현

        황기태,박혜진,김지수,이태윤,정인환,Hwang, Kitae,Park, Heyjin,Kim, Jisu,Lee, Taeyun,Jung, Inhwan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8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8 No.1

        본 논문은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하여 온도, 토양습도, 조도에 따라 자동으로 물과 빛을 제공하며, 원격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식물 상태를 전송하는 스마트 화분의 구현 사례를 소개한다. 화분의 용기는 5개의 층으로 분리하고, 각 용기는 3D프린터로 직접 제작하였다. 용기는 5개 층을 연결하여 사용하며 추후 확장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그리고 용기 내부에 라즈베리파이와 센서, 펌프, 그리고 카메라를 장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원격에서 카메라나 센서 정보를 받아 스마트 화분을 관찰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하였으며, 앱과 라즈베리파이 사이의 데이터 통신 및 제어는 MQTT 프로토콜을 이용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n implementation of a smart plant pot which can supply light and water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detection on current temperature, humidity and illumination, and deliver the images of the plant realtime by using a camera installed in the pot. We designed a container of the plant pot divided into five layers, printed each of them with a 3D printer, and then assembled them. Inside of the container, we installed sensors, a pump, and a camera. We developed an Android application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plant pot and monitor its state. In communication between the Android application and the Raspberry Pi, MQTT protocol was util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