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FSI 기법을 이용한 Self-Inflating Tire의 펌핑 튜브 형상 최적화

        이철형(Chul-Hyung Lee),한명재(Myung-Jae Han),박태원(Tae-Won Park),김명준 대한기계학회 2017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7 No.11

        In this work, it studied the Self-Inflating Tire to prevent shortage/excessive tire pressure. Self-Inflating Tire is a technology that keeps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constant, which prevents accident risk and tire life reduction due to shortage/excessive air pressure. The shape optimization of the inner pumping tube of the tire was performed using ANSYS FSI(Fluid-Structure Interaction) technique. The tube optimization parameters were the outer diameter and thickness of the tube. The objective function was the inlet and outlet air pressure difference and outer diameter of the pumping tube. The optimiz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central composite programming method, and a ANOVA table is used to verity the reliability of the regression model function estimated from the central composite table results. The shape optimization of the pumping tube was implemented from the verified ANOVA table.

      • KCI등재

        무형문화유산의 보전 및 활용과 저작권 관리방향

        이철남(Lee Chul Nam)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3 江原法學 Vol.40 No.-

        국내외에서 무형문화유산의 보존, 보호, 활용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기록화 및 아카이브 구축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무형문화유산의 보전 및 활용이라는 측면과 저작권 보호의 측면은 보다 광범위한 지점에서 어느 정도의 긴장관계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무형문화유산의 보전 및 활용을 위한 저작권 정책의 방향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국립문화재연구소가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의 저작권을 어떻게 활용해 갈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무형문화유산에 관한 방대한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국립문화재연구소는 특히 권리귀속의 측면에서 비교적 상세한 규정을 마련하고 있지만, 연구소가 저작재산권 등을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를 제3자에게 이용허락하는 측면에서는 상세한 규정이나 약관을 갖추지 못했다. 근본적인 문제로는 연구소 보유 콘텐츠의 활용방향이나 이용을 허락하는 범위에 있어서 충분한 논의나 컨센서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사명은 “문화유산의 지식창출”과 “문화유산의 활용”을 통해 “우리문화의 가치를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러한 사명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보유콘텐츠를 일반 국민들이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다만, 그 과정에서 관련 법률을 준수해야 하며, 또한 공동체 등의 협력을 구하고 그들의 이해관계를 충분히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큰 방향에서 권리귀속과 이용범위 등 권리관계에 관한 세부적인 내용을 결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관련 조직과 프로세스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저작권 관련 처리업무매뉴얼’ 등 관련규정 등을 개정할 필요가 있으며, ‘저작재산권 양도 계약서’와 ‘동의서’를 개정하고, 홈페이지 이용약관을 새로이 제정할 필요가 있으며, 다운로드가 허용되는 콘텐츠에 대해서는 CCL 등을 활용하여 적절한 이용범위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Efforts to preserve, protect, and utiliz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CH) have persisted both at home and abroad, with the establishment of records and archives comprising a part of the process. Regrettably, the digital archives that are currently under construction in Korea face complex issues regarding the mana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ICH-related contents held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are considerable in quantity, and outstanding in quality. The Institute has implemented somewhat detailed regulations towards its vast and valuable contents, particularly with regards to the appropriation of rights, and the Institute retains copyright for the majority of its contents. In cases where a third party holds the copyright, regulations specify commitment to the author’s moral rights and the performer’s rights. On the other hand, in cases where the Institute permits a third party to use contents for which it holds rights, there were no relevant regulations or user license, with the exception of publications. A more fundamental problem lies in the fact that there is a lack of sufficient discussion or consensus regarding the usage direction or usage permission for contents owned by the Institute. The implementation of an IPR policy is paramount to overcoming these issues. The mission of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is to “enhance the value of Korean culture” through the “creation of knowledge regarding cultural heritage” and th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To fulfill this mission, the Institute must actively provide its contents, allowing the general public to make better use of the contents. However, the Institute must uphold the relevant laws in the endeavor, while also seeking cooperation from source communities and adequately reflecting their interests and concerns. In order to realize these aims, the Institute must affirm the details regarding the appropriation of content rights, as well as the scope of usage and legal relationships, establishing the required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processes, and revising relevant regulation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무형문화유산의 보전 및 활용을 위한 규범체계에 관한 연구

        이철남(LEE Chul Nam)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法學硏究 Vol.44 No.-

        우리나라는 그간 문화재보호법을 주축으로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는 규범체계를 구축 및 운영해 왔는데, UNESCO의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 가입을 계기로 무형문화유산의 특성을 반영한 새로운 규범체계를 마련하는 중에 있다. 그런데, 2001년 이후부터 WIPO를 중심으로 전통문화표현물의 보호를 위한 국제적 규범체계를 제정하는 논의가 현재까지 진행되어 오고 있다. 논의의 핵심은 무형문화유산의 전승 및 활용과정에서 토착민 등 전승주체의 이해관계를 반영함에 있는데, 보호의 대상과 수혜자, 보호의 범위 및 예외 등과 관련하여 국가들간 의견이 상이하여 큰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2012년 WIPO IGC 회의에서 제출된 조약 초안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전통문화표현물들에 대해 적용시켜보고자 했지만, 보호의 대상이나 보호 적격, 수혜자의 범위 등에서 모호한 점이 많아 규범체계의 실현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이는 무형문화유산이 갖는 고유한 특성 때문에 기존의 지식재산권 규범체계를 통한 보호가 한계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WIPO에서의 논의가 기존의 지재권 규범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데서 기인하고 있다고 본다. 관련된 규범체계가 부재하는 국내 상황에서, 호주 등에서의 사례를 참조하여 ‘연구윤리지침’ 등의 제정을 통해 무형문화유산 공동체 등의 이해관계를 반영하려는 시도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본다. Korea has built and is operating a normative framework that protect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rough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Since 2001, WIPO has been discussing new international norm protecting Traditional Cultural Expressions. The core of the discussion is to reflect the interests of indigenous peoples in the course of transmission and utiliz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s paper has tried to apply the draft treaty submitted in the WIPO IGC meeting to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al expressions. But, there were a lot of ambiguous points remained in building the new normative framework. This paper concluded that the new framework is based a lot on the existing IPR norms that has limits in protecting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domestic situations where the relevant norms do not exist, we need to consider a new way to reflect the interests of the community, including ‘research ethics’ like the case in Australia.

      • KCI등재

        무형문화유산 관련 기증자료의 저작권 쟁점에 관한 연구

        이철남(LEE Chul Nam)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法學硏究 Vol.25 No.1

        최근, 무형문화유산에 관한 아카이브 등에서 발생하고 있는 쟁점들중의 하나는 기증자료의 권리관계에 관한 문제이다. 저작권 문제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다수의 기관들이 보유중인 개별 콘텐츠의 권리관계를 정리해 가고 있는데, 원로 민속학자 등이 기증한 사진자료, 영상자료, 음향자료 등은 저작권 권리관계가 매우 불명확하다. 그동안 기증자료를 담당해 왔던 실무자들의 입장에서는 자료의 소유권 관계에만 집중하고 저작권 문제는 소홀히 다루어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소유권과 저작권은 구별되는 개념이며, 기증자료의 소유권이 박물관 등에 귀속되더라도 해당 자료의 저작권은 기증자에게 남아 있을 수 있으며, 기증자가 해당 자료의 저작권자가 아닌 경우도 많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무형문화유산에 관한 기증자료와 관련하여 박물관 등에서 직면하고 있는 저작권 쟁점들을 분석하고, 기증자료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한 관점에서 현행 저작권법상의 다양한 예외규정의 적용을 검토하였다. 아울러, 박물관 등의 입장에서는 향후 보유중인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제3자의 이용범위를 세분화하기 위해서는 기탁자료의 권리귀속과 이용범위에 관한 사항을 현재보다 상세히 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으며, 권리관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는 리그크 관리의 관점에서 접근할 것을 제안하였다. One of the issues in disputes regarding identifying rights of individual content at museums is the copyright issues of deposited materials. With the increasing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opyright, a number of institutes have been processing copyrights of archives regard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ut there still remain obscure areas of the copyright over audio or visual materials and photos donated by senior forklorists. As a matter of fact, hands-on staff have focused only on the ownership of the materials, overlooking the aspects of copyrights. There is an exact distinction between ownership and copyright. Although the ownership of the material may belong to the museum, the copyright may remain on the donaters. This research aims at analysing copyright issues that pertinent institutes have faced regarding the deposited materials abou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examining how to apply current copyright law in order to make good use of the deposited materials. Museums should take several things into consideration. Firstly, they need to make contracts on the vested right and the range of usage of the depositied materials more in detail in order to make positive use of their possessed materials. However, when they find it difficult to make clear the right ownership, they should approach it in terms of risk management. Second, they need to share the deposited materials that they possess exclusively with other institutes to maximize resources. Current copyright law partly allows each institute to share the deposited materials and needs to pursue extended sharing of the deposited materials even through its mod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