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학수업 분석체계를 기초로 한 수학수업 실천에 대한 일고찰

        이지현(Lee Jee Hy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07 열린교육연구 Vol.15 No.3

          최근, 교육과정 영역에서 수업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면서 수업에 대한 관심이 활성화 되고 있으며 교사의 덕목으로서 수업 실천 능력이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수업을 실천하기 위하여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은 부족하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는 수업의 실천에 대한 중요성은 부각되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 지침이 마련되지 못하고 있다는 데에 문제의식을 갖고 수업 실천에 대한 구체적 지침을 고찰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기존의 수학수업 분석연구 사례들을 검토하였다. 수학 교과는 학교 교육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교과목 중의 하나일 뿐만 아니라, 학습자를 변별하는 데 가장 중요한 교과 중의 하나로서 학교 수업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실제 수학수업에 대한 분석연구, 수학수업 분석에 관한 이론적 연구에서 나타난 수업분석 체계 및 준거를 검토함으로써 수학수업의 구체적 실천을 위한 시사점을 탐색 하였다.   The importance of classes in school curricula has been recently highlighted, putting more emphasis on teachers" lesson practice capabilities. However, detailed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effective lesson practice have yet to be fully formulated. Considering such a limitation in the teaching practice, this paper reviewed existing mathematics real class analysis and research cases in order to establish a basic framework for devising specific lesson practice guidelines. Mathematics, one of the key classes in the school curricula,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identifying differences in learning capabilities, whose importance in education can not be underestimated. Under these circumstances, implications for detailed and effective mathematics lesson practice were studied by reviewing math class analysis structures and criteria based on math class analysis/research and their theoretical background.

      • KCI등재

        예비교사의 봉사-학습 사례연구

        이지현(Lee, Jee Hy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0 열린교육연구 Vol.18 No.3

        교원양성 교육과정에 여러 가지 변화가 예고된다. 변화 가운데 주목할 것은 교육실습 교과목의 학점을 2학점에서 4학점으로 두 배 확대하면서 현장학교실습은 2학점 이상, 교육봉사활동은 2학점 이내에서 이수하도록 조정함으로써 실제적으로 교육봉사활동을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학점으로 인정할 뿐 아니라 독려하게 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제도는 교사의 실천능력 및 전문성을 함양하기 위한 것이라 예견할 수 있겠으나 제도를 신설하는 것만으로 해당능력의 함양을 보장할 수는 없는 일이다. 이에 연구자는 교육봉사 활동에 대한 사전 기초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고, 연구자가 지난 3년간 진행하여 온 봉사-학습 활동1)에서 드러난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논의함으로써 향후 전개될 교육봉사활동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봉사활동은 대학에서의 학습 내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야 한 다. 둘째, 대학교수와 기관교사의 긴밀한 교류가 필요하며 대학교수 및 기관교사와 봉사자 간의밀착된 협력관계 속에서 지도가 요구된다. 셋째, 봉사 수혜자를 신중하게 선정해야 한다. 봉사자의 능력과 수혜자의 요구를 사전에 조사하여 적합화해야 한다. 넷째, 봉사-학습에 임하는 자세로서, 사회개혁 및 개선의 의지를 갖추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교육봉사활동은 최소한 1년 이상 지속하는 것이 좋으며, 봉사활동 중, 개인적 성찰의 시간을 충분히 갖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not only to anticipate but also manage the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that every prospective teachers' training program might confront asmandatory curriculum from next yea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researcher tried to consider and figure out what the benefits and pitfalls of Service-Learning so that one might draw out important tips how they are able to deal with the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successfully.It seems certain that prospective teachers' after school teaching or mentoring activities as Service-Learning that have been lead in the researcher's classes for about three years have much common grounds with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As a result, there are four things that might be refered: First, there must be consistencies between the content of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and the prospective teachers' classroom learning at teacher training program. Second, there must be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and virtual schools so that professors and teachers at school are affordable to help prospective teachers in the real context. Third, the needs of the recipient and the ones who serve should meet in accordance with their objectives, demand, and interests so that they adjust themselves while they're doing their work together. Fourth, the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should last one year at leas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예비교사의 실천적 지식 함양을 위한 수업 프로그램 연구

        이지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9 교육과학연구 Vol.40 No.1

        이 논문은 교사양성 교육과정에서 요구되는 덕목이라 할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의미를 고찰하고 이를 대학의 교사양성 교육과정에서 실현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구체적인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발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실천적 지식에 대한 합의된 정의를 내리기는 어려우나 여러 학자들의 논의에서 고찰되는 공통적 특성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교사양성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것은 고등수준의 사고 활동을 중요시하고 의사소통을 활성화하며 반성적 사고를 강화한 사례중심의 활동 프로그램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확인한 결과로, 첫째, 이론적 지식에 대한 구체적․실질적 이해의 증진, 둘째, 이론에 대한 비판과 재해석 능력의 함양, 셋째, 현장에 대한 이해의 폭 확장과 교육적 관점의 획득, 넷째, 예비교사의 사전경험을 토대로 한 대안의 도출, 다섯째, 교육의 장 확대와 반성적 사고활동의 활성화 등이 대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학교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원천이 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지만 이것을 교사양성 교육과정에서 명시적으로 가르치기 어렵다는 난점이 있다. 앞으로, 교사의 실천적 지식 함양을 위한 교사양성 교육과정의 노력은 꾸준히 진행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라고 하겠다.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concrete pre-service teachers' curriculum and to discuss the results of it which focuses on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that has been emphasized for the future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in these days. Even though it is not possible for us to elicit the exact definition of 'practical knowledge', considering the common dispositions of practical knowledge, the researcher has developed and specified the classroom activities for pre-service teachers. It is characterized as a real-case studies, higher-order thinking performances which are focused on intercommunication and reflective thinking of pre-service teachers. What we gained as results of these activities are as the followings: first, not only the comprehension but also the systematization of theoretical knowledge on education has been obtained; second, problematic points in real context have been exposed and followed by that and then the reexamination and interpre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text have been accomplished; third, the expansion of the range of the understanding of school context and unique view point of the real school practice has been attained; forth, the alternatives to solve the real problems which occur in the real school context has been contrived based on the pre-service teachers' previous experiences; and fifth,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minds and empowering the reflective thinking has been emerged. The effort on pursuit of practical knowledge for pre-service teachers is inevitable for not only the amendment but also the progress for future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