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혼합화소를 이용한 IKONOS 영상의 감독분류정확도 평가

        이종신(Lee, Jong-Sin),김민규(Kim, Min-Gyu),박준규(Park, Jun-Qyu)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6

        위성영상을 이용한 감독분류에서 훈련집단의 선택은 분류정확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훈련집단 의 특징이 명확한 순수화소를 선택할 경우 전체 정확도가 높은 반면, 저해상도 영상이거나 식별이 불분명하여 혼합화 소를 선택하면 정확도는 저하된다. 그러나 실제 영상분류를 수행할 때 순수화소만을 훈련집단으로 선택하는 것은 매 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혼합화소를 훈련집단으로 선택하였을 경우 적합한 분류기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를 위해 소수의 순수화소를 훈련집단으로 선정하여 분류정확도를 산출하고 같은 수의 혼합화소를 이용한 분류결과와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혼합화소를 사용한 분류기법들 중 SVM의 정확도가 가장 높았으며, 순수화소를 이 용한 분류결과와도 가장 작은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훈련집단으로 혼합화소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건물 및 녹지 혼합지역에서는 SVM을 이용한 영상분류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Selection of training set influences the classification accuracy in supervised classification using satellite imagery. Generally, if pure pixels which character of training set is clear were selected, whole accuracy is high while if mixed pixels were selected, accuracy is decreased because of low-resolution imagery or unclear distinguishment. However, it is too difficult to choose the pure pixels as training set actually. Accordingly, this study should be suggested the suitable classification method in case of mixed pixels choice. To achieve this, a few pure pixels were chosen as training set and classification accuracy was calculated which was compared with classification result using an equal number of mixed pixels. As a result, accuracy of SVM was the highest among the classification method using mixed pixels and it was a relatively small difference with the result of classification using pure pixels. Therefore, imagery classification using SVM is most suitable in the mixed area of construction and green because it is high possibility to choose mixed pixels as training set.

      • SCOPUSKCI등재

        수세미외 섬유의 펄프화에 관한 연구 - 섬유의 구조와 펄프화별 특징 분석

        김종규,노재성,이종신 ( Jong Gyu Kim,Jae Seong Rho,Jong Shin Lee ) 한국공업화학회 1997 공업화학 Vol.8 No.6

        수세미외 그물 섬유를 크라프트법, 알카리 아황산법, 아황산법,알카리 과산화 수소법과 소오다법으로 펄프화하고, 안트라퀴논의 첨가와 미첨가 조건으로 구분하여 증해하였다. 이들의 고해와 미고해분에 대하여 주사 전자현미경(SEM), 섬유 품질 분석기(FQA), 섬유길이 분류기(Clark 4-Screen Classifier), 화상 분석기(Image Analyzer)를 이용하여 특성과 섬유의 구조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세미외 섬유의 증해후 해섬 가능 기준의 Pulping 조건은 KP계(160℃, 2시간), ASP계(155℃, 4시간), PAP계(160℃, 1시간)에서 Kappa값이 각각 12, 25, 10 수준으로 비교적 낮은 Total Alkali(약 20%) 조건에서 적정 증해가 가능했다. 2) 각 펄프화별 펄프의 총 증해수율은 KP 50∼55, ASP계 60∼70, PAP계 45∼50%로 SP계의 수율은 매우 높고, KP나 PAP는 일반 비목재자나 목재와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3) NaOH의 투입량의 증가는 해섬능을 촉진하고, 섬유길이, Curl, Kink Index 등에서 품질의 형태 변화를 보였다. 4) 수세미외 섬유의 펄프화 공정에서 AQ첨가는 탈리그닌 촉진으로 해섬능이 현격하게 향상되고 섬유의 산화 분해를 방지하며, 고해 속도 상승과 피브릴화를 촉진하였다. 5) ASP계는 KP나 PAP보다 Bulk density가 높고, 섬유간 결합이 치밀하고, 섬유의 세포 손상이 감소되었다. 6) 수세미외 섬유는 “C” Stain에 의한 정색 반응으로 청색 또는 청회색의 맑고 투명한 새포벽을 갖는 정색 특성을 나타냈다. Studies were carried out on the preparation of several kinds of pulps from Sponge gourd fiber by KP, ASP, SP, PAP, AP and addition of AQ pulping process. These unbeaten and beaten pulping fibers were observed their characteristics and fiber structure by SEM, FQA, Image analyzer and Micro projector.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cooking condition which is the possible defibrilation of Shives are KP base(160℃, 2hr.), ASP base(155℃, 4hr.), PAP base(160℃, lhr.). From the results, the kappa no. had the range of 12, 25, 10 each other. 2) The pulp yields of sponge gourd fiber obtained the range of KP 50∼55%, ASP & 60∼70% and PAP 45∼50%. SP base have the highest and contents of KP & PAP base are much the same as woods. 3) Increasing amount of NaOH on Pulping was accelerated the defibrilation of Shives and was changed a morphology of pulping fiber quality such as fiber length, curl and kink index. 4) Addition of AQ on pulping process of sponge gourd fiber had a affect to raise the rate of delignification while protecting cellullosic components against degradation, especially defibrilation was very excellent, beated pulp much more easily and increased the fibrilation. 5) ASP system have higher bulk density, fiber bonding and protecting cellullosic components against degradation than KP or PAP. 6) The color reactions of the C stain solution showed blue or blue-gray with clean and transparency thin cell wall.

      • KCI등재

        DGPS 카메라를 활용한 도로시설물 DB 개선

        이제중(Lee, Je-Jung),이종신(Lee, Jong-Sin),김민규(Kim, Min-Gyu)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2

        도로시설물은 지속적인 차량의 통행, 과적차량, 교통사고 등으로 인해 훼손 및 파손의 가능성이 높으며, 도 로에 설치한 우수맨홀, 하수맨홀 등은 주기적인 도로 포장 시 기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도로시설물 DB 구축을 통한 관리 및 효율적인 갱신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도로시설물 DB 구축 및 개선을 위해 DGPS 카메라를 활용하였다. 기존 도로시설물 DB 구축 결과와 비교 ․ 분석을 수행하여 도로시설물 DB 구축에 요구되는 허용정확도를 만족시킴으로써 DGPS 카메라의 적용성을 제시할 수 있었으며, 공정분석을 통해 기존의 토털 스테이션에 의한 DB 구축 공정을 개선할 수 있었다. 또한 수치지형도 상에 도로시설물의 영상을 추가할 수 있는 모 듈과 구글어스 영상 기반의 KML Builder를 개발함으로써 주변 지형과 도로시설물에 대한 현황파악이 가능하도록 기 존의 도로시설물 DB를 개선하였다. 향후, 지자체의 공간자료와 DGPS 카메라 영상을 활용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다 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도로시설물 서비스가 가능할 것이다. Road facility has the high possibility of being damaged or destroyed due to continuous pass of the vehicles, overloaded vehicles, traffic accidents and so on and stormwater manhole, sewerage manhole that are installed on the road may cause the functional degradation in case of periodic pavement of the road. So management through establishing DB of road facility and efficient updating plan are required. Thus, this study used DGPS camera for efficient establishment and improvement of road facility DB. Applicability of DGPS camera could be suggested by satisfying the allowable accuracy required for establishing DB of road facility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result of establishment of existing road facility DB and the process of DB establishment by existing total solution could be improved through process analysis. And the existing DB of road facility was improved so that the present conditions of surrounding topography and road facility can be grasped by developing the module that can add the images of road facility to digital map and Google Earth-based KML Builder. It is expected that road facility service that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can be available if the spatial data of each local self-governing body and study of automation that utilizes DGPS camera images are accomplished hereafter.

      • KCI등재

        정밀 기선장을 이용한 토털스테이션의 측정오차 및 RMSE 산출

        윤여진(Yoon, Yeo Jin),김민규(Kim, Min Gyu),이종신(Lee, Jong Sin) 한국지적정보학회 2012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4 No.2

        토털스테이션은 현재 댐, 교량, 터널 등의 대형 토목 공사뿐만 아니라 소규모 공사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토털스테이션이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높은 정확도와 빠른 속도 등을 꼽을 수 있다. 그러나 측정 장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계적·전기적 원인으로 인하여 성능이 감소될 수 있으며 특히 토털스테이션과 같은 정밀 측정기기의 경우 측정결과의 작은 차이를 무시할 수 없으므로 기기의 본래 성능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제표준규격으로 설치된 기선장을 대상으로 반복관측을 통해 토털스테이션의 성능을 시험하고, 시험결과를 ISO 규격에 의해 RMSE와 측정오차를 산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0.913㎜의 RMSE를 산출하였으며, 측정오차는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영점오차와 축척오차의 사양보다 작은값을 보였다. 또한 산출된 RMSE 값은 통계검정결과 95% 구간 내에서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otal station is used widely in small-scale construction works as well as in large-scale civil engineering works such as dams, bridges, tunnels and so on currently. The reason that total station is widely used is high accuracy and fast speed and so forth. But now that the performance of measuring equipment can be degraded by mechanical and electric causes as time goes by and minor difference of the measured results cannot be ignored especially in case of precision measuring equipment like total station, it is essential to keep the original performance of the equipment. So this study was willing to test the performance of total station through the repeated observation targeting baseline measurement that was installed according to international standards and calculate the RMSE and measurement error from the test results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ISO. As the results of the study, 0.913㎜ was calculated as the RMSE and measurement error showed the smaller value than the specifications of zero-point error provided from the manufacturer and scale error. Also, calculated RMSE was the trust value in 95% conference interval as the result of statistical test.

      • KCI등재

        GPS 상대측위 자료처리를 위한 전문가 서비스 구축

        박준규(Park, Jun-Qyu),김민규(Kim, Min-Gyu),이종신(Lee, Jong-S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5

        GPS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일반사용자가 정상적으로 GPS 자료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GPS 자료처리 분야는 외산 소프트웨어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사용자 위주의 기술 개발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전문가도 상대측위 방법으로 고정밀 GPS 자료처리가 가능한 전문가 서 비스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GPS 자료처리에 필요한 최소 정보만을 입력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 화시킬 수 있는 전문가 서비스를 개발하였으며,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위성기준점의 관측자료와 실제 GPS측 량으로 취득한 관측자료의 처리를 통해 전문가 서비스를 검증하였다. 전문가 서비스는 GPS 자료처리에 소요되는 노력과 시간을 크게 단축시킴으로써 정밀위치결정은 물론 다양한 학술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It requires a lot of time and effort for general users who do not have enough understanding of GPS to properly processing GPS data. However, the GPS data processing field heavily relies on foreign-produced software and there is almost no development of user-oriented technology. Therefore, in this study, it was attempted to build an expert service that enables non-experts to use high-precision GPS data processing. As a result, an expert service that can maximize user convenience simply by entering the minimum required information for GPS data processing was developed, and the expert service was verified by relative positioning processing of the observation data of satellite control point provided by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nd observation data obtained by GPS survey. The expert service significantly reduces the effort and time for processing GPS data, which will contribute to precise positioning and other various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