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경북지역 산업연관모형에 의한 산업구조분석 - 입지계수법과 RAS 방법의 비교분석 - ( 경제학문헌목록 주제분류 : L6 )

        이춘근 ( Choon Keun Lee ) 한국경제학회 1998 經濟學硏究 Vol.46 No.3

        이 연구는 立地係數法과 RAS方法에 의한 1993년 경북지역 産業聯關模型을 작성하고, 이로 부터 지역산업의 연관구조를 분석한 다음, 두 추정방법의 비교평가와 정책적 含意를 제시하 였다. 경북지역 산업연관모형은 전국산업연관표의 75개 부문 國産去來表를 이용하여 경북지 역 실정에 맞게 23개 부문으로 재분류·통합조정하여 작성하였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RAS방법과 입지계수법에 의한 전·후방 연관효과와 승수효과의 분석결과는 전반적인 양상이 대체로 비슷하였으나 부분적인 우선 순위에서는 다소의 차이를 보였다. 분석결과 RAS방법은 상대적으로 지역특화산업의 효과가 적게 나타나는 반면에, 입지계수법은 지역특화산업의 효과가 강조되는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지역산업구조 분석시 어느 한 방법에 의해 유도된 결론 을 가지고 정책진단을 하기보다는 이들 두 방법을 다각적으로 분석한 다음, 지역의 입지여건과 제반 사회적 여건을 종합·고려하여 정책적 전략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경북지역 산업별 전·후방 연관효과와 승수효과를 고려할 때, 1차금속산업과 기계 ·장비업이 성장잠재력이 가장 높은 산업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 금속제품, 섬유 및 가죽산업 비금속광물제품, 인쇄 출판업 및 기타 제조업, 농수산물 가공산업, 건설업 등이 성장잠재력이 높은 산업으로 분석되었다. 향후의 硏究課題로는 실제조사에 의한 지역산업연관표의 작성, 비조사법에 의한 지역산업연관모형 추정방법의 정도분석, 지역간 산업연관표의 작성과 정도분석 등을 들 수 있다.

      • KCI등재

        한·중·일간 수송장비업의 생산유발효과 분해 - 세계산업연관표를 중심으로 -

        이춘근 ( Choon-keun Lee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7 지역개발연구 Vol.49 No.1

        본 연구는 2015년 WIOD에서 발표한 2011년 세계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간 수송장비업의 생산유발효과를 요인 분해하였다. 세계산업연관표는 EU 27개국과 기타 국가 13개국 등 총 40개 국가로 이루진 산업연관표이나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기타 국가 등 4개 국가로 재분류하고, 산업부문은 34개 부문으로 통합하여 재분석하였다. 생산유발효과를 분해한 결과, 자국 내 승수효과는 중국의 경우가 가장 높은 약 3.0배의 높은 파급효과를 나타냈고, 그 다음 일본이 2.7배, 한국이 2.5배 가량의 효과를 나타냈다. 한·중·일 각 국이 타 국에 미치는 확산효과는 한국과 일본의 경우 중국에 미치는 효과가 가장 높았고, 반면에 중국은 한국이나 일본에 미치는 효과가 비교적 작았다. 중국은 내수시장이 넓어 자국 내 승수효과가 높았고, 우리나라는 내수시장이 좁아서 그러한 결과가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우리나라보다는 중국과 일본의 연관관계가 모두 더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수송장비업의 비중이 상당히 높은데도 불구하고, 중간수요 비중이 58.5%로 일본이나 중국에 비해 크게 낮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중간재의 국산비중을 높여 중간수요 비중을 높이는 전략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decomposed production inducement effects of the transport equipment industry in Korea, China and Japan using 2011 World Input-Out Table published by WIOD in 2015. In this study, regions were reclassified into four parts of Korea, China, Japan and other countries, and for the industrial sectors, they were grouped into 34 sectors for the reanalysis. Among total output amounts of individual countries, the share of the transport equipment industry in countries was highest in Korea, but its intermediate demand was very low. As a result to decompose the multiplier effects of the transport equipment industry among Korea, China and Japan, the domestic multiplier effect was highest in China, with about 3 times higher impacting effects, and then Japan had 2.7 times higher effects, and Korea had 2.5 times higher effects, respectively. Korea should try to increase the domestic multiplier effects by studying intermediate transaction and global value chains in the transport equipment industry like China and Japan. For spillover effects by Korea, China and Japan, the effects on China was highest while China had comparatively small effects on Korea or Japan. The reason seems that China has the broad domestic market and the domestic multiplier effects were high, while Korea has smaller domestic market.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지역경제분석기법에 의한 대구지역의 산업구조 고도화방안

        이춘근 ( Choon Keun Lee ) 한국경제학회 1998 經濟學硏究 Vol.46 No.4

        이 연구는 대구지역 산업구조의 변화와 실태를 여러 가지 地域經濟分析技法, 즉 입지계수 법, 변화할당분석, 지역성장률시차분석, 지역산업연관분석 등에 의해 분석하고, 그에 따른 바람직한 산업구조 고도화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대구지역의 산업구조를 조정 내지 개편하기 위해서는 대구지역의 입지여건과 산업기반을 고려하여 가장 成長有望한 産業을 선정하여 집 중육성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경제분석기법에 의해 분석한 결과,製造業에서는 섬유·의복산업, 기계 및 장비업, 출판·인쇄업, 조립금속제품, 기타 전기기계,의료 정밀·광학기기, 자동차 및 트레일러업 등이 유망하고, 서비스업 중에서는 건설업, 도·소매업, 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등이 다른 지역에 비해 성장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더불어 지역의 立地與件을 고려하여 볼 때, 새로운 성장유망산업으로 볼 수 있는 산업은 메카트로닉스산업, 전자산업이나 microelectronics, 환경산업, 컴퓨터 관련 소프트웨어산업, 국제회의산업 등이었다. 그리하여 이들 산업을 중심으로 대구지역의 産業構造 高度化方案을 제조업과 서비스업으로 구분하여 제시했다.

      • KCI등재
      • KCI등재

        지역간 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수도권과 비수도권 경제적 효과 분석

        이춘근 ( Choon Keun Lee ) 한국응용경제학회 2009 응용경제 Vol.10 No.2

        본 연구는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지역간 산업연관표를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구분하여 재분류한 후 수도권과 비수도권간의 경제적 효과를 비교분석하고, 이로부터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각종 유발계수의 평균치는 거의 모든 부문에서 비수도권의 계수가 수도권에 비해 약간 더 높았다. 다만 부가가치승수만 상대적으로 약간 더 낮았다. 이는 제한된 자금을 가지고 투자할 경우 일반적으로 비수도권에 투자하는 것이 보다 더 큰 파급효과를 창출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일정한 금액을 투자할 시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미치는 생산 및 부가가치 파급효과도 수도권에 비해 비수도권에 투자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더 높았다. 다만 건설업에 투자할 시 고용유발효과는 수도권이 더 높았다. 다른 측면으로 해석하면 수도권의 발전이 지방경제를 발전시키는 확산효과보다는 수도권의 발전으로 지방경제가 수도권으로 흡인되는 빨대효과 내지 역류효과가 크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산업부문별로 동일한 금액을 투자하더라도 수도권, 대구경북권, 기타권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약간씩 달랐다. 따라서 어떤 투자 프로젝트를 추진할 때 이러한 파급효과를 고려하여 지역적으로 투자하는 것이 보다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s various economic effects of Seoul Metropolitan Area(SMA) and non-Seoul Metropolitan Area (NSMA) using the interregional input-output model. The main poli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value of various requirement coefficients of NSMA is higher than that of SMA. Only the value-added multiplier of NSMA is lower than that of SMA. This implies that investments on NSMA create bigger spread effects than investments on SMA do. Second, the analysis shows that the backwash effects of the development of SMA are greater than its spread effects: the development of SMA tends to absorb resources from regional economies rather than to boost those economies. Finally, the spread effects of investments are different depending on which region and which industry sector the investments are made into. When an investment plan is designed, therefore, various requirement effects of the project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cision where the investment should be made.

      • KCI등재

        A Structural Analysis of Optical Industry in Fukui using Input-Output Model

        이춘근(Lee, Choon-Keun),김종웅(Kim, Chong-Ung) 한국지역개발학회 2007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19 No.4

        본 연구는 2000년 일본 후쿠이지역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분석목적에 따라 안경산업을 별도의 부문으로 구분하여 후쿠이지역 산업연관표를 새로 작성하고, 이로부터 안경산업의 산업연관구조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대구지역 안경산업의 연관구조와 비교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후쿠이 지역의 안경산업은 엘본 안경산업이 가장 집중된 집산지이지만, 후쿠이현 전체산업에서 차지하는 산출액 비중은 1.9%, 취업자 수 비중은 1.7% 정도였다. 후쿠이지역안경산업의 중간투입률은 48.8% 이고, 중간수요율은 4.6% 에 불과하다. 반면에 대구지역안경산업의 중간투입률은 67.0%, 중간수요율은 56 .1%이다. 후쿠이현 안경산업의 중간수요율이 크게 낮은 것은 중간수요 제품을 주로 중국 등 수입에 의해서 조달하기 때문이다. 안경산업의 최종수요별 수입유발계수가 평균 0.00555로 상대적으로 높아 이를 대변하고 있다. 후쿠이지역 안경산엽의 연관구조를 분석해 본 결과, 소득유발계수는 0 .5955로 약간 높지만, 전 · 후방 연관효과(각각 0.5228, 0.9657) 나 각종 승수의 값(산출승수 1.9299, 고용승수1.9222, 부가가치승수 1. 9565) 이 중간이하 수준이라 성장 유망산업으로 보기가 어려웠다. 반면에 대구시 안경산엽은 후방연관효과가 높고, 입지계수가 높으며 부가가치승수와 산출승 수는 전체산엽 중 중 · 상정도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여 지역의 대표적인 특화산업이었다. 안경산업 부문을 외생부문으로 처리하여 안경산업이 여타 산업에 미치는 생산 및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계산하면, 후쿠이 지역은 대 사업소 서비스업(생산유발효과 0.1208, 부가가치유발효과 0.0875) 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 요업 및 토석제품(0.0854,0.0282), 기타 제조업 제품, 교육 · 연구엽, 금속제품 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대구지역도 산 업분류상 약간 차이를 보였지만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대구지역 안경산업의 육성을 위해서는 일본 후쿠이지역의 사례를 참고하여 안경산업 브랜드를 육성시키고, 단순 집적지를 혁신클러스터로 육성시켜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경북지역 주력산업의 지역간 산업연관구조 분석

        이춘근 ( Choon Keun Lee ) 한국경제통상학회 2012 경제연구 Vol.30 No.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industrial linkage for Gyeongbuk region using an intra-regional input and output analysis, which is originally based on the regional input and output table published by the Bank of Korea in 2005. The study areas is divided into six regions : Daegu-Gyeongbuk region, Capital zone, South-Eastern zone, Chungchoeng region and the rest of South Korea. The main findings are as it follows. First, electronics, iron and steel and textile industries are identified as a leading industry for Daegu-Gyeongbuk region when looking into value-added ratio and location quotient(LQ). Thus, the further study is carried out for these main industries. Second, when investigating the trade structure of Gyeongbuk region, exportable rate is 36.1, 33.9, and 11.8 per cent for Capital zone, South-Eastern zone and Chungchoen region, respectively, whereas importable rata is 38.5, 28.0 and 10.9 per cent for Capital zone, South-Eastern and Chungchoeng region, respectively. In terms of the trade structure of Daegu-Gyeongbuk region and Capital zone shows the most largest importable amounts, whereas South-eastern has the largest exportable amounts. Third, although value added inducement coefficients of textile industry in Gyeongbuk are lower than those of Capital zone and Daegu, they are greater than those of Chungchoeng, South-Eastern zone and the rest of South Korea. In terms of iron and steel industries, they are slightly higher than the rest of the regions, whereas those of electricity industry are relatively lower than all the regions to the exclusion of the rest of Korea. Forth, the indices of the sensitivity dispersion and the power dispersion in Gyeongbuk are greater than the others, whereas the index of effects in textile industry is higher comparing the average values for whole industry. Finally, the index of the sensitivity dispersion in electricity industry is greater than the average values for whole industry. Fifth, investigating forward and backward linkage of iron and steel industries, Gyeongbuk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provinces of Gyeonggi, Gyeongnam and Junnam. In addition, although forward and backward linkage is low, it is relatively highly associated with the provinces of Gyeonggi and Seoul. In terms of textile industry, they are highly associated with Seoul and Gyeonggi, and slightly related with Gyeongnam, Busan and Ulsan. Its backward linkage with Daegu is also apparent. Sixth, in terms of product inducement coefficient of iron, steel and electricity industries, Gyeongbuk imposes on the greatest economic impact on Capital zone and next South-eastern region. Regarding on textile industry, Gyeongbuk imposes on the greatest economic impacts on itself and South-eastern region, and next Capital zone and Daegu city. The policy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are as it follows. The leading industries of Gyeongbuk region are not highly correlated with those of Daegu city, whereas they are more associated with Capital zone and South-eastern region. This suggests that Gyeongbuk should look into an adequate and desirable way to cooperate with Capital zone and South-eastern region. In addition, when addressing a development plan of a specific industry,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industrial linkage structures between regions in order to enhance its synergy ef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