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성초 분말을 급여한 돼지 등심의 냉장저장 중 품질특성의 변화

        강민정,이준열,신정혜,최선영,이수정,양승미,성낙주,Kang, Min-Jung,Lee, Jun-Yeal,Shin, Jung-Hye,Choi, Sun-Young,Lee, Soo-Jung,Yang, Seung-Mi,Sung, Nak-Ju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2

        어성초 분말을 사료에 0%, 5% 및 10% 첨가하여 12주간 사육한 돼지 등심의 냉장저장 중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어성초의 일반성분은 조섬유가 $56.8{\pm}2.6%$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으며 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C18:1)의 비율이 29.6%로 가장 높았다. 각 실험군의 관능평가 결과 어성초 분말 5% 첨가군이 연도와 누린내에서 기호도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전체적인 선호도도 가장 우수하였다. 돈육 등심을 23일간 냉장 보관하면서 이화학적인 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함량은 10% 어성초 분말 첨가 급이군에서 다소 높았으며 조지방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어성초 분말 첨가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이었다. pH는 실험군간 및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육색 중 L값과 a값은 저장기간의 경과와 더불어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b값은 저장 초기에 증가하였다가 이후에는 그 변화가 미미하였다. 전단가는 저장 2일에서 9일 사이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그 이후에는 급격한 연도의 저하는 없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feeding eosungcho (Houttuynia cordata Thunb) powder on the meat quality of porks at chilled storage.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control group (0%, C), 5% (T1) and 10% (T2) eosungcho powder feeding group, and then administered for 12 weeks.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for softening value and scorched smell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in T1 group. Overall acceptability was also the highest in T1 group than the others. Physicochemical components were analyzed for pork loins that were stored at $4^{\circ}C$ for 23 days after vacuum packing. The moisture contents of pork loins were higher in T1 group than the others. Crude lipid contents were lower in T1 and T2 groups than the control group. The pH valu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experimental groups during storage days. The Hunt L and a values in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storage days. The Hunt b value was increased for the initial storage days but it did not change after 9 storage days. The Warmer-Bratzler share force of all experimental groups were greatly decreased between 2 and 9 storage days and then little exchanged afterwards.

      • KCI등재

        유자의 화학적 특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신정혜(Jung-Hye Shin),이준열(Jun-Yeal Lee),주종찬(Jong-Chan Ju),이수정(Soo-Jung Lee),조희숙(Hee-Sook Cho),성낙주(Nak-Ju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4

        대표적인 유자 산지인 남해(Ⅰ, Ⅱ), 통영 및 고흥에서 유자를 구입하여 과육 및 과피로 각각 분리한 후 이화학적 성분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4종의 유기산이 검출되었으며, citric acid의 함량은 10.2±0.14~17.7±0.17 g/100g이었으며, 고흥산 유자의 과육 및 과피에서 각각 17.3±0.16g/100 g, 17.7±0.17 g/100 g으로 가장 높게 정량되었다. 무기물은 산지에 따른 차이가 작았으며, 칼륨의 함량이 1,332.4±2.31~2,308.5±3.25 ㎎/100 g으로 가장 높았다. 유리아미노산은 proline, asparagine, glutamic acid가 비교적 높게 함유되어 있었으며 통영산 유자 과피에서 총 326.9 ㎎/100 g으로 가장 높게 정량되었다. 유자 착즙액의 전자공여능은 시료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였으며 0.1~0.2% 농도의 산지별 시료액 첨가시 80.0% 이상의 효과가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0.01~0.2%의 시료농도에서 10.2±0.50~20.1±0.77%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0.1~0.2% 시료액 첨가구에서 모두 73% 이상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나, pH 4.2에서는 모든 시료액 첨가구에서 27% 이하로 낮았다. The chemical properties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were analyzed which on a citron (Citrus junos) of 4 kinds purchased in different regions [Namhae (Ⅰ, Ⅱ), Tongyoung and Koheung] in Korea. Four kinds of organic acids were determined. Citric acid contents in flesh and peel of citron were 10.2±0.14~17.7±0.17 g/100 g. The organic acid content was the highest in citron purchased from Koheung. Total mineral content in citron was in a range of 2,844.3~4,022.4 ㎎/100 g, the potassium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range of 1,332.4±2.31~2,308.5±3.25 ㎎/100 g. The major free amino acid from citron were proline, asparagine and glutamic acid. And the highest in peel of citron purchased from Tongyoung by 326.9 ㎎/100 g. However, the kinds and contents of chemical components in citron were somewhat different among various regions.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using DPPH method of citron juice was more than 80.0% at the concentration of 0.1~0.2% and it was stronger by increased the juice concentration in the reaction mixture. SOD-like activity showed 10.2±0.50~20.1±0.77% at the concentration of 0.01~0.2%.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was pH and sample concentration dependent. It was the highest at the pH 1.2 and more than 73% in 0.1~0.2% citron juice. On the contrary in all concentration of added citron juice lower than 27% at pH 4.2.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