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풍수 통맥법의 절손지지에 대한 적용사례 연구

        이진삼 ( Jin Sam Lee ) 남도민속학회 2013 남도민속연구 Vol.26 No.-

        도선국사(道詵國師)를 종조(宗祖)로 하는 비보풍수는 우리의 풍수사에서 폭넓게 활용되어, 다른 나라의 비보풍수와 차별되는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풍수 지법으로 한국적인 풍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풍수의 술법 분야에서 한국은 중국 풍수의 이론을 가감없이 그대로 수용하였다는 것이 대부분 학자들의 견해이다. 그러므로 한국의 전통 풍수에 대한 학계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나 이규경의『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무라야마 지준의『조선의 풍수(朝鮮の風水)』,『조선의 민속(朝鮮の民俗)』등의 문헌에는 중국의 풍수지법과는 차별되는 한국의 전통풍수인 통맥법에 관한 기록들이 있다. 또한, 승려들이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도선비결(道詵秘訣), 일지승(一指僧) 결록, 일이승(一耳僧) 결록, 성거사(成居士) 결록 등은 전통풍수인 통맥법에 근거하여 작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적용사례로 고찰하고자 하는 전의 이씨 첨정공 묘소 비천오공형과 인동장씨 맹호출림형은 승려 하성부지와 성문승이 소점한 것으로 통맥법을 활용한 묘소이다. 통맥법은 용(龍)을 이기화(理氣化)한 간룡법(看龍法)으로 용의 생사를 판단하고, 용의 성질을 분석하여 혈(穴)을 분석하는 이론이다. 즉, 행룡하는 용이 어떠한 기운을 가지고 작혈(作穴)하였는가를 간룡(看龍)하고 행룡 시 위이(위이)를 살펴 용의 크기를 판단하여 어떠한 인물이 몇 대에 걸쳐 몇 명이 배출될 것인가를 분석하는 법이다. 이는 중국의 풍수이론과 차별되는 한국의 전통 풍수이론이라 할 수 있는데, 통맥법이 한국의 풍수사(風水史)에 존재하였다는 것이 문헌과 현장의 적용사례를 통하여 알 수 있다. 풍수지리가 우리 민족의 역사 속에서 문화유산과 정신문화에 많은 영향을 끼친 점을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의 문화에는 우리의 전통풍수지리 사상이 내재되어 있었으며 전통풍수지리 사상을 연구하는 것은 곧 우리 민족의 문화와 정신문화의한 단면을 밝히는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Bibo Fengshu whose progenitor is Doseonguksa(道詵國師) can be Korean Fengshui as our own unique Fengshui theory. But according to the most scholars’ opinions, Korea accepted the Chinese Fengshui theory as it is without any adjustments in the divination field. However, there are the records about the principle of mountain flow which is Korean traditional Fengshui and differeniates from Chinese Fengshui theory in literature including 『Oju-Yeonmunjangjeon-Sango (五洲衍文長箋散稿)』 by Lee, Gyu-gyeong and 『Joseon’s Fengshui (朝鮮の風水)』 and 『Joseon’s Folklore (朝鮮の 民俗)』 by Murayama Chizyun. Doseonbigyeol(道詵秘訣), Iljiseung(一指僧) Gyeolrok, Iliseung(一耳僧) Gyeolrok, and Seonggeosa (成居士) Gyeolrok which are presumed to be written by Buddhist monks were done based on the principle of mountain flow, traditional Fengshui. This study tries to consider the Bicheonogong-typed(the ideal spot with the shape that a centipede ascends to the sky) grave of Cheomjeonggong who is the Lees of Jeoneui and the Maenghochulrim-typed(the ideal spot with the shape that a tiger emerges from the forest) one of the Jangs of Indong made by the Buddhist monks, Haseongbuji and Seongmunseung as the application cases. The principle of mountain flow was utilized in them. The principle of mountain flow is the theory which analyzes Hyeol by judging life and death of dragons and analyzing their nature as the Ganryong Method(to check dragons) which controls their energy. That is, it analyzes what kinds of persons and how many persons are produced throughout how many family lines by finding mountain ranges if moving dragons make a hyeol(穴) with what energy, examining Wuiee(a mountain moves forward twisting its way : 위이) and Gibok(A mountain moves up and down : 起伏) when it moves, and judging dragons`` size. This can be the Korean traditional Fengshui theory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the Chinese Fengshui theory. Existence of the principle of mountain flow in Korean Fengshui history can be found through literature and the application cases of field. When the point that nobody can deny the fact that Fengshui theory has the great effect on cultural heritages and moral culture in the history of our people, our traditional Fengshui theory is reposed in our culture and the study on it can be the important thing to clarify a cross section of culture and moral culture of our people.

      • KCI등재

        한국 전통풍수의 연원 및 사상적 토대와 그 변모 양상

        이진삼 ( Jin Sam Lee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0 No.50

        풍수지리는 생태 환경적인 측면에서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지니고 있을 뿐만아니라 지모사상(地母思想)의 자연에 대한 사랑에서 발현된 탁월한 지리사상으로 세계 유산적 우수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고려의 건국이념과 조선의 한양 천도 등에 활용되었던 풍수지리는 1,000여 년동안 우리 민족의 역사와 문화, 사상에 많은 영향을 끼쳐 왔다. 한국의 전통풍수는 비보풍수와 택지법인 통맥풍수라고 할 수 있는데, 중국 풍수의 이론을 가감 없이 그대로 수용하였다는 것이 대부분 학자의 견해이다. 본고에서는 『백계산옥룡사증시선각국사비명』 등의 문헌을 재해석하여 한국의 전통풍수는 중국과 별개로 발전하여 온 풍수지법이라는 것과 전통풍수에 내재되어 있는 사상은 홍익인간·재세이화의 사상이라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중국의 풍수는 동기감응을 전제로 한 개인의 발복을 바라는 이기적인 목적으로 주로 활용되었다면, 우리의 전통풍수는 국운을 상승시키기 위한 국역(國域)비보 등에 활용되었고, 승려를 중심으로 활용된 전통 통맥풍수는 권선징악과 같은 윤리적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한국 전통풍수는 개인의 이익보다는 공동체의 행복을 추구하는 홍익인간·재세이화의 사상이 담겨 있는 우리 민족 고유의 풍수인 것이다. In ecological environment aspect, Pungsu theory has the universal value as well as the world heritage value as a geographic ideology excellently revealed from the love to nature of mother earth ideology. Pungsu theory, used as the spirit of national foundation of Koryo and Chosun has greatly affected the history, culture and philosophy of Korean for one thousand years. We may say that the Korean traditional Pungsu is Bibo(protection) Pungsu and Tongmaek Pungsu, the land selection method. However, most of scholars think that the theory of Chinese Feng-shui was accepted to it without any addition and deletion. In this study, by re-interpreting of literatures such as “Doeseon Guksabi in Okryong Temple”, I’d like to define that the Korean traditional Pungsu is a geomantic principles developed separately from China and the ideology inhered in traditional Pungsu is an ideology of the humanitarian ideal and the ideology that the emerged world reciprocates reasonably. We may say that the Chinese Feng-shui is the selfish Pungsu invoking blessing of an a individual in premise of reciprocal response and our traditional Pungsu, led by the priest is used for the territory protection to enhance the national fortune and the moral purpose like promotion of virtue and reproval of vice. Different from Chinese Feng-shui used for selfish benefit, Korean traditional Pungsu is own Pungsu pursuing the happiness of community and bearing the humanitarian idea and ideology that world circulates in reasonable wa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 자생풍수(自生風水)의 통맥법(通脈法), 발복추산법(發福推算法) 행룡법(行龍法) 연구(硏究) : 삼의록(三議錄)을 중심(中心)으로

        이진삼 ( Jin Sam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3 No.-

        Native Feng-Shui which is different from China"s Feng-Shui has been in the vision with a focus on monks in the Korea and passed on a part of Yuga. China"s Feng-Shui is discussed about higher or low dragons, beauty and ugliness of Gwahyeop, the appreciate of the blood whereas Tongmaekbeop of native Feng-Shui is discussed about walking in a row of the dragon, the scale of Gwahyeop, sexual energy of the blood which aren"t mentioned in China"s Feong-Shui. In addition, native Feng-Shui has Balbok(a favorable change in fortune) estimation which can dissect meridians, it"s estimated whether any person is discharged over a few generations, it"s theorized as selfish and can be inherent in ancient Chinese astronomical ideas by matching constellations matched to Cheongwanseo of China"s "Sagi"(Sima Qian"s historical book) into the constellations to the bearing of the land again. Haengroyeongbeop has the method to know the fate of the dragon, which applies the principl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moon and sea water, it"s recognized the differences in tidal waters as the sky"s breathing and implies the unity ideas of heaven, earth and human that heaven, earth and human conform the laws of nature harmoniously. It can be seen that Feng-Shui theory has much influenced in our culture and ideas rather than the political uses such as Coryeo founding, Hanyang transferring. Looking at the part of the appeal that Goru(tall building) should not be built because Korea"s mountains and stream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china and Pyeongok(low building) to match our mountains and streams should be built in Coryeo history and China"s Feng Shui is in the Myeolmangyeong which is the appeal in the Annals of the Chosen dynasty, it can be seen that our ancestors recognized our mountains and streams need our Feng-Shui non China"s Feng-Shui because our mountains and stream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China. Considering that Feng-Shui theory had a great influence on cultural heritage in the story, our culture is inherent in native Feng-Shui ideas and it will be able to illuminate an aspect of our culture to study native Feng-Shui theory. 우리나라에는 중국의 풍수지리와 차별되는 자생풍수가 승려를 중심으로 한 불가에서 비전되어 왔으며, 일부 유가에 전해져 내려왔다. 자생풍수의 통맥법은 중국의 풍수가 용(龍)의 귀천, 과협(過峽)의 미악(美惡), 혈(穴)의 진가(眞假)에 대하여 논하였으나, 언급하지 않은 용(龍)의 행도, 과협의 규모, 혈(穴)의 성기(性氣) 등을 상술하였다. 또한, 자생풍수에는 혈을 해부할 수 있는 발복추산법이 있는데, 이는 몇 대(代)에 걸쳐서 어떤 인물이 배출 될 것인지를 추산하는 것으로, 중국의 『사기』 천관서에서 별자리에 관직을 대응시킨 것을 다시 땅의 방위에 별자리의 관직을 대응시켜 이기적으로 이론화 한 것인데 고대 중국의 천문사상이 내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행룡법에 있어 용(龍)의 생사를 아는 법은 달과 바닷물이 차고 줄어드는 이치를 응용하였는데 바닷물 조수의 차이를 하늘이 호흡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는 것이며, 이는 하늘과 땅, 사람(天地人)이 조화롭게 자연의 순리에 순응한다는 천지인 합일사상을 내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풍수지리는 우리의 역사 속에서 고려 건국이나 조선의 한양 천도와 같은 정치적인 이용뿐만 아니라 우리의 문화와 사상 등에도 많은 영향을 끼쳐왔다고 할 수 있다. 고려사에서 우리나라 산천이 중국과 달라 고루를 건축해서는 안 되며 우리 산천에 어울리는 평옥을 건축할 것을 상소한 부분과 『조선왕조실록』에서 중국의 풍수는 멸만경(滅蠻徑)이라는 상소 등을 살펴 볼 때 선조들은 우리의 산천이 중국과 상이하므로 우리 산천에는 중국의 풍수가 아닌 우리의 풍수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풍수지리가 우리 민족의 역사속에서 문화유산과 정신문화에 많은 영향을 끼친 점을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의 문화에는 자생풍수지리 사상이 내재되어 있었으며 자생풍수지리 사상을 연구하는 것은 곧 우리 민족의 문화와 정신문화의 한 단면을 밝히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일반논문 : 불교사찰(佛敎寺刹)에 적용된 비보풍수(裨補風水) 사례(事例) 연구(硏究)

        이진삼 ( Jin Sam Lee ),조성제 ( Sung Jae Cho ) 한국사상사학회 2011 韓國思想史學 Vol.0 No.39

        풍수지리와 불교는 기본원리는 물론 탄생배경까지 관련성이 없다 할 수 있다. 그런데도, 풍수지리와 불교는 서로 결합하여 많은 문화유산을 남겼다. 풍수지리가 불교에 끼친 영향으로는 사찰의 입지 선정은 물론, 가람배치와 같은 공간구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도선을 종조로 하는 비보풍수 사상은 국역비보, 국도비보를 위해서 사찰, 탑등을 건립하여 지력을 비보하였으며, 사찰은 종교적인 기능과 비보적인 풍수의 기능을 가지게 되었다. 비보적인 기능을 하였던 사찰은 사찰을 보호하기 위한 또 다른 건축물 비보를 하였다. 본고에서는 풍수적 결함이 있는 땅을 보완하기 위한 지력(地力)비보가 아닌, 건축물을 보호하기 위한 비보풍수에 대하여 사찰에 적용된 비보상징물들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사찰에 적용된 비보의 유형에는 장풍비보, 득수비보, 화기제압비보 등이 있는데, 이러한 비보상징물들이 가지는 의의는 재해로부터 안전할 것이라는 심리적인 안정감과 경각심을 일깨워 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비보풍수는 우환의식(憂患意識)으로 비보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였다 할 수 있다. 심리적 안정감과 우환의식의 효과를 가져온 건축물에 적용된 비보풍수는 선조들의 지혜가 담긴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이라 할 수 있는데, 이를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적용원리 및 적용과정 등에 대한 보다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We may say the basic principles and the back grounds of the birth of both Pungsujiri and Buddhism hardly have a relevance. However, Pungsujii and Bddhism has combined each other and left a large number of heritages. Pungsujiri has influenced Buddhism a lot in the selecting of temple locations, as well as the space composition like Garam disposition. The idea of Bibo Pungsu could supplement the energy of the land by constructing temples and pagodas for nation and city. Thereupon, the temples have become to have the function of the religion and Pungsu function as supplementary. The temples performed protective function have supplemented another building for the protection of the temples themselves. This report is focused on the study of supplementary symbols applied to the temples as the Bibopungsu for protection of buildings not for supplementing the land energy. The types of Bibo applied to the temples are Jangpoong Bibo, Deuksoo Bibo, Fire-fighting Bibo, etc.. These supplements have brought the effects of preventing calamities by giving the warning and sense of security from calamity. This Bibopungsu could achieved its original goal through awakening the sense against the calamity. Bibopungsu, applied to the buildings to bring the mental stablenss and sense of prevention of calamity, is our precious cultural heritage filled with the wisdom of our ancestors. For the success and development of it, we have to study more about principle and process of its application continuously.

      • KCI등재후보

        도선(道詵)의 비보사상(裨補思想) 연구 -풍수,도참,음양,오행,밀교사상 비교를 중심으로-

        이진삼 ( Jin Sam Lee ),박상만 ( Sang Man Par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origin of Doseon Guksa`s ``Bibo`` thought. Doseon is called a forefather of Korean Pungsujiri, but the initial documents on him was founded around 250 years after he passed away. So historical documents on him seems to be close to legendry records rather than historical facts because of imagination and political influence. Each material has not only different records but also diverse interpretation concerning an event, therefore a study on Doseon has a its limit in examining facts. In general, precedent studies on Doseon`s Bibo thought stress that it takes its root in Docham, Pungsu, or in building sites fixing in tantric perspective. In this paper, I tried to compare and analyze both the background of Pungsujiri`s thought and the building-sites fixing in Tantric Buddhism and tried to look into the origin of Doseon`s ``Bibo`` thought as well. based on precedent studies. It is often said that Doseon, a disciple of Hyecheol who succeeded to a dharma lineage from Ilhaeng, Chinse monk, was influenced by Buddhism, in particular by Tantric Buddhism. Hence, it seems that the origin of Doseon`s ``Bibo`` thought derives from Tantric Buddhism. Actually, Ilhaeng was at home in Pungsujiri so that he was renowned as a Pungsujiri expert rather than a zen master. If Doseon took over a dharma lineage from Ilhaeng, he must have been influenced by Punsujiri. Consequently, Doseon`s Bibo thought might be influenced by Tantric Buddhism. However, we cannot conclude that his ``Bibo`` thought is complete Tantric Buddhism thought excluding Pungsu or Docham. We should understand the origin of Doseon`s Bibo thought in cultural and political situation or in the dominant ideology of both a powerful clan of the late Silla and kings of the early Goryeo rather than in the perspective of Tantric Buddhism, Pungsu, and Docham. Local powerful clans of the late Silla and Goryeo kings took Buddha`s great power and Pungsu`s knowledge their ruling ideology, which is well expressed in ``Ten Instructions.`` Doseon`s ``Bibo`` thought is the very combination of Buddhist elements, Pungsujiri thought and temple pagpda, Docahm, Charyeok, Jubu belief, based on Yin and yang and Five elements of the cosmogo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