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RPM: An Entropy-based Routing Protocol using Mobility in Mobile Ad-hoc Wireless Networks

        안병구(Beongku An),이주상(JooSang Lee) 大韓電子工學會 2011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8 No.6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Ad-hoc 무선 네트워크에서 유비쿼터스 융합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이동성을 이용한 엔트로피 기반 라우팅 프로토콜(ERPM)을 제안한다. 제안된 ERPM의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ERPM은 노드들의 이동성을 이용한 엔트로피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안정된 라우팅 경로들을 설정할 수 있다. 둘째 ERPM은 노드들의 이동성을 이용한 엔트로피 개념에 의해서 경로들의 안정성을 평가 할 수 있다. 셋째 ERPM은 소스노드와 목적지 노드 사이에 다중 경로가 존재할 때 경로들의 이동성 측면에서 가장 안정된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제안된 ERPM의 성능평가는 OPNET을 사용한 시뮬레이션과 이론적 분석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성능평가를 통하여 제안된 ERPM은 안정된 경로 설정 및 데이터 전송효율을 효과적으로 증가 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ntropy-based Routing Protocol using Mobility (ERPM) for supporting ubiquitous convergence services efficiently in mobile ad-hoc wireless networks. The main features that the ERPM introduces to obtain the goal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RPM can construct stable routing routes based on the entropy concepts using mobility of nodes. Second ERPM can quantitatively evaluate the stability of route by entropy concepts using mobility of nodes. Third ERPM can select the most stable route in the view points of mobility of routes between a source node and a destination node where multiple paths are available.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proposed ERPM performed via simulation using OPNET and analysis shows that the ERPM can support the construction of stable routing routes and increase the transmission ratio of data efficiently.

      • CooRP: 모바일 Ad-hoc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협력 라우팅 프로토콜

        안병구(Beongku An),이주상(JooSang Lee),김남수(Nam-Soo Kim) 大韓電子工學會 2011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8 No.6

        본 논문에서는 레일리페이딩 환경의 모바일 Ad-hoc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컨버젼스 및 전송 효율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협력 라우팅 프로토콜 (CooRP)을 제안한다. 제안된 CooRP의 주요한 특징 및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라우팅 경로들은 방향성 안내 라인 영역 내에서 노드들의 이동성 정보를 이용한 엔트로피 개념 기반 위에서 설정되며 경로 설정을 위한 컨트롤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둘째 페킷 전송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설정된 라우팅 경로에 기반을 둔 향상된 SNR을 지원할 수 있는 협력 데이터 전송 전략이 사용된다. 셋째 제안된 CooRP의 협력전송에 대한 이론적인 분석이 outage probability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제안된 CooRP의 성능평가는 OPNET을 사용한 시뮬레이션과 이론적 분석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성능평가를 통하여 제안된 프로토콜은 안정된 경로 설정 및 협력 전송을 통한 데이터 전송효율을 효과적으로 증가 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In this pap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operative Routing Protocol (CooRP) for supporting network convergence and transmission services efficiently in mobile ad-hoc wireless sensor networks with Rayleigh fading environments. The main contributions and feature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routing routes are decided on route stability based on entropy concepts using mobility of nodes within the direction guided line region to increase the operational lifetime of routes as well as reduce control overhead for route construction. Second a cooperative data transmission strategy based on the constructed stable routing route is used to increase packet delivery ratio with advanced SNR. Third a theoretical analysis for cooperative data transmission of the proposed CooRP with outage probability is presented.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proposed CooRP is performed via simulation using OPNET and analysis. The results of performance evaluation show that the proposed CooRP by using stable routing routes and cooperative transmission can increase packet delivery ratio efficiently.

      • 분리수거를 위한 페트병 분리시스템의 구현

        박용하(Yongha Park),박지훈(Jihoon Park),정호영(Hoyeong Chung),이주상(Joosang Lee),이중엽(Jungyeop Lee)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5 No.1

        본 연구에서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페트병 분리수거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인식부, 제어부, 알람부 및 구동부로 구성된다. 인식부는 페트병을 감지해 페트병과 센서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값을 표준 범위와 비교하여 값이 표준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제어값을 제어부에 전송하고, 특정범위를 넘어간 경우 라벨 혹은 뚜껑의 유무결과를 제어부에 전송한다. 제어부에서는 센서부로부터 전송받은 결과값에 따라서 수거함의 입구를 개방하거나 알람부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안된 시스템 구현을 위하여 인식부는 적외선 센서로 구현하였고, 제어부는 C언어 기반의 아두이노 스케치 프로그램으로 제작하였다. 또한, 인식부와 제어부는 아날로그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게 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페트병의 라벨과 뚜껑의 유무를 정확히 판단한 후 라벨 혹은 뚜껑이 부착되었을 때 수거함의 입구를 막는다. 국민 1인당 배출되는 폐기물의 양이 높고 재활용이 되지 않아 쓰레기의 대다수를 소각시키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시스템을 통하여 페트병의 재활용률을 높이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a plastic bottle recycling bin system that utilizes an infrared sensor was implemented.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a recognition unit, a control unit, an alarm unit, and a driving unit. The recognition unit detects the plastic bottle,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plastic bottle and the infrared sensor, extracts the value of the bottle, compares the extracted value with a standard range, and then transmits the control value to the control unit if the extracted value of the bottle is outside the standard range. In this case, the result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brand label or bottle cap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 unit opens the entrance of the recycling bin or alerts the alarm unit according to the result value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In order to implement the proposed system, the recognition unit was implemented with an infrared sensor, and the control unit was made with an Arduino IDE controller, based on the C programming language. Additionally, the recogni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are able to communicate using analog signals. The proposed system accurately judg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brand label and bottle cap of plastic bottl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It then blocks the entrance of the recycling bin when a brand label or bottle cap is still attached. As the amount of waste discharged per person is relatively high and the majority of such waste is incinerated rather than recycled, the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increase the recycling rate of plastic bottles.

      • KCI등재

        석우 보화의 생애와 사상

        이주상 ( Lee¸ Joo-sa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1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47

        본 논문은 석우 보화(石友 普化, 1875~1958)의 생애와 사상 등을 살펴보고자 하는 글이다. 그는 대표적인 금강산 불교 출신의 고승이었다. 그는 일의일발(一衣一鉢)수행의 가풍을 지키며, 금강산 마하연사와 영원암 등에서 치열하게 참선수행을 하였다. 스님은 은사에 대한 효심이 지극하였고, 자비와 지계(持戒)로 대중을 제도하여 ‘금강산 양반 스님’, ‘절집 안의 재상’이라고 하였다. 1955년 8월 12일, 전국 승려대회에서 만장일치로 초대 종정에 추대되었다. 동화사 문중의 근원을 이룩한 큰스님이며, 현재 조계종 종정 진제의 은사이다. 그러나 그가 입적한 지 63년이 지난 현재까지 스님의 생애와 사상에 대한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의 목적은 수행자들은 물론 일반인들의 사표가 될 스님의 생애와 사상을 조명해 봄으로써, 그의 올곧은 사상과 수행이 앞으로 한국 불교의 발전에 초석이 되고자 함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life and thoughts of Seokwoo Bohwa(1875-1958). He was a venerable monk who practiced asceticism at several temples at Mount Kumgang. In keeping with the tradition of performing ileui-ilbal(一衣一鉢), he fiercely practiced zen meditation at Mahayeonsa and Yeongwonam at Mount Kumgang. Seokwoo was very devoted to his teachers, and he blessed the public with his mercy and discipline and go on to be called the “Nobleman Monk of Mount Kumgang” and “a premier in the temple.” On August 12, 1955, he was unanimously selected as the first Chief priest at the National Monks’ Congress. He was a great monk who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the Donghwasa and is now Jingje’s teacher, Chief priest of Jogye Order. Sixty-three years after his death, no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Seokwoo’s life and though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Seokwoo’s life and ideas. These will become a guide for the public as well as performers, so that his upright ideas and practices will be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Buddhism. I hope this paper will lead to more research on Seokwo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