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민건강영양조사 (2010~2012년)를 이용한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채소와 과일 섭취 비교

        이지유,신애선 한국영양학회 2015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8 No.3

        Purpose: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compare the vegetable and fruit intake between one person households and those living with family. Methods: The 24-hour recall data of 14,914 persons over 20 years old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from 2010 to 2012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Consumption of non-salted vegetables and fruits (≥ 400 g/day), fruits (≥ 200 g/day), and kimchi (≥ 120 g/day) was compared between one person households and those living with family.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assess the associations between potential determinants and adequate vegetable and fruit intake. Results: After additional adjustments for age, household income, and total energy intak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kelihood of low intake of nonsalted vegetable and fruit and kimchi were observed between one person households and those living with family. (Nonsalted vegetables and fruits: odds ratio (OR) = 1.15, 95% confidence interval (CI) = 0.79-1.68 for the men; OR = 1.25, 95% CI = 0.98-1.59 for women). However one person households have greater likelihood of low intake of kimchi than those living with family in women (OR = 1.72, 95% CI = 1.31-2.26). Conclusion: Al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likelihood of low intake of non-salted vegetables and between individuals living alone and those living with family, women of one person households were great likelihood of low intake of kimchi compared to those living with family.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5기의 2010~2012년 자료로 독립이 가능한 20세 이상 남녀 14,914명의 24시간 회상법 자료를 이용하여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비염장채소와과일, 과일, 김치를 적게 섭취할 위험도를 비교하였다. 1인가구 남성에서 미혼의 비율이 41.5%인 반면에 1인가구 여성에서 미혼비율이 9.2%로 여성 1인가구의 90%는기혼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가구소득은 남성에서 100만원 미만이 1인가구는 42.3%, 다인가구는 12.7%를 나타내었으며, 여성에서 1인가구는 100만원미만이 70%, 다인가구는 11.9%로 1인가구에서 저소득층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교육수준은 남성에서 6년 미만이 1인가구는 20.7%, 다인가구는15.1%를 나타내었으며, 여성에서 1인가구는 6년 미만이66.4%, 다인가구는 24.6%로 남성에서는 큰 차이가 없지만 여성의 교육수준에서는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큰차이를 보여주었다. 20세 이상 성인남녀에서 미혼인사람보다 기혼인사람의채소과일 섭취량이 많고,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이 증가 함에따라 비염장채소와 과일섭취가 400 g 이상인 사람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가구 구조에 따른 채소 과일섭취량의 관계에 대해 분석한 결과 나이와 가구소득, 총에너지 섭취량을 보정한 후 남성에서는 1인가구가 다인가구에 비해 기준치보다 적게 비염장 채소와 과일을 섭취할 위험도, 그리고 김치 섭취에서는 적게먹을 위험도의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여성에서 김치섭취에서 보정 후에도 다인가구에 비해 1인가구가 더 적게 먹을 위험도의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남성 1인가구는 다인가구에 비해 채소와 과일을 적게 섭취할 위험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지만, 여성에서는 1인가구가 다인가구에 비해 김치를 적게 먹을위험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 학습능력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

        이지유,조규판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3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그릿(노력의 꾸준함, 관심의 일관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학생 3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그릿(grit), 자기주도 학습능력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노력의 꾸준함, 자기주도 학습능력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노력의 꾸준함은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관심의 일관성은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중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노력의 꾸준함에 대한 중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steady effort and consistency of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 survey was conducted on 311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data were analyze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grit,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teady effor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steady effort has been verified 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rd, the consistency of interest did not show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llectively,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importance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steady effort that affect middle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KCI등재

        통합운영학교의 운영 실태 및 성과에 관한 연구 - 문헌조사를 중심으로 -

        이지유,이종국,Lee, Ji-You,Lee, Jong-Kuk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20 교육·녹색환경연구 Vol.19 No.4

        통합운영학교는 1998년 8개교를 운영함으로써 국내에 도입되어 현재 106개교로 점차 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지난 20년 동안 통합운영학교을 주제로 한 연구에서 각자 다양한 문제점들이 지적되었으나 오늘날에도 이러한 지적사항들이 반영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합운영학교의 개념, 배경, 최근현황, 유형 등을 전반적으로 정리한 후, 문헌조사를 통하여 통합운영학교의 문제점을 교육과정의 측면, 교원관리의 측면, 학생관리의 측면, 교육시설 운영 및 관리의 측면, 법률 및 정책의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통합운영학교의 우려되었던 점과 실제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비교할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정리하였다. Integrated operation schools were introduced to Korea in 1998 with an operation of eight schools, and their number has now increased to 106 and is still growing. Although various problems have been pointed out in research on integrated operation schools over the past two decades, these have not been reflected toda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summarize the concepts, backgrounds, recent status, types, etc. of the integrated operation school and to present its problems in terms of curriculum, teacher management, student management, operation and management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law and policy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o propose measures for improvement. This allowed us to compare the concerns of the integrated operation school with the results of the actual research and organize improvement measures.

      • KCI등재

        Association between Green Tea Consumption and Risk of Stroke in Middle-Aged and Older Korean Men: the Health Examinees (HEXA) Study

        이지유,김유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9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Vol.24 No.1

        Green tea consumption is known to have varying effects on health and disea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green tea consumption and risk of stroke in Korean adult men. Data were obtained from the Health Examinees (HEXA) Study, which included 50,439 subjects aged 40 years and older. Information regarding dietary intake was collected from semi-quantifie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106 items. Green tea consumption was categorized as none, <1 cup/d, 1 to 3 cups/d, and ≥3 cups/d.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estimate odds ratios (OR)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to examine a possible association between green tea consumption and risk of stroke by controlling for potential confounders. Subgroup analyses by age, body mass index,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smoking status, and alcohol consumption were also performed. Compared with green tea non-drinkers, individuals that consumed 1∼3 cups/d or ≥3 cups/d of green tea had multivariable adjusted OR (CI) of stroke of 0.75 (0.59∼0.97) and 0.62 (0.39∼0.98), respectively, after adjusting for age and various confounders. In the subgroup analyses, an inverse association between green tea consumption and risk of stroke was identified among younger, non-hypertensive, and non-diabetic men. Higher consumption of green tea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stroke risk in middle-aged and older Korean men.

      • KCI등재

        통합운영학교의 건축공간계획적 특성에 관한 연구- 국외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이지유,이종국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0 청소년시설환경 Vol.18 No.2

        Although the number of school-age people is decreasing due to the population reduction and aging of the population, one of the nation’s most serious problems, the "unified-run school" is expanding beyond rural areas to urban areas, which has been created due to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schools. About 100 schools have been operated so far and related research is under way.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Korean integrated schools have problems such as inconvenience in the use of public spaces, closeness in exchange, and integration of form onl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ddress problems that the integrated operation schools in Korea have and present suggestions for efficient sharing and separation of facilities through the case of the National Sunlight Survey. First of all, the problems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school in Korea will be sorted out through a prior study. Next, th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four foreign events, the type of common use space, spatial relations, and classroom size. As a result, we could see that each school class was being separated through floor-by-floor and distributed classification, and that the joint space was planned to be put together and all the school-level classes were connected. 현재 우리나라의 가장 심각한 문제 중 하나인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인해 학령인구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학령인구감소에 따라 소규모학교 통폐합과 폐교가 증가하고 있는데, '통합운영학교'는 이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통합운영학교는 현재까지 약 100개가 운영되고 있으며 관련 연구와 지침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그러나 국내 통합학교는 공동사용공간 이용의 불편, 상호교류의 부족, 형식적인 통합 등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합운영학교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정리하고, 국외의 사례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시설 공유와 분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국내 통합운영학교의 문제는 선행연구고찰 통해 정리된다. 다음으로, 사례분석은 국외사례의 배치 특성, 공동사용공간 종규, 공간 관계, 교실규모특성을 기준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각 학교 학급이 층별, 분산구분을 통해 분리되고 있으며, 공동 공간을 편성할 계획이며 모든 학교급 학급이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Adherence to the Recommended Intake of Calcium and Colorectal Cancer Risk in the HEXA Study

        이지유,신애선,최지엽,강대희,이종구 대한암학회 2021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Vol.53 No.1

        Purpose Dietary calcium intake has been suggested to be protective against the development of colorectal cancer. The mean dietary calcium intake of Koreans is 490 mg/day, which is far below the recommended calcium intake of 700-800 mg/day.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calcium intake and colorectal cancer development in Koreans with relatively low calcium intake compared with individuals in Western countries. Materials and Methods The Health Examinees Study, a large-scale genomic community-based prospective cohort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ajor chronic diseases in Koreans. A total of 119,501 participants aged 40-69 years recruited between 2004 and 2013 were included in this analysis. The calcium intake level was categorized using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DRIs).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hazard ratio (HR) and the corresponding 95% confidence intervals (CIs) for colorectal cancer risk, adjusting for potential confounders. Results In the multivariable-adjusted model, compared with the group that consumed less than the recommended amount of calcium, the group that consumed more than the recommended intake of calcium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risk of colorectal cancer in women. (HR, 0.54; 95% CI, 0.31 to 0.95). Among men, however,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observed between dietary calcium intake and colorectal cancer risk (HR, 0.89; 95% CI, 0.54 to 1.45). Conclusion Korean women who adhere to the recommended intake of calcium showed a reduced risk of colorectal cancer.

      • KCI등재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 안전행동과 사후반추사고의 매개효과

        이지유(Jiyu, Lee),박기환(Kee-Hwan,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목적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가진 사람들이 사회적 상황에서 안전행동을 취하고, 사회적 상황이 종료된 이후 사후반추사고를 하여 대인관계 문제를 더 많이 경험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B-FNE), 안전행동 척도(SAFE), 사후반추사고 척도(PERS), 대인관계 문제 척도(KIIP-SC)가 포함된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만 18세 이상의 성인 447명으로부터 유효한 데이터를 얻었다. 이 데이터가 반영된 구조방정식 모형을 SPSS 23.0, AMOS 23.0, Mplus 6.12를 사용해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안전행동, 사후반추사고 각 요인이 갖는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안전행동, 사후반추사고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대인관계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가진 사람들이 사회적 상황 전 혹은 사회적 상황 동안 안전행동을 취하고, 사회적 상황 이후 사후반추사고를 하여 대인관계 문제를 더 많이 경험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사회불안에 대한 인지행동적, 대인관계적 이론의 측면에서 연구 결과가 갖는 함의에 대해 논의하고,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examined mediating role of safety behaviors and post-event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447 adults using Brief-Fear of Negative Evaluation(B-FNE), Subtle Avoidance Frequency Examination(SAFE), Post-Event Rumination Scale(PERS), short form of the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Circumplex Scale(KIIP-SC), and Korean version o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Revised(K-CESD-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test the mediation effect of safety behavior and post-event rumination.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safety behaviors and post-event rumin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 Conclusions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fear of negative evaluation make more safety behaviors and post-event rumination in social interaction situations, and in turn it draws to more interpersonal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