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형 수중구조물 보수를 위한 부유식 섹터케이슨

        이중우,이승철,이정수,곽승규,김기담,Lee, Joong-Woo,Lee, Seung-Chul,Lee, Jung-Su,Kwak, Seung-Kyu,Kim, Ki-Dam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1 No.5

        최근 건설구조물의 하자보수기간은 5년에서 10년으로 연장되었고 건설품질 및 유지관리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따라 교량, 댐, 항만 구조물의 수중부 은폐된 부분에 대한 유지관리를 위해 반영구적인 공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대형 강관 및 교각의 수중시공에서는 잠수부들의 기술능력부족과 수중에서의 작업조건의 까다로움 등으로 임시적인 작업이 되었던 현 실정을 고려하여 수중구조물 유지관리에 실용화 될 수 있는 공법으로 부체식 섹터케이슨을 제안하였다. 특히, 상부구조물이 수면에 가까운 경우 및 구조물간 간격이 좁은 경우 보수구간의 접근성과 교각과 같은 대형 수중구조물 유지 보수 시 드는 고비용의 문제 등으로 전체 구조체를 설치하는 대신 섹터케이슨을 개발하여 도입함으로써 비상시 이동과 장래 신속한 작업수행 및 작업수준 향상에 획기적인 역할이 기대 된다. Recently, the defect maintenance period of the new construction structure was extended from 5 years to 10 years. And according to change of realization on the quality of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a development of semi-permanent method of construction is required for maintenance of blind parts of underwater structure, such as bridge, dam, harbor, etc. In this study, we proposed a floating type sector dry caisson, which is effective to the maintenance of submerged large structures. These large structures were being maintained incompletely, partly due to unskilled divers and difficult working condition. Considering the easiness of access to the maintenance area and the cost for set up the working structure, especially for the case of structure slabs close to the sea surface and harrow pile span structures, we developed and introduced a sector dry caisson instead of the full caisson structure. By doing this, it is easy to move out the caisson rapidly in emergence case. Therefore, we expect that the floating sector caisson will contribute to reduce working time and improve the quality of underwater work in future days.

      • 겨울철 개구리 (Rana temporaria)의 $Na^{+}$이온 대사

        이중우,강두희,Lee, Joong-Woo,Kang, Doo-Hee 대한생리학회 1973 대한생리학회지 Vol.7 No.1

        $Na^{+}$ balance was studied in Rana temporaria, which hibenates in fresh water in the winter time. $Na^{+}$ uptake rate, skin $Na^{+}$ loss rate, urinary $Na^{+}$ loss rate and $Na^{+}-K^{+}$ adenosine triphosphatase(ATPase) were measured at two different temperatures $1{\sim}2^{\circ}C\;and\;20{\sim}24^{\circ}C$ resp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Na^{+}$ uptake rates in the frog in an artificial Pond water (APW) were found to be $8.28{\pm}0.73\;and\;2.19{\pm}0.37\;{\mu}Eq/g/day\;at\;20{\sim}24^{\circ}C\;and\;1.0{\sim}2.5^{\circ}$ respectively. 2. $Na^{+}$ loss rate through the frog skin to APW were found to be $4.26{\pm}0.72\;and\;0.93{\pm}0.21\;{\mu}Eq/g/day$ at the same temperatures. 3. Mean rates of urinary $Na^{+}$ loss at $20{\sim}24^{\circ}C\;and\;3{\sim}4^{\circ}C$ were found to be $3.02{\pm}0.73\;and\;0.78{\pm}0.13\;{\mu}Eq/g/day$ respectively. 4. The activities of $Na^{+}-K^{+}$ activated ATPase of frog skin fragments were found to be $258{\pm}39.4\;and\;49.6{\pm}7.1\;{\mu}M\;Pi/g$ protein/hr at $24^{\circ}C\;and\;2^{\circ}C$ respectively. From the above results, it may be concluded that frogs can take up enough $Na^{+}$ through the skin from APW exceeding skin loss Plus urinary loss at $1{\sim}2^{\circ}C$. It is suggested that $Na^{+}$ transport across frog skin is closely related with $Na^+-K^+$ ATPase since $Q_{10}\;of\;Na^{+}$ uptake is much similar to that of the activities of $Na^{+}-K^{+}$ ATPase.

      • 인삼알콜추출물이 쥐간 mitochondria의 산소 소모율에 미치는 영향

        이중우,김인교,강두희,Lee, Joong-Woo,Kim, In-Kyo,Kang, Doo-Hee 대한생리학회 1979 대한생리학회지 Vol.13 No.1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from the experiment conducted to see the effect of ginseng alcohol extract on the mitochondrial oxidation of the rat liver. 1) Mitochondrial oxygen consumption increased in the low concentration and decreased in the high concentration of ginseng alcohol extract. 2) When the mitochondria was destroyed mechanically or was swollen by low concentration of $AgNO_3$, mitochondrial oxygen consumption was inhibited in all concentration of ginseng alcohol extract. 3) Oxygen consumption of intact mitochondria increased in the low concentration but decreased in the high concentration of sodium deoxycholate. 4) Ginseng alcohol extract inhibited cytochrome oxidase activities of liver mitochondria.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w concentration of ginseng alcohol extract activates the oxygen consumption of liver mitochondria by increasing the permeability of the mitochondrial membrane and high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inhibit the oxygen consumption by inhibiting the enzyme activity related to respiration.

      • 인삼 알콜 추출물이 개구리 피부를 통한 short circuit current에 미치는 영향

        이중우,김희중,강두희,Lee, Joong-Woo,Kim, Hee-Joong,Kang, Doo-Hee 대한생리학회 1976 대한생리학회지 Vol.10 No.1

        In an attempt to examine the effect of ginseng on sodium transport across the biological membrane, we have studied effects of ginseng alcohol extract on the short-circuit current(SCC) and the $Na^+-K^+$-activated ATPase activity in isolated frog skin preparations. 1. Ginseng alcohol extract applied to the mucosal surface of the frog skin significantly increased SCC at low concentration($1{\sim}10mg%$) but decreased SCC at higher concentration($50{\sim}250mg%$). 2. Similarly, when the drug was added to the serosal bathing medium, the SCC was stimulated at low doses($5{\sim}25mg%$) and inhibibited at high doses($50{\sim}250mg%$). 3. $Na^+-K^+$-activated ATPase activity of the frog skin epidermal homogenate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ginseng alcohol extract, the effect being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of the drug in the incubation mixture. These results may suggest that a low dose of ginseng alcohol extrat enhances the transepithelial sodium transport probably by increasing the permeability of outer membrane of the transporting cell to sodium ion, whereas a high dose of drug reduces the sodium transport primarly by inhibiting $Na^+-K^+$ ATPase mediated active transport step.

      • 미세먼지와 항만, 4차산업시대의 대응전략

        이중우(Joong-Woo Lee)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8 No.추계

        최근 전 세계적으로 수송수단과 산업시설에서의 배출로 인한 대기오염의 심각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항만과 공항에서도 대기오 염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고 지역별 대기오염물질 배출 및 대기오염도 현황을 분석하여 각 시설에서의 종합관리방안을 도출하고 있다. 2020 년부터 시행되는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즉, 황성분을 포함한 연소배기가스 중 CO2, SOX,NOX, PM2.5의 배출규 제에의 대응과 배출규제해역(ECA)제도 도입에 따른 업계와 정부, 학회의 대비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부산항에서도 항내계류선박과 하역 장비에서의 오염물질 배출을 억제하기 위한 대체전력공급(AMP, Cold Ironing)에 대해 대응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주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미세먼지(PM2.5)의 심각성과 배출가스의 저감을 위한 방안을 소개하고 오히려 이를 해운항만에서의 4차산업 발전의 계기로 대응하도록 하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업화 과정에서 필연적인 대기오염을 저감시키는 방안이 새로운 해양산업으로 전환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연구논문 : 황사현상이 천식질환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 2005년부터 2008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이중우 ( Joong Woo Lee ),이기광 ( Ki Kwang Lee ) 한국환경과학회 2011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0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sian dust and asthma disease in Seoul, using data of Asian dust occurrences and the number of treatments for asthma between 2005 and 2008. The data include the number of treatments for asthma on the basic day paired with the average number of treatments for asthma on the compared days. The compared day is defined by the day of no Asian dust in same month and day of the week as the basic day, when Asian dust occurs. Also, the basic day is expanded to the day after three days from the day of Asian dust. The paired two sample t-test for the number of treatments for asthma on the basic day and the compared days revealed that the Asian dust occurrences are correlated with the asthma disease. The number of treatments for asthma is significantly increased on the one and two days after Asian dust occurs. On the other hand, there`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treatments for asthma between the days of Asian dust occurrence and the days of no Asian dust, which implies that people usually try not to go out when Asian dust occurs.

      • KCI등재

        대형 수중구조물 보수를 위한 부유식 섹터케이슨

        이중우(Joong-Woo Lee),이승철(Seung-Chul Lee),이정수(Jung-Su Lee),곽승규(Seung-Kyu Kwak),김기담(Ki-Dam K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1 No.05

        최근 건설구조물의 하자보수기간은 5년에서 10년으로 연장되었고 건설품질 및 유지관리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따라 교량, 댐, 항만구조물의 수중부 은폐된 부분에 대한 유지관리를 위해 반영구적인 공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대형 강관 및 교각의 수중시공에서는 잠수부들의 기술능력부족과 수중에서의 작업조건의 까다로움 등으로 임시적인 작업이 되었던 현 실정을 고려하여 수중구조물 유지관리에 실용화 될 수 있는 공법으로 부체식 섹터케이슨을 제안하였다. 특히, 상부구조물이 수면에 가까운 경우 및 구조물간 간격이 좁은 경우 보수구간의 접근성과 교각과 같은 대형 수중구조물 유지.보수 시 드는 고비용의 문제 등으로 전체 구조체를 설치하는 대신 섹터케이슨을 개발하여 도입함으로써 비상시 이동과 장래 신속한 작업수행 및 작업수준 향상에 획기적인 역할이 기대된다. Recently, the defect maintenance period of the new construction structure was extended from 5 years to 10 years. And according to change of realization on the quality of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a development of semi-permanent method of construction is required for maintenance of blind parts of underwater structure, such as bridge, dam, harbor, etc. In this study, we proposed a floating type sector drγ caisson, which is effective to the maintenance of submerged large structures. These large structures were being maintained incompletely, partly due to unskilled divers and difficult working condition Considering the easiness of access to the maintenance area and the cost for set up the working structure, especially for the case of structure slabs close to the sea surface and harrow pile span structures, we developed and introduced a sector dry caisson instead of the full caisson structure. By doing this, it is easy to move out the caisson rapidly in emergence case. Therefore, we expect that the floating sector caisson will contribute to reduce working time and improve the quality of underwater work in future days

      • KCI등재

        스퍼드 준설선 공정관리시스템을 이용한 항로준설작업의 평가

        이중우(Joong-Woo Lee),정대득(Dae-Deuk Jeong),조증언(Jueng-Eon Cho),김주영(Ju-Young Kim),오동훈(Dong-Hoon Oh)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29 No.5

        해상 준설선을 이용한 항로의 준설시공 과정에서 중요한 점은 작업구역의 공간적 축소로 여유통항수역의 제공과 수면하의 위험물배제로 안전항행을 제공하는 것이 기본이다. 이를 위해서는 준설선의 이동과 고정을 위한 보조장비의 적극적인 활용과 함께 부대 장비의 실시간 위치확인, 실시간 준설수심 확인 및 작업정보 등을 통합적인 정보로 제공하여 준설 작업의 자동화를 꾀해야 한다. 그런데, 본 연구에서 스퍼드 제어시스템을 비치한 준설선은 준설 시공시 준설구역 내 준설점 위치로 이동을 스퍼드로 하고 스퍼드는 자동제어 기술을 적용하여 준설선의 능동적 이동에 의한 준설시공을 행하여 최소의 작업공간을 정유하게 되므로 항행하는 타 선박의 안전한 통과를 허용하면서 준설공사를 중단 없이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퍼드 활용 항로준설시스템은 스퍼드의 거동패적은 물론 전자해도와 함께 작업심도 자료를 동시에 제공하므로 신속한 작업성과까지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관리시스템과는 비교가 된다. 시스템 평가를 위한 부산항에서의 시험시공결과 일일작업 시 기존의 앵카시스템을 이용한 작업시간의 2배정도를 실제 투입할 수 있었으며, 준설시공 요건별 비교에서도 준비시간을 38% 절감할 수 있었고 준비작업에 필요한 작업인력을 1인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most important point when we engage on waterway dredging work is supplying safe navigational passage to the vessels underway by narrowing dredge work area and removing submerged dangers. In order to meet this end it is necessary to use auxiliary equipment for shifting actively and mooring and adopt automation of dredging work by integrating information on real time position, dredging depth, and work information. The dredger with a spud control system in this study, by the way, is able to employed on continuous dredging work with the narrowest working area allowing wide and safe passages to vessels underway, by moving the dredger to the working zone with the spud controlled automatically. Furthermore, it has been improved definitely compared with the existing dredg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such that it shows the track of spud and working depth on the electronic navigation chart of window, together with the final outcome of dredging work. The test dredging work at the entrance of Busan North Port for system evaluation showed that actual working time available was twice of the one by the existing anchor system, and that it reduced 38% of time for preparation work and one man power.

      • 해양투기장에서 준설토의 투기에 따른 거동 평가

        이중우(Joong-Woo Lee),오동훈(Dong-Hoon Oh),이승철(Seung-Chul Lee),김형철(Hyung-Chul Kí,m),김강민(Kang-Min Kí,m)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 No.1

        새로운 항만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시 되는 것은 항로 및 접근수로에서 선박의 안전한 통항을 위한 최저 수심이다. 국제적으로 선박의 대형화 추세에 맞추어 기존에 건설되고 있는 항만들도 설계변경을 통한 최저수심을 증가하게 되었다. 설계시 고려한 준설토이상의 토사가 빈번해졌고 이 또한 처리할 내륙측 부지가 부족하게 되어 결국 외해 투기지역에 배출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신항만 항로증심에 따른 준설토의 해양투기와 관련하여 대상해역에서의 투기가 이루어지는 시점 전후로 현장관측을 통하여 유통 및 수질을 분석하고 해양투기지역에서 배출된 준설토가 대상해역에서 어떻게 거동하는지를 수치실험에서 검증자료로 활용하였다. 확산에 관한 실험은 고형물질에 대해서 수행하었으며, 대상해역의 특성상 초기희석 및 침강이 빠른 순간에 진행되어 인접해역에서 유의할 만한 해양환경에 영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When we consider to develop a new harbor, the most important factor, we think, is the lowest water depth of waterway and approaching channel for safe navigation of vesse. The existing harbors have been being dredged to meet the international trend of jumbo sized vessels by adopting the new design criteria. As the dredged materials over the expected at the design level were common and there are still lack of land based reclamation area, we have no choice to discharge the dredged materials in open sea area. In this study, we analysed the behavior of discharged materials at the dumping area of offshore open sea, which were collected from the dredging work at the waterway in Busan New Port. We measured the tidal currents and analyzed the waters of dumping site after the dumping work. These were used to evaluate the numerical models. Suspended Solids(SS) were introduced to the diffusion model.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dumping site, the speed of initial diffusion and settle down of the discharged materials was so fast. Therefore, we believe that the dumped materials do not cause a significant impact to the marine environment.

      • 수중 항만구조물의 유지보수를 위한 건식 케이슨 공법 개발

        이중우(Joong-Woo Lee),오동훈(Dong-Hoon Oh),곽승규(Seung-Kyu Kwak),김성태(Sung-Tae K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 No.-

        근래 국내 산업의 고도화와 수출입 증가에 따른 경제력의 상승과 함께 도로, 교량 및 항만시설의 확충과 각종 호안 및 해상구조물의 건설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9대신항만의 건설과 기존어항의 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 구조물의 대부분은 교각기초, 안벽, 돌핀, 안벽, 돌제 등은 강재나 콘크리트 파일로 새롭게 건설되고 있다. 이들 기초, 지지격벽 및 파일은 건설 후에 수면아래에 있게 되므로 구조물의 상태를 파악하기가 어렵고, 그 구조물의 보수나 보강이 충분하지 못한 상태이다. 더구나 매년 이러한 유지 보수작업은 구조물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불완전한 보수와 수중공사로 인한 장기작업으로 고비용 때문에 정부의 예산을 소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정부예산의 지출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기존 구조물의 내구연한을 연장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부유식 케이슨으로 건식작업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수선부근에서의 수중구조물의 유지를 위한 새로운 기법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방법은 작업구간을 쉽게 이동하고 취급이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 기법은 유지보수비용 및 방식작업 시간을 현저하게 줄이는 것은 물론 보다 나은 방식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술은 해안 및 수중구조물의 유지와 건설비용을 줄이는 이정표가 될 것으로 본다. Together with the trend of enhancement in domestic industrial development and economic progress due to import and export, the demand for construction of the roads, bridges, especially port facilities, and several coastal protection and ocean structures is increasing rapidly. MOMAF of Korean Government is driving construction of 9 new ports and renovation of the existing fishery ports. Among these structures most of bridge base, wharves, dolphins, quays, and jetties are being newly built of steel or concrete pile. As the base, supporting bulkheads, and piles are underwater after construction, it is difficult to figure out the status of structures and not enough to get maintenance and strengthen the structures. Even year, moreover, these works suck the government budget due to higher incomplete maintenance expense for protection from corrosions of structures and increased underwater construction period. For the purpose of cutting down the expense of government budget,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life cycle of the existing structures. Therefore, we developed a new method for maintenance of submerged structures near the waterline by allowing dry work environment with the floating caisson. The method shows easy to move around the working area and handle. It also showed not only a signification reduction of maintenance expenses and time for anti-corrosion work but also better protection. This will be a milestone to reduce the maintenance and construction expenses for the shore and water struc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