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진로성숙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취업 스트레스의 관계

        이주재 ( Choo Jae Lee ),이재경 ( Jae Kyeong Lee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지역과 세계 Vol.3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진로성숙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취업 스트레스 간의 잠재적 관계를 검토하는 데 있다. 특히 연구의 주요한 구체적 목적은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를 예측하는 요인들인 진로준비행동, 진로성숙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등의 변수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데이터는 2013년 11월에 보건복지계열 대학생 1~4학년 433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으며,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결과에 의하면, 개인적 특성 변수인 성별, 학년, 사회경제적 지위 등의 변수는 취업 스트레스에 대한 설명력을 갖고 있다. 또한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성숙도 수준이 높을수록 취업 스트레스가 낮았다. 그리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변수의 취업 스트레스에 대한설명력도 높게 나타났다. This exploratory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maturity attitude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stress among students of health care and social work. This study surveyed 433 university students. Hypotheses were tested wit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primary research questions developed for this study were: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turity attitude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stress among students of health care and social work?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important to focus attention on exploring the effect of social cognitive factors such as career matur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stress. The results of our study suggest that academic institutions have an responsibility to maximize opportunities for creative career development of students. Finally, the authors discuss the use of social work self-efficacy in the context of social work perspectives

      • KCI등재

        노인장기요양보호 인력의 소진 예측 요인

        이주재(Lee, Choo-Jae)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1

        이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호 인력의 소진 예측 요인을 살펴보고,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인력의 소진 예방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노인장기요양보호는 고령이나 노인성 질병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을 혼자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 등에게 신체활동 또는 가사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전남지역 노인장기 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직원 216명이고, 자료수집은 자기기입식 방법의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SPSS 12.0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인력의 소진 척도는 22개 항목의 3가지 하 위척도, 즉 정서적 고갈, 탈인격화, 자아성취감의 감소로 구성된 MBI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직무 요인인 클라이언트 요인, 업무과중, 역할갈등, 수급자 가족과 갈등이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고, 동료의 정서적 지지가 소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노인장기요양보호 인력의 전문적 지위와 평판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 보완과 소진을 예방하는데 동료의 정서적 지지 체계가 중요한 요인 임을 확인하였다. 결론으로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인력의 소진 예방을 위한 제도적 실 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examine how work stressors are related to the burnout among staff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This study offers some responses to a growing stress and burnout for the long-term care workers. The demand for long-term care workers is set to rise in light of an increasing share of older people and dependent elderly. Long-term care workers provide long-term care services to persons with a reduced degree of functional, physical or cognitive capacity. Cross-sectional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16 staff in long-term care facilities. The standardised Maslach Burnout Inventory(MBI) was used to assess levels of burnout in long-term care workers. The MBI consists of 22 items using a 5-point Likert scale, measuring three sub-scales of burnout;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Personal accomplishment. Data were analyzed using regression. This study is empirically tested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burnout and its antecedents. The majority of differences in burnout could be explained by work stressors such as client relationship, job overload, job role conflict, and conflicts with clients' family. The study also identified workers' perceptions of their image in society and emotional support as predictors of burnout. Therefore long-term care facilities are encouraged to review their practices so that workers well-being is supported. The study findings suggest attention for organizational oriented initiatives to cope with burnout.

      • KCI등재
      • KCI등재

        노인장기요양 인력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주재(Lee, Choo-Jae)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2

        이 연구는 노인장기요양 인력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의 이직 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언을 하고 있다. 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의 높은 이직률이 노인들에 대한 서비스 연속성과 서비스 질을 방해하고 있기 때문에 이직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연구 대상은 전남지역 노인장기요양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간호사, 요양보호사를 포함하는 직원 235명이다. 조사 기간은 2009년 7월 1일부터 10일까지 진행하였고, 자료수집은 자기기입식 방법의 설문지를 활용하여 수집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SPSS 12.0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직무스트레스 척도는 MBI의 정서적 탈진 척도롤 활용하였고, 직무 만족은 한국노동패널의 전반적 직무만족도 척도를 활용하였으며, 이직 의도는 조직구성원의 자발적 이직 의도를 측정하는 척도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사회인구학적 특성으로 연령, 교육수준, 직위, 기관위치 등의 변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 변수도 이직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다. 연구 결과를 통해 이직 의도를 예방하기 위하여 직무 스트레스를 줄이고, 직무 만족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결론으로 장기요양 인력의 이직 의도를 예방하기 위한 제도적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work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n intention to leave among staff including social workers, nurses, and care workers. The study subject included 235 staff in a welfare organization that provides long-term care services. Data was analyzed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 that work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ffect intention to leave in the context of welfare organizations. Demographic variables were not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and thus these results are incidental. Staff with higher levels of work stress were more likely to think about leaving, while those with grater job satisfaction were less likely. There were several limitations in this study. Generalizability of the findings are limited to staff working in the province of Jeonnam. The resul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to minimize turnover intention in long-term care. Reducing the intent to leave is desirable for issues of both cost reduction and quality of care. Managers could perhaps start to consider decreasing work overload assigned to staff. This study also provides some insight into the work status of new staff. Clearly this finding needs to be explored in further research studies. A more comprehensive model is likely required to adequately explain intention to leave the job.

      • KCI등재

        결혼이주 여성의 사회관계망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주재 ( Choo Jae Lee ),김순규 ( Soon Gyu Kim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0 한국가족복지학 Vol.15 No.4

        본 연구는 결혼이주 여성의 사회관계망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조사대상인 결혼이주 여성은 주로 캄보디아, 중국, 일본, 몽골, 필리핀, 태국, 베트남 출신이고, 208명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자료수집은 면접으로 이루어졌고, 분석방법으로 선형 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독립변수에 비공식 사회관계망과 공식 사회관계망, 종속변수인 심리적 적응에 우울과 자아존중감을 포함하였다. 분석결과, 결혼이주 여성의 사회관계망 요인이 우울의 감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지지 변수는 우울 수준을 완화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리고 사회적 관계망 요인이 자아존중감의 증가에도 영향을 주고 자아존중감에 대한 긍정적 효과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결혼이주 여성의 심리적 적응을 위해 사회적 관계망 형성과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이 한국어 프로그램과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만큼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결론에서는 결혼이주 여성을 위한 사회적 아웃리치와 사회관계망을 통해 멘토와 같은 시스템 개발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In this article we explore the effect of social networks i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female foreign immigrants in Korea. Recently, immigration to Korea is connected with marriage of foreign brides. The focus of this paper is on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of these newly immigrant women, in relation to the stressors accompanying the migration experience, and in relation to the amount of social support available to the family. Subjects originated in Cambodia, China, Japan, Mongolia, Philippines, Thailand, and Vietnam. Questionnair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emale adults of foreign descent(N=208). Analyses include descriptive reports and regression analysis. Immigrant social network and social support were the principal direct influences on depression, mediating the effect for most other predictors. Also, Social network and social supports associated with immigration may induce self esteem. The availability of social network and social support to the multicultural families facilitated psychological adjustment. Intervention should facilitate acculturation thereby reducing immigrant stress and expand peer networks to increase social support to improve psychosocial well-being.

      • KCI등재

        결혼이민 여성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주재 ( Choo Jae Lee ),김순규 ( Soon Gyu Kim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가족복지학 Vol.30 No.-

        본 연구는 결혼이민 여성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 관련 요인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인 결혼이민 여성은 주로 캄보디아, 중국, 일본, 몽골, 필리핀, 태국, 베트남 출신이고, 총 208명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자료수집은 면접으로 이루어졌고, 분석방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독립변수에 소인 요인, 촉진 요인, 욕구 요인을 포함하였으며, 종속변수는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이다. 분석 결과, 결혼이민 여성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의 관련 요인을 분석한 결과, 사회복지서비스 유형에 따라 각 변수의 설명력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에 대한 분석에서 대상자가 서비스 유형이나 욕구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가를 검토하고, 결혼이민 여성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을 개선하기 위한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has systematically examined the use of social welfare services among immigrant women in Korea according to the Andersen model, which groups factors influence on the use of predisposing, enabling and need variables. Subjects are originated from Cambodia, China, Japan, Mongolia, Philippines, Thailand, and Vietnam. Questionnair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emale adults of foreign descent(N=208). Analyses include descriptive repor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owever, It is little know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social services and social service utilization. Income among predisposing factors had an effect on the use of public assistance services, counseling services, and comprehensive social services. Region variable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use of counseling services. Enabling factor including awareness of services, couple relationship, and social network, was relevant to the use of counseling and comprehensive social services. Need for service as evidenced by depression and unhappiness variables was important predictor of use of counseling services. This article yields important practice implications. Several program strategies were suggested for the increasing use of social welfare services particularly among female immigrants.

      • KCI등재후보

        요양보호사의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주재 ( Choo Jae Lee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지역과 세계 Vol.34 No.2

        이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이직 의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요양보호사의 이직 감소를 위한 제언을 하고 있다. 특히 소진과 조직 몰입 요인은 휴먼서비스분야의 직원 이직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연구 대상은 전남지역 노인장기요양기관에 근무하는 직원 216명이고,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SPSS 12.0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인구학적 변수와 소진 및 조직몰입 변수가 이직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고, 특히 조직 몰입은 종속변수 이직 의도를 설명하는 강한 예측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장기요양서비스의 질과 서비스 전달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요양보호사에 대한 수퍼비전과 이직을 예방하기 위한 조직관 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ntion to leave among staff in long-term care agencies and to examine factors associated with turnover intention. Cross-sectional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16 staff in long-term care facilities. Data were analyzed using regression. All the main categories are significant predictors of intention to leave. It finds that burnout, low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the strongest of intention to leave. Generally, our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other studies that demonstrate the connection between burn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to leave. Study findings hold implications for supervisory support,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future research. There might be a great deal that both managers and policy makers can do make efforts to prevent intention to leave grave.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재경(Lee, Jae Kyeong),이주재(Lee, Choo Jae)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社會科學硏究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의 문화적 역량 실태와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지원센터와 전남ㆍ북 지역의 일반복지기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우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228개의 설문지가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문화적 역량과 하위 영역인 문화적 인식, 지식, 기술 모두는 평균 이상의 점수를 보였으며, 이 중 문화적 인식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은 반면 문화적 기술의 평균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사회복지사의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개인요인으로는 전체 문화적 역량에서 옹호가 문화적 인식에서는 다양성 수용이, 문화적 지식에서는 임파워먼트와 다문화 교육 참여, 문화적 기술에서는 공감과 옹호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기관요인에서는 다문화 슈퍼비전만이 영향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기관의 다문화 슈퍼비전준비정도는 전체 문화적 역량과 문화적 기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의 문화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논의와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ality and affecting factors of social worker’s cultural competence. The result showed that cultural competence and the three domains of cultural competence were above average. Especially the mean value of cultural awareness is highest, but the mean value of cultural skills is lowest. In terms of the affecting factors, advocacy, acceptance of diversity, and multi-culture supervision influence cultural competence. In the three domains of cultural competence, cultural awareness is influenced by acceptance of diversity, cultural knowledge is influenced by empowerment and education of multiculture, and cultural skill is influenced by empathy, advocacy, and multiculture supervision. Based on these findings, several suggestions are made to improve social worker’s cultural competence.

      • KCI등재

        중국 연변지역 조선족 청소년의 주관적 빈곤감과 사회적 위축의 관계 - 자아탄력성과 양육태도의 조절효과 -

        박수영 ( Piao Xiu-ying ),이주재 ( Choo Jae Lee ) 한국자치행정학회 2019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연변지역 조선족 청소년의 주관적 빈곤감과 사회적 위축의 관계를 살펴보고, 두 변수 사이에서 자아탄력성과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변지역 5개 시에 거주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조사대상자는 총 803명이 포함되었다. 통계분석은 SPSS 24.0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연변지역 청소년이 인지한 주관적 빈곤감은 사회적 위축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자아탄력성과 양육태도는 주관적 빈곤감과 사회적 위축 관계에서 각각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Chinese-Korean adolescents' subjective sense of poverty and social withdrawal, ba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parenting attitude. Totally 803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in five areas in Yanbian and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analyze those data. The result shows that subjective sense of poverty has positive effect on social withdrawal. Ego-resilience and parenting attitude hav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subjective sense of poverty and social withdrawal. In the conclusion, the researchers suggest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results of the study

      • KCI등재

        중국 대학생의 자원봉사의식과 진로정체감의 관계 - 자아존중감과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박수영 ( Piao Xiu-ying ),이주재 ( Choo Jae Lee ) 한국자치행정학회 2019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3 No.2

        본 연구는 중국 대학생의 자원봉사의식과 진로정체감의 관계를 규명하고, 자아존중감과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중국 연변지역 Y대학교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총 235부의 유효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첫째, 자원봉사의식은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전공만족도는 진로정체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원봉사의식은 자아존중감과 전공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은 자원봉사의식과 진로정체감 관계에서 부분 매개역할이 현저한 것으로 나타났고 전공만족도는 자원봉사의식과 진로정체감 관계에서 매개역할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에서 중국 대학생의 취업을 도모하기 위해 진로정체감 향상을 위한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 지원체계 구축, 연계 프로그램 운영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ciousness of volunteering and career 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major satisfactio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college students of Y University in China. Totally of 235 vali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 shows that, firstly, consciousness of volunteering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ollege students' career identity. Secondly, self-esteem and major satisfaction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ollege students' career identity. Thirdly, consciousness of volunteering statistically explain self-esteem and major satisfaction. Fourthly, self-esteem h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consciousness of volunteering and career identity, but major satisfaction has no mediating effect on consciousness of volunteering and career identity. Finally this paper discussed the establishment of volunteer activity support system and operation of related programs, in order to promote college students' employment and enhance the career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